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

去來量 / Trading Volume

주식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된 총량.

일반적으로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하는 특징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바닥권에서 거래가 폭발하면 상승전환의 계기이고, 성층권에서 거래가 폭발하면 하락전환의 계기인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주식시장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거래량이 따라서 늘고, 정점에서 거래가 폭발한 뒤 거래량이 죽으면서 주가가 빠지는 식의 패턴이 일반적으로 보이는 거래량의 패턴이다.

대형주는 종합지수와 무관하게 언제나 거래량이 많으며 거의 일정한 거래량을 유지한다[1]. 대형주는 소형주에 비해서 바닥에서 거래량이 폭발하는 경우가 많다. 대형주는 저가매수세가 강하기 때문이다.

소형주는 주가가 거래량과 동행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고점에서는 역사적인 거래량을 기록한다. 바닥에서는 신규로 매수하려는 매수자들이 유동주식을 매수할 수 없을 정도로 거래량이 적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소형주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들은 최근 몇년간의 거래량변화를 살펴보면서 최근의 거래가 죽은 상태인지 점증하고 있는지 아니면 갑자기 거래량이 폭발한 상태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주가조작에 쓰인 대부분의 종목들의 특징이 시가총액이 작고 주가부양 기간 직전에 거래량이 갑자기 거의 없어진다는 점이다. 조작세력이 갑자기 나타날 수 있는 매도세력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 사전에 유통주식을 싹쓸이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역으로 생각하면 거래량이 갑자기 적어진 소형주는 주가조작의 대상일 가능성이 높다.

코스피시장에서는 최근 반기에 월평균거래량이 유동주식수의 1%미만일 경우 관리종목에 지정되며 그 다음 반기에 또 거래량이 부족할 경우 상장폐지된다. 코스닥에서는 반기 대신에 분기를 사용한다. 단 코스닥 종목은 월간거래량이 1만주를 넘거나 소액주주 300인 이상이 20%이상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면 퇴출요건이 적용되지 않는다.
  1. 대형주는 거의 항상 언론에 노출되고 또한 선물의 기초자산이기에 주가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일정 수준의 거래량이 존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