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왕

" />?width=50
백제의 역대 국왕
33대(?) 융왕 부여융34대(?) 경왕 부여경작위 폐지
왕호경왕(敬王) / 대방군왕(帶方郡王)
부여(扶餘)
경(敬)
생몰년도? ~ ?
소백제 통치(?)682년 ~ ?

扶餘敬
생몰년도 미상

백제의 왕족. 의자왕의 증손자로, 할아버지는 부여융. 아버지는 확실치 않다.[1]

677년 당은 요동 건안성 웅진도독부로 백제 유민들을 이주시키고 부여융을 웅진도독·대방군왕으로 삼아 다스리게 했다. 이렇게 한 이유는 백제 전역이 이미 671년 전후로 신라가 차지했기 때문. 682년 부여융이 사망한 후, 측천무후가 그에게 왕위를 계승하게 했다.[2] 하지만 웅진도독은 이미 명목상 지위에 불과했고 이후 백제의 국계는 끊어지게 되었다.

이후 건안성의 백제 유민들에 대한 기록이 전무해서 이들이 어떻게 됐는지 알 수 없다. 이도학 교수는 해당 지역이 발해가 8C중반~9C초에 진출하면서 사라졌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1. 부여융의 아들로 부여문사, 부여덕장이 확인되지만 부여문사의 경우 부여효의 아들로 보기도 하며 부여덕장 외에도 아들이 더 있을 가능성이 높다.
  2. 동국통감 권9 신라기에 따르면 686년 보장왕의 손자 고보원이 조선군왕을 받은 시기와 같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부여경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