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개발 스토리/관련 정보

1 개요

카이로소프트의 게임인 게임개발 스토리의 관련 정보를 정리한 항목.

2 게임 개발

2.1 장르 발견 조건

장르직업 Lv
시뮬레이션프로그래머 Lv.4
액션시나리오라이터 Lv.3
슈팅시나리오라이터 Lv.3
액션RPG프로듀서 Lv.3
레이스
육성디자이너 Lv.3
보드게임프로듀서 Lv.1
리듬게임디렉터 Lv.5
사운드노벨디렉터 Lv.2
체감게임하드웨어 엔지니어 Lv.4
카드게임하드웨어 엔지니어 Lv.3

2.2 유형 발견 조건

3 직원

3.1 직업

4 장르 조합

자세한 내용은 게임개발 스토리/관련 정보/장르 조합참고

5

  • 상인은 2년 5월 1주 이후 매년 5월 1주 마다 등장하고,[1] 게임덱스 출품은 회사를 한번 확장한 후에 매년 7월 1주마다 출전여부 선택이 가능하다. 시상식도 한번 확장 후 매년 12월에 참가한다.
  • 게임 판매량이 10K(1만)를 돌파하면 1차 개축관련 건의가 ,100k를 돌파하면 2차 개축관련 건의가 들어온다. (해외 정보에 의하면 1차 개축은 (한글판 기준) 3년차에 18,000G를 보유하고 있을 때, 2차 개축은 1차 개축 이후 상을 2개 이상 탔을 때이다. 즉, 가장 빠른 개축은 3년이 되기 전 18,000G를 모은 후 4년차에 게임 2개를 수치가 100 넘게 만들면 4년 12월에 상을 2개 타고 곧바로 5년차부터 직원 8명 운영 체제로 가게 된다.)
  • 게임 방향성이 높으면 게임 자체 수치 (재미/독창성/그래픽/음악) 가 낮아도 평론가 평점이 높다. 또한 추가적으로 팬 수가 증가하는 이벤트가 벌어질 확률이 높다. 게임 방향성은 게임장르 레벨이 2/5가 될때마다 2 point씩 얻을 수 있다.
  • 게임 장르와 유형의 궁합이 맞으면 각 항목의 레벨이 오르는데, 유형과 궁합 둘 중 한쪽의 레벨만 오르는 경우도 있다.
  • 이 게임의 팬 감소는 매우 더디게 이루어지므로, 신경 꺼뒀다가 돈이 많아질 때 달표면 광고를 펑펑 터트리면 금방금방 오른다.
  • 같은 게임을 계속 만들경우 팬이 떨어지므로, 속편제작으로 돈을 벌더라도 특정 장르 두개를 번갈아 쓰는 테크닉도 있다. 다만 이 게임의 경우 팬이 더디게 떨어져나가서..
  • 속편을 제작할 경우 같은 장르와 유형이라도 이전에 궁합이 맞았을 경우 중복으로 레벨이 오른다. 명예의전당을 무난히 달성한다면 꾸준히 속편을 제작하여 방향성 포인트를 얻는데 주력하는게 좋다.
  • 하드웨어 엔지니어가 6명일 때 최고 수준의 게임기 제작이 가능하다. 단 하드웨어 엔지니어는 재미와 독창성은 높지만 그래픽과 사운드 능력치가 시궁창이기 때문에 게임기 개발 후에 바로 해커(본작 최강의 직업)로 전직시켜버리는 게 좋다. 게임기 개발에 들어간 후로는 하드웨어 엔지니어가 없어도 공정이 진행되기 때문.
  • 특별 직원 중 곰돌이(=모리노 쿠맥스)는 그랑프리 1회, 침팬지(=침팬Z. 처음부터 하드 개발자)는 그랑프리 3회, 카이로봇(=카이로군. 해커 레벨 5)은 그랑프리 5회를 달성하면 나온다.
  • 게임 상에서 가장 중요한 수치는 체력으로, 다른 수치와 달리 체력수치는 무슨 수를 써도 증가시킬 수 없다. 이벤트로 얻는 미스터 X/ 아크바 왕 캐릭터가 중요한 이유도 체력이 높기 때문. 반면 아무리 능력치가 낮아도 돈으로 훈련시키고 해커까지 도달하면 대부분의 능력치가 300~400을 넘게 된다.
  • 21년 1월 1주에 등장하는 엔딩을 본 후, 새로시작을 하면 게임의 방향성 포인트와 장르, 유형의 레벨이 전승된다. 이를 2회차라고 부른다. 여지껏 개방해놨던 장르, 유형목록 초기화되어 다시 열어야 하고 각 캐릭터의 능력치는 전승이 되지 않으므로 주의.
  • 1회차때는 적당히 체력높은 캐릭터를 고용하고 캐릭터를 해커로 만들면서 속편제작으로 방향성 포인트를 쌓는데 주력하는게 좋다. 능력치 자체는 상관말고 직업군 레벨을 높게 보유한 캐릭터를 선택해서 빠르게 해커로 만들자.[2] 하드웨어 엔지니어 6명을 모으는 건 1회차때 대부분의 시간을 소모해야 하고 당장 만들어봤자 하이스코어밖에 노릴게 없는데 하이스코어를 노리는건 2~3회차부터 하는게 좋다.
  • 게임 유형과 장르를 선택 한 후 최초 개발자를 선택하는 화면에서 다시 뒤로 돌아가자. 그리고 다른 유형과 장르를 선택하고 개발자 선택에서 다시 돌아오자. 이 과정을 반복하면 실제 개발을 하지 않아도 장르,유형 레벨업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다. (단, 각 유형/장르 당 한 번씩)
  • 패치 이전엔 직원을 가득 채운 후 새 직원을 대체 고용할 때 계약금이 나가지 않는 버그가 있었으나 패치되었고, 현재는 직원 고용 시 빈자리에 넣을 경우 돈이 모자라면 안 되나 직원이 가득 차 대체할 경우 마이너스로 돈이 떨어지며 고용이 가능하다(!). 대신 마이너스가 -10만은 넘어가지 않도록 하자. 수주개발로 갚는데 2년 이상이 소요된다...
  • 21년 1월 1주 이후의 엔딩후 플레이는 하이스코어 기록이 남지 않으므로 엔딩을 본 후엔 바로 새로시작해서 상기의 항목을 전승받은 채로 시작하는 게 더 재밌다. 게다가 엔딩 이후의 기록들은 새로 시작 시 전승되지 않아서 도전의욕도 떨어진다..
  • 게임 자체 수치(재미/독창성/그래픽/음악)중 하나가 100이 넘게되면 게임 개발완료 즈음해서 구매자들이 미리 줄을 선다. 모든 수치가 200을 넘게 서면 서있는 구매자들이 카이로봇(카이로군)으로 변경.갑자기 카이로봇으로 변경되서 쫄은 사람이 있을 것이다. GOTY는 평점/판매량과 아무런 상관이 없고 게임 자체 수치 3개 항목이 200을 넘을경우 무조건 받는다. 그리고 1년동안 1개의 게임만 제대로 만들어도 받을 수 있다.
  • 지난 개발때 중간 기획에 한번 참여했던 사람은 연속으로 사용하면 능력치가 높아도 수치가 높게 나오지 않는다. 이때 '누구에게 기획을 맡길까요?'라는 대화창이 나오고 직원 선택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뒤로를 누르고 다시 개발을 시작하면 지난 개발에 썼었던 사람도 한번 더 쓸 수 있다. 영원히 고통받는 엘리트 심지어 뒤로를 누르고 다시 개발을 시작하면 같은 장르를 계속해서 쓸수있다. 그리고 방향성이 이미 무슨 장르를 해도 오를 정도의 궤도에 올라있는 상태라면 서로 다른 장르나 유형에도 이 방법을 쓰면 렙이 오르고 방향성이 동시에 올라간다. 아마도 개발을 시작하는 순간 게임을 만든것과 똑같이 처리되는듯 하다,단 이 경우 회차가 늘어난다. 만약에 3회차에서 이 방법을 쓴다면 만드는 게임은 4회차지만 이 게임을 하면서 이 부분을 신경쓰는 사람은 거의 없기에 (...) 이걸쓴 위키러만 신경쓴다 카더라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게임개발 스토리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사족으로, 상인이 회사 입구를 지나면서 사장 책상에 도착할 때까지는 1주가 걸린다.
  2. 1회차에만 섭외할 수 있는 남산왕이란 해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