현대 가나 오십음도
あ단い단う단え단お단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기타
あ゙お゙
요음촉음

1 개요

  • 가타카나: ノ (乃의 약자)
  • 히라가나: の (乃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노
  • 라틴 문자 표기: no
  • IPA: no̞ (유성치경비음 + 후설 원순 중모음[1])
  • 일본어 통화표: 野原のノ (노하라노 노)
  • 일본어 모스 부호:・・--

な행 お단 글자이다.

2 な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に를 제외한 な행은 유성치경비음이며, に는 구개음화되어 치경구개 비음이다. 비음의 특성상 무성음은 없으므로(세계적으로도 드문 편) 탁음을 쓰지 않는다.

3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원순 중고모음(/o/)으로 ㅗ(/o/)와 비슷하다.

4 모양


두 글자 모두 乃의 음에서 유래했다. 지금도 가끔 음차의 용법으로 이름 등에 の 대신 乃를 쓸 때가 가끔 있다. (綾乃-あやの)다만 의미를 살려서 쓰는 경우엔 ない나 だい로 읽는다. 내지(乃至;ないし) 등.

히라가나 の는 눈 모양을 닮아서 헤노헤노모헤지에서도 눈 역할을 하고, 아이돌 마스터아마미 하루카도 のヮの와 같은 표정을 지어서 노노와씨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회전하는 모양 같다고 루프 모양을 のの字(노 자)라고 하기도 한다.

가타카나 ノ는 모양이 간단한 가타카나 가운데에서도 가장 모양이 간단한 글자이다. 딱 한 획.

5 한글 표기

'노'로 적는다.

6 쓰임

6.1 소유격 の

한국어의 '의'와 유사하게 'A의 B' 식으로 AのB라고 쓴다. 한국어에서 '의'를 중복해서 쓰지 않으려는 것과는 달리 일본어에서는 の를 꽤 애용하는 편이다. 이러한 의미의 の는 심지어 한자어에서도 종종 쓰이는데 한자로 쓸 때는 아예 생략하기도 하고(井上-いのうえ) 가타카나 ノ로 쓰기도 한다(三ノ宮-さんのみや). 후자의 예시인 산노미야의 경우 JR은 三ノ宮로 적지만 다른 사철은 三宮로 적는 등 표기가 갈린다. 중간에 덜컥 가나가 나오고 '~의'라는 뜻이라는 면에서는 関ケ原(세키가하라)의 와 비슷하다.

한자로는 위에 언급한 대로 보통 之로 적는다. 한국에서 之가 들어가는 사자성어들도 일본에선 히라가나로 の라고 쓸 때가 많다. 先見の明(선견지명), 管鮑の交わり(관포지교) 등. 홍콩 체인점 중 하나인 優之良品(아지 이치방)은 간판에 之 대신 の로 히라가나를 쓰기도 한다. 중화권에서 이런 식으로 쓰일 땐 중국어 的와 용법이 비슷해서, 병음으로 de로 입력해서 の을 입력할 수도 있다고 한다. (의외로 이렇게 많이 쓰이는지, の가 당당히 등재된 중국어 사전이 간혹 보인다.)

일본의 옛 성씨는 과거 유럽 성씨와 유사하게 'OO의 OO' 같은 식으로 쓰여서 ~の가 붙는 성씨가 좀 있다. '후지와라노'나, '다이라노' 등. 아일랜드 이름의 o'(of의 생략)나 독일어의 (von)과 비슷한 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이런 의미의 の가 들어간 작품은 히트를 친다는 전설(?)이 있다나 보다.

또한 한국어 '의'와는 달리 '~의 것'이라는 의미도 있다. ex) これは私のだ 이것을 응용해 동사 뒤에 붙어서 だ와 함께 쓰이면 단정하는 의미의 표현이 되기도 한다. ex) 君が行くのだ 이 경우 한국어에서도 간혹 '네가 가는 거다' 식으로 말해도 비슷한 의미가 될 때도 있다. 형용동사의 와 붙어 なのだ라고 쓰는 표현도 있다.

이래저래 일본어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기 때문에 한국인이 일본어를 흉내낼 때 '노'를 넣는 경우가 많다.그렇다고 아무 문장 뒤에나 붙이지 말자. 오죽하면 일본어 매체를 접할 때 가장 먼저 자동적으로 익히는 단어란 얘기까지 나올 정도. 흠많무.

6.2 동사구의 주격 の

'내가 쓴 편지' 같은 문장에서처럼, 동사가 수식형으로 계속 이어지면, 다시 말해 안긴문장의 주격 조사로는 私書いた手紙와 같이 の를 쓴다. 한국어에서는 이 경우에 앞서 썼듯이 이/가를 쓴다. 한국어에서도 간혹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처럼 '의'를 쓸 때가 가끔 있었다.[2]

6.3 종조사의 の

어조를 드러낼 때 쓰이기도 한다. 여성어와 아어(兒語)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의문을 나타내거나 가벼운 단정 또는 상대를 설득할 때 쓰인다. 예를 들면 どこいくの?(어디 가니?), 知らないの。(몰라요), ピーマンもちゃんと食べるの。(피망도 제대로 먹는 거야.)

6.4 훈독

의외로 많지 않은데, 之와 野 정도이다.

野는 の로 읽을 때가 굉장히 많아서 음으로 や라고 읽어야 할 것 같을 때도 훈으로 の라고 읽을 때가 가끔 있다. 野宿(のじゅく)라든가. '들 야' 자이다보니 일본인 성명에도 많이 쓰인다. '히라노(平野)', '노다(野田)', '노하라(野原)', '노비#s-5(野比)', '노구치(野口)' 등.

7 중국어에서의 사용?

주로 대만이나 홍콩에서, 중국어에서 '~의' 의미로 쓰이는 的이나 之를 の로 쓰는 경향이 있다. 공식적인 표기는 아니고 일종의 유행에 가깝다고 한다. 애초에 히라가나 자체가 한자를 단순화한 것이고 획수가 적어 훨씬 쓰기 쉬우니까 중화권에서도 별 거부감 없이 섞어쓰는 듯 하다.
  1. 정확히는 ɤ̞와 o̞의 중간이다.
  2. 국문법상 '의'는 주격 조사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의 가 붙은 형태는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 때까지 흔히 쓰였는데 일본어 の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