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장

1 개요

Insignia of rank, Rating badge

수틀리면 떼는 것[1]

군대경찰, 또는 소방관 등 조직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집단에서 계급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건. 모자, 옷깃, 어깨, 가슴, 소매 등에 부착해서 사용한다.

자신이 속하지 않은 집단의 제복과 계급장을 사람들 앞에서 장착하는 일은 절대 없도록 하자. 그 행위 자체만으로도 경범죄로 처벌 받을 수 있다.[2]

성인용품 및 연극용 등으로 사용되는 제복들 또한 실제 제복이 아닌 것을 일반인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적당히 실제와 다른 모습으로 표현 되어있다. 경찰의 경우, 현재의 청록색이 아닌 구형의 파란색, 아이보리색이라든지, 혹은 팔뚝에 경찰 마크가 없다든지하는 식이다.
특히, 악의적인 목적으로 공무원을 사칭하는 경우는 경범죄의 범주를 넘어선 중범죄가 되므로[3] 절대로 하지 말것. 사실 풀세트 모은다는 것 자체가 위험하다. 그러니까 모으고 싶거든 외국 것을 모으세요.

이 외에도 온라인 게임에서는 레벨을 나타낼 때 계급장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 대표적인 게임이 서든 어택[4],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등이 있다. 이 경우는 대부분 게임 내에서 제 구실을 할 수 있는 최하 계급이 소위인 경우가 많다.

2 현재 사용되는 계급장

전세계의 대부분 국가들이 장교사병의 계급장을 따로 분리해서 정한다. 장교는 주로 덩어리진 계급장이 많으며(예를 들면 ★, ◆, ■, ● 등등의 특정표식) 사병은 주로 '>' 모양, 쉽게 말하자면 V자 모양의 계급장이 많다. 물론 V자 계급장은 대한민국의 경우 부사관만 사용한다.

2.1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장

2.1.1 개요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는 장교, 부사관은 옷깃에, 이병에서 병장까지 은 가슴에 달고 다닌다. 또한 해군 정복의 경우 옷소매에 계급장을 달고 다닌다. 이를 袖(소매 수)자를 써서 수장(袖章)이라고 한다.
의 계급장의 경우, 전투복, 전투모, 야전상의에 사용되는 계급장을 전투장이라고 부르며, 근무복·근무모에 다는 계급장을 비전투장이라고 부른다. 야상이나 근무복 소매에 붙이는 큰 계급장은 정장, 전투모나 근무모, 전투복 가슴에 붙이는 작은 계급장은 약장이라 한다. 전투복에 붙이는 포제 계급장은 무조건 노란색인 준위 계급장을 제외하고 군종에 따라 색이 다르다. 검은색은 육군, 해병대, 해군 특수전전단. 회색은 해군. 파란색은 공군.

간부 계급장은 군모장, 정장, 약장으로 나뉜다. 간부의 계급장에 붙어있는 무궁화 받침은 장교와 부사관의 모양이 달랐다. 장교는 무궁화 받침의 잎이 6장, 부사관은 4장이지만 2016년 2월 29일, 부사관도 장교와 같이 6장으로 바뀌었다.

2011102512562760606.jpg
대위 계급장. 무궁화 받침의 잎이 한쪽에 3장, 총 6장이다.

2011102512503760601.jpg
구형 상사 계급장. 무궁화 받침의 잎이 한쪽에 2장, 총 4장이다.

재질은 병의 계급장은 100% 포제 계급장으만 이루어져 있는 반면 간부 계급장은 포제 계급장과 금속제 계급장이 존재한다.

외국의 대부분의 군대와는 달리,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장은 병부터 장교까지 3군(+해병대)이 통합된 형태의 계급장을 사용한다.(해군의 수장과 견장은 제외) 병의 계급장은 지각의 4개의 층을 의미하고 부사관의 계급장은 나뭇가지를, 위관과 영관, 장성은 금강석, 대나무꽃, 별을 의미하고 각각 지하, 지상, 우주를 의미한다고 한다.

2.1.2 모양

구분모양
계급장(해군) 수장#s-3
사병이등병ROK_Army_Ibyeong.png
일등병ROK_Army_Ilbyeong.png
상등병ROK_Army_Sangbyeong.png
병장ROK_Army_Byeongjang.png
부사관하사파일:Hw7Up35.png
중사파일:A5LjyKf.png
상사파일:U5CgaTC.png
원사파일:JoCE5dl.png
준사관준위파일:Z06955t.png파일:Pwl3JxT.png
장교위관급 장교소위파일:9SEUg1i.gif파일:ApTgl8d.png
중위파일:6MQB30W.gif파일:AKEuOpQ.png
대위파일:3yMGrVO.gif파일:DHgcofI.png
영관급 장교소령파일:R5givH9.gif파일:YKuGJ4s.png
중령파일:EDZBuJK.gif파일:AGi5uT2.png
대령파일:X2eI8bZ.gif파일:U0M8In2.png
장관급 장교준장파일:3essKAo.gif파일:SMrrRaO.png
소장파일:D1dmgDB.gif파일:NAMR4Ae.png
중장파일:52eyKRW.gif파일:NpmTrQj.png
대장파일:RiDLs37.gif파일:BNP4BXW.png
원수[5]파일:BL1nlqE.gif파일:BXbWFRC.png

2.1.2.1 육군

색깔은 진한 연두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계급표시를 한다. 1996년에 벌어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으로 인해 계급장 색이 바뀌었다는 말이 있지만, 이미 이 사건 이전부터 추진되던 일이었다. 이미 1970년대부터 미군이 검은 계급장을 도입했었고, 십여 년 후에 한국군이 그것을 따라해서 바꾼 것에 불과하다.[6] 장교는 흰색, 부사관과 병사는 노란색(병 야전상의는 빨간색)이었던 육군 계급장과 명찰(글자색)이 현재의 검은색으로 바뀌었다. 다만 이후 진한 녹색 바탕에 검은 실 자수가 잘 보이지 않아 경례받기 힘들다는 이유로 다시 바탕을 연두색으로 바꾸게 된다. 심지어 육군 전투모의 간부 계급장을 반짝이는 철제 계급장으로 교체하는 병크도 저질렀는데, 전시에 나사 풀러서 빼고 다닐 수 있다며 강행했다. 2000년대 초 이후로 부대마크도 전투복과 동일하게 저채도 색상으로 바뀌었다.

의 경우 전투복에는 상의의 가슴쪽에 붙어있는 주머니 중에서 왼쪽주머니 덮개에서도 오른쪽 하단에다가 계급장(약장)을 단다.[7] 신형전투복은 오버로크 대신 찍찍이로 되어 있어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야전상의의 경우 전투복과 달리 가슴쪽 주머니에 부착하지 않고, 상완부에다 전투 정장을 부착한다. 계급장의 대략적인 부착 위치는 어깨와 팔꿈치의 중간지점쯤. 단 2011년 이후 보급되기 시작한 신형 야전상의의 경우는, 전투복 상의와 마찬가지로 왼쪽 윗주머니 덮개 위에 부착한다. 이것 때문에 병 전투복에는 아예 저채도 정장이 없어졌다.

장교, 부사관의 경우 전투복에는 옷깃(카라)에 계급장을 붙이며, 야전상의의 경우 계급장을 따로 안붙이고, 야전상의 견장대에 계급이 표시된 견장을 끼운다. 물론 그 사람의 직책에 따라 지휘관, 지휘자라면 계급이 표시된 녹색의 견장, 그렇지 않은 사람은 계급이 표시된 연두색의 견장.

또한 장교, 부사관의 경우 포제 계급장 이외에도 금속제 계급장도 있는데 장교는 은색, 준위와 부사관은 금색이다. 이건 주로 정복, 근무복, 베레모에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간부의 경우 정복과 근무복에는 포제 계급장을 사용하지 않는다.

2.1.2.2 해군

얼룩무늬 전투복(육전복)용(구형) 계급장은 장교의 경우 감색 바탕에 흰색, 부사관·준사관은 노란색으로 역시 옷깃에 패용하며, 병의 경우는 노란색 계급장을 타군과 같이 왼가슴 주머니 뚜껑 위에 부착한다. 이는 해상병전투복이라 불리우는 샘브레이에도 동일하나 신형전투복은 장교, 부사관, 준사관의 경우 전투복에는 옷깃(카라)에 계급장을 붙이며, 야전상의 견장대에 계급을 벨크로를 붙인다.그리고 신형 디지털픽셀무늬 전투복(육전복)에는 국방색 바탕에 병부터 장교까지(준위 제외하고) 흰색으로 통일되었다.

의 경우에는 얼룩무늬 전투복(육전복) 및 야전상의 착용시 왼가슴 주머니 뚜껑 위에 부착한다.

간부만 입는 카키색 하근무복·검은색 동근무복의 경우는 역시 옷깃에 금속제에 핀으로 꽂는 형식으로 된 약장 계급장을 부착한다. 계급장의 모양은 타군과 동일.

동정복의 경우에는 장교의 경우 해군 특유의 금사로 된 수장을 소매 밑단 부분에 부착하는데, 준위는 1/2인치 두께의 굵은 줄이 가운데가 끊어진 상태로 한 줄, 소위는 1/2인치 두께 굵은 줄 한줄, 중위는 굵은 줄 위에 두께 1/4인치짜리 가는 줄이 하나, 대위는 1/2인치 굵은 줄 2줄, 소령은 1/2인치 굵은 줄 두 줄 사이에 1/4인치 가는 줄 하나, 중령은 1/2인치 굵은 줄 3줄, 대령은 1/2인치 굵은 줄 4줄, 준장은 2인치 두께의 굵은 줄
하나, 소장은 2인치 굵은 줄 윗부분에 1/2인치 굵은 줄 하나, 중장은 2인치 굵은 줄 윗부분에 1/2인치 굵은 줄 두개, 대장은 2인치 굵은 줄 윗부분에 1/2인치 굵은 줄 3개가 들어간다(미군과 수장 배치가 100% 동일하다. 단, 줄 맨 위에 붙는 마크가 미군은 별, 국군은 태극에 닻이 교차한 마크라는 점만 다르다). 준위의 경우는 소위의 굵은 줄 하나 중간에 검은색 천조각이 들어가서 줄이 끊긴 모양이 된다. 부사관의 경우는 우측 어깨와 소매의 중간지점에 금색으로 부사관 계급장을 수놓은 천쪼가리를 부착하고, 병은 동정복에는 붉은색, 하(약)정복에는 검은색의 정장을 비슷한 위치에 부착한다. 계급장을 소매에만 달기 때문에 간부용 동정복은 타군 정복과 달리 어깨 견장대가 없이 일반 양복 재킷 어깨처럼 되어 있다.

하정복·하약정복은 장교는 동정복에 부착하는 수장의 모양을 본뜬 견장을 부착한다. 견장에는 사다리꼴로 된 천쪼가리에 금사가 박혀 있는 토시형 견장과, 딱딱하고 입체적인(?!) 플라스틱에 부직포 씌운 것 같은 물건에 금사가 박혀있고 견장대에 끼워 패용하는 하드형 견장이 있는데, 하정복 및 하약정복에 다는 견장은 후자. 단, 장성의 경우는 수장의 모양을 본뜨지 않고, 견장의 전체 배경은 고급스럽게 장식이 되어 있는 금색이며 그 위에 별을 박는다. 부사관은 하정복의 경우는 동정복과 같은 위치에, 흰색 바탕에 노란색으로 계급장이 수놓인 천쪼가리를 부착하며, 약정복도 동일하다. 여름에 일반 수병에게는 약정복만 지급되며[8], 팔뚝에 흰색 바탕에 검은색 막대 계급장을 부착한다.

커버올·비행 정비복 등 타 복식은 추가바람.

2.1.2.2.1 해병대

전투복, 야전상의, 팔각모의 계급장은 육군의 것과 같다.

다만 차이가 약간 있는데, 병의 경우 육군이 전투복상의 왼가슴쪽 주머니 덮개 오른쪽 하단이면, 해병대는 하단이 아닌 상단에다가 계급장을 부착한다.
야전상의의 경우 육군처럼 팔뚝에 정장을 부착하는게 아니라, 전투복과 같이 야전상의 가슴쪽 왼쪽 주머니 덮개 오른쪽 상단에 약장을 부착한다.

2.1.2.3 공군

전투복, 야전상의용 계급장 색깔은 육군과 같은 진한 연두색 바탕에, 파란색으로 계급표시를 한다. 신형 전투복과 굉장히 안어울린다는 단점이 있다.
약복, 약모에 붙는 비전투장은 청색바탕에 흰색으로 계급을 표시한다.

의 경우 전투복의 계급장 부착위치는 육군과 동일하며, 구형 야전상의육군과 동일한 위치에 전투 정장을 부착하나 신형 야전상의의 경우는, 전투복 상의와 마찬가지로 왼쪽 윗주머니 덮개 아래에 부착한다. 약정복(약복)에는 약장을 부착하지 않고 구형야상과 동일하게 상완부에 비전투 정장을 부착한다. 근무모에는 비전투 약장이 붙었으나, 2012년 복제가 개선되어 근무모가 개리슨 모로 바뀌면서 계급장이 사라지고 포제 공군 모표만 붙이게 되었다.

장교부사관은 육군과 대동소이하지만, 야전상의에 견장을 끼우는 게 아니라 오버로크를 한다는 점이 다르지만 구형이며 신형 야전상의는 견장에 끼운다. 또한 전투모에 철제 계급장을 사용하지 않고, 큼지막한 포제 계급장(방탄헬멧의 그것)을 사용한다.

약정복에는 끼우는 견장을 사용한다. 감색바탕에 부사관은 노란 색, 장교는 흰색. 정복의 경우는 철제 계급장이며. 약정복에 맞춰 쓰는 개리슨 모에는 철제 계급장이 붙으며, 색은 견장과 동일. 정모에는 계급장이 붙지 않고 모표만 붙는다.

전투모에도 포제 계급장을 붙이지만, 특이하게 장관급 장교는 패치로 붙이지 않고 계급장 모양의 자수를 놓는다. 육해공 전체에서 유일한 경우다.

2.2 경찰공무원

경찰공무원/계급 문서 참조.

2.3 소방공무원

소방공무원/계급 문서 참조.

2.4 관세

관세청 소속 공무원[9]의 제복(동정복 상의, 하정복 상의)에 계급장을 착용한다. 모자에도 차양표면 중앙에 새기는 무궁화 개수와 크기 등에 따라 계급 구분이 있으며 부착물 중 직위장이라고 해서 리본[10] 안쪽에 관세청장, 관세청 차장, 본부세관장, 세관장 등의 글자가 젖빛으로 돋을새김되어 있는 것도 존재한다.[11]

관세청 홈페이지의 계급장 소개

2.5 교정직공무원

교정직공무원/계급 문서 참조.

2.6 출입국관리

법무부[12] 소속으로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와 그 소속 출입국관리사무소 및 그 출장소 등에 근무하는데 겨울정복, 여름정복, 한여름정복 등에 계급장이 들어간다. 겨울정복과 여름정복의 경우 계급장을 상의 왼쪽 가슴 주머니 윗부분에 달고 한여름정복의 경우 상의 좌우 소매표장에 단다.[13] 정모의 경우도 무궁화 개수나 잎 개수에 따라 계급 구분[14]이 있다.출입국관리공무원 복제 규칙(법무부령) 별표1 등 참조

2.7 철도공안

철도특별사법경찰대. 대한민국 경찰청과는 달리 행정자치부 소속이 아닌 국토교통부 소속으로, 철도지역 내 범죄예방과 질서유지를 담당한다.

파일:Attachment/uploadfile/Railroad Police 2.jpg

경찰공무원/계급 문서도 참조.

2.8 외국의 계급장

2.8.1 미군

미군/계급
계급체계가 통일되지 않아서 서로 다른 레벨이 같은 명칭을 쓰는 경우가 왕왕 있는 미군이지만 E-1부터 E-9까지, O-1부터 O-10(또는 O-11)까지 세분화된 계급 수는 같다. 물론 준위 계급은 얘기가 다르지만… 국군 계급체계에 억지로 대입해보자면 E-1은 훈련병, E-9는 원사.

또한 미군 계급에서는 직무에 따라 같은 계급에서도 서로 다른 대우를 받고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장교 계급은 육군&해병대&공군과 해군&해안경비대 별로 같은 계급체계를 쓰지만 사병 계급에서 차이가 두드러지는 편인데, 육군의 상병 계급이나 해군/해안경비대의 이병/일병이 직별마다 다른 계급명으로 불린다거나 원사 계급의 명칭도 달리 불리는 등 한국군 출신 예비역이 보면 혼란스러울 수 있는 부분이 꽤 있다.

2.8.2 러시아군

러시아군/계급 문서 참조.

2.8.3 영국군

영국군/계급 문서 참조.

2.8.4 독일군

독일군/계급
2차대전 당시 나치스 친위대의 경우는 슈츠슈타펠/계급 문서 참조.

2.8.5 이스라엘군

이스라엘군 문서 참조.

2.8.6 체코군

체코군 문서 참조.

2.8.7 중화민국군

중화민국군/계급 문서 참조.

2.8.8 일본 자위대

자위대/계급 문서 참조.

3 과거에 사용되었던 계급장

3.1 한국

3.1.1 광복군

한국 광복군 문서 참조.

3.1.2 한국군

과거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는 장교만 옷깃에, 이병에서 원사까지 , 부사관은 가슴에 달고 다녔었다. 하지만 부사관 권익신장이라는 명목하에 부사관의 계급장을 다는 위치가 장교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장성급은 현재와 똑같은 별을 그대로 사용한다. 영관급은 현재의 대나무꽃과는 달리 그냥 태극마크를 계급장으로 사용했다.소령·중령계급장 위관급은 현재의 금강석과는 달리 그냥 각설탕사각형을 계급장으로 사용했다.

3.1.2.1 육군

3.1.2.1.1 장교

1946년 1월 15일 남조선 국방경비대가 창설되면서 장교는 구한말과 같이 위관, 영관으로 구분하여 위관은 준위, 참위, 부위, 정위, 영관은 참령, 부령, 정령으로 구성하였고 창군 당시 병력 규모를 반영하여 장관급은 제정하지 않았다.
동년 1월 16일 최초 제정된 계급장은 적절한 안을 확정하지 못하고 임시로 경찰모의 귀단추 모양(무궁화 표지)을 위관급 장교 계급장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한 달도 채 안된 2월 1일 채병덕 정위가 참령으로 진급하였으나 영관급 장교 계급장을 제정하지 않은 상태여서 임시로 정위 계급장에 무궁화 표지를 1개 더해 임시 참령 계급장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미군정청 국방사령부 군무국의 비숍 대령이 미군 준위계급장을 모방한 형식으로 고안한 것을 1946년 4월 6일 정식 계급장으로 제정하게 되었다.

1946년 12월 1일 계급 명칭을 현재와 같이 위관은 준위·소위·중위·대위, 영관은 소령·중령·대령으로 개칭하고, 준장·소장·중장·대장의 장관급 계급을 추가하였고, 장관급 계급장은 미군과 같은 별 형태로 정했다.

장교의 계급장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원수 : ☆☆☆☆☆
  • 대장 : ☆☆☆☆
  • 중장 : ☆☆☆
  • 소장 : ☆☆
  • 준장 : ☆
  • 대령 : ○○○
  • 중령 : ○○
  • 소령 : ○
  • 대위 : □□□
  • 중위 : □□
  • 소위 : □

사병의 계급장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일등상사 : >>>|
  • 이등상사 : >>>
  • 이후 1970년대 이후에는 현재와 같은 모양에 무궁화 마크만 없는 계급장을 사용했으나 이게 문제점이 있었다. 계급장에 못이 하나밖에 부착되어있지 않았던 탓에 계급장이 빙글빙글 돌기도 했는데 특히 소위 계급장의 경우는 마름모가 제멋대로 빙빙 도는 바람에 아주 꼴볼견인 상태가 되기도 했다.

    1996년에 개정되기 이전까지 부사관의 계급장은 병장계급장의 위에 표시되었고 원사 계급장의 별도 원래는 아크였다.

    3.1.2.2 해군 및 해병대

    최초
    1946년 2월 1일
    ~[15]
    정령부령참령정위부위참위견습사관병조장상등병조일등병조이등병조일등수병이등수병견습수병
    1946년 12월 1일
    ~
    대령중령소령대위중위소위일등준위이등준위병조장일등병조이등병조삼등병조일등수병이등수병견습수병
    1994년 1월 1일
    ~
    현재
    대령중령소령대위중위소위준위원사상사중사하사병장상병일등병이등병

    창군 초기의 해군은 육군과 계급장은 물론 계급 이름도 달랐다. 장교계급은 육군과 마찬가지로 대한제국기의 계급명인 참·부·정에 위관과 영관을 사용했지만 수병의 계급은 견습수병-이등수병-일등수병이었고 하사관은 이등병조-일등병조-상등병조-병조장 순으로 올라갔다. 명명법은 2차대전기의 미 해군의 계급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고 병조라는 이름은 구 일본 해군의 번역을 그대로 가져온듯 하다.

    파일:Attachment/계급장/구해군장교.jpg
    1946년에 제정된 최초의 해군 장교 계급장

    파일:Attachment/계급장/구해군수병.jpg
    최초의 해군 수병 및 하사관의 계급장. 병조장의 계급장은 모표로, 정모에 부착했다.

    3.1.2.3 공군

    [1]
    창군초기(1949년)부터 1954년까지 사용된 병, 하사관, 장교 계급장. 준위 계급장이 누락되어 있는데, 소위 계급장이 세로로 쪼개진 반쪽짜리 모양이다.

    3.2 대한제국군

    • 대원수(황제)
    • 원수(황태자)
    • 대장
    • 부장(중장)
    • 참장(소장)
    • 정령(대령)
    • 부령(중령)
    • 참령(소령)
    • 정위(대위)
    • 부위(중위)
    • 참위(소위)
    • 특무정교(원사)
    • 정교(상사)
    • 부교(중사)
    • 참교(하사)
    • 상등졸(상병)
    • 일등졸(일병)
    • 이등졸(이병)

    계급장은 여길 참조.

    3.3 국민혁명군

    국민혁명군 문서 참조.

    3.4 일본군

    일본군/계급 문서 참조.

    3.4.1 경찰예비대

    경찰예비대 문서 참조.

    3.5 만주군

    만주군 문서 참조.

    3.6 나치 독일군

    3.6.1 SS 무장친위대

    슈츠슈타펠/계급 문서 참조.

    4 기타

    유격훈련때는 모두 계급장을 떼고 훈련에 임한다. 유격훈련조교가 훈련대상(올빼미)보다 계급이 낮으면 통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이 사회에서는 '계급장 떼고 하자'라는 말로 쓰는데 지위고하 막론하고 1:1로 붙잔 이야기. 대통령 vs 평검사같은 경우가 대표적. 故김근태 당시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도 노무현 대통령에게 주택분양원가공개 공약 불이행에 강력 반대하면서 이렇게 말했던 적이 있다.

    여담으로 해군 장교의 경우 동정복 착용 시 계급장이 상의 소매에 붙어있기 때문에 사진촬영을 할 때에는 앞에 책상을 가져다 놓고 그 위에 팔을 올려놓고 촬영한다. 그래서 제5공화국 시기에는 동정복 어깨에 육/공군처럼 견장을 달아서 견장에는 공통계급장을 다는 식으로 복제가 개정되었으나, 소매 계급장과 견장 계급장을 동정복에 함께 사용하는 것은 구 소련을 비롯한 공산권 해군이 하는 방식이라 하여 제6공화국 들어서부터 다시 원상복귀 되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계급장이 중요한 PVP용 장신구중 하나로 사용하여 행동불가 상태를 풀 수 있다. 급장!

    기타 전세계 군 경 기타조직 자료 필요하신 분들은 여길 참조.
    [2]
    다만 고증오류가 다소 있는 듯 하다. 당장 한국군 카테고리를 선택해 봐도....

    4.1 북한군의 계급장[16]

    조선인민군/계급

    북한군 계급장은 정복과 근무복에 다는 견장과 칼라에 다는 전투복용 계급장이 존재하며 계급장별로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이 존재한다. 모든 계급장에는 공통적으로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의 외곽선이 그어져 있다.[17] 육군은 적색, 해군은 흑색, 공군은 청색이다. 인민무력부에 근무하는 해군과 공군 인원은 모두 육군 복제를 착용하므로 계급장도 육군 것을 단다. 인민군에는 준사관이 없다.

    파일:Attachment/nkpalank.jpg

    한편 해군 군관은 국제적인 관례에 따라 동계 정복에는 수장을 사용한다.

    장령급 군관
    파일:조선인민군해군소장수장.jpg파일:조선인민군해군중장수장.jpg파일:조선인민군해군상장수장.jpg파일:조선인민군해군대장수장.jpg
    소장(준장)중장(소장)상장(중장)대장
    좌관급 군관
    파일:조선인민군해군소좌수장.jpg파일:조선인민군해군중좌수장.jpg파일:조선인민군해군상좌수장.jpg파일:조선인민군해군대좌수장.jpg
    중좌상좌대좌
    위관급 군관
    파일:조선인민군해군소위수장.jpg파일:조선인민군해군중위수장.jpg파일:조선인민군해군상위수장.jpg파일:조선인민군해군대위수장.jpg
    소위중위상위대위
    • 사병

    북한군의 사병은 한국군이나 미군의 사병과는 체계가 약간 다르다. 사병은 각 군을 상징하는 색 바탕에 노란 줄로 계급장이 표시되어 있다.

    전사 / 노란줄은 없고 그냥 각 군을 상징하는 색만 칠해져 있다.

    하급병사 / 각 군을 상징하는 색 바탕에 가는 세로줄이 하나 그어져 있다.

    중급병사 / 각 군을 상징하는 색 바탕에 가는 세로줄이 두개 그어져 있다.

    상급병사 / 각 군을 상징하는 색 바탕에 가는 세로줄이 세개 그어져 있다.

    • 사관

    북한군에서는 다른 군대에서 부사관이라 부르는 계급을 사관이라 부른다. 사관은 사병과 마찬가지로 각 군을 상징하는 색 바탕에 노란 줄로 계급장이 표시되어 있다.

    하사 / 각 군을 상징하는 색 바탕에 굵은 세로줄이 하나 그어져 있다.

    중사 / 각 군을 상징하는 색 바탕에 굵은 세로 하나에 가는 세로줄 하나가 그어져 있다.

    상사 / 각 군을 상징하는 색 바탕에 굵은 세로 하나에 가는 세로줄 두개가 그어져 있다.

    특무상사 / 각 군을 상징하는 색 바탕에 굵은 세로줄이 하나 그어져 있고 가로로 T자 모양으로 굵은 줄이 하나 더 그어져 있다. 한국군에서의 원사의 역할을 한다.

    201005161552211.jpg
    또한 전문기술병과 소속 사관인 '초기복무(超期服務)사관'은 일반 사관과 계급장 디자인은 같으나 바탕색이 금색, 줄 색이 붉은색으로 배색이 반대로 되어있다.

    • 군관

    북한군에서는 다른 군대에서 장교라 부르는 계급을 군관이라 부른다. 군관은 사관이나 사병과는 달리 예복용은 금색, 정복과 전투복용은 녹색 바탕에 각 군을 상징하는 색갈의 띠와 금색 별이 박혀있다. 군관의 경우 외국의 군대가 각 신분당 3개의 계급이 존재하는 반면 조선인민군의 경우 4개씩 존재한다(상급 장교 문서 참조). 또한 소위~ 대좌까지의 군관은 계급장 상단에 자신의 병과가 부착된다.

    소위 / 금색/녹색 바탕에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의 줄이 세로로 한 줄 그어져 있고 별이 한 개가 박혀있다.

    중위 / 금색/녹색 바탕에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의 줄이 세로로 한 줄 그어져 있고 별이 두 개가 박혀있다.

    상위 / 금색/녹색 바탕에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의 줄이 세로로 한 줄 그어져 있고 별이 세 개가 박혀있다.

    대위 / 금색/녹색 바탕에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의 줄이 세로로 한 줄 그어져 있고 별이 네 개가 박혀있다.

    소좌 / 금색/녹색 바탕에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의 줄이 세로로 두 줄 그어져 있고 별이 한 개가 박혀있다.

    중좌 / 금색/녹색 바탕에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의 줄이 세로로 두 줄 그어져 있고 별이 두 개가 박혀있다.

    상좌 / 금색/녹색 바탕에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의 줄이 세로로 두 줄 그어져 있고 별이 세 개가 박혀있다.

    대좌 / 금색/녹색 바탕에 각 군을 상징하는 색의 줄이 세로로 두 줄 그어져 있고 별이 네 개가 박혀있다. 별은 병과마크-★-★-★★ 의 형태로 박혀있다.

    소장 / 금색/녹색 바탕에 줄은 그어져 있지 않고 위관급이나 좌관급 군관의 별보다 2배 가량 큰 크기의 별이 한 개 박혀있다.

    중장 / 금색/녹색 바탕에 줄은 그어져 있지 않고 위관급이나 좌관급 군관의 별보다 2배 가량 큰 크기의 별이 두 개 박혀있다.

    상장 / 금색/녹색 바탕에 줄은 그어져 있지 않고 위관급이나 좌관급 군관의 별보다 2배 가량 큰 크기의 별이 세 개 박혀있다.

    파일:Attachment/nkmarshal.jpg
    대장 / 금색/녹색 바탕에 줄은 그어져 있지 않고 위관급이나 좌관급 군관의 별보다 2배 가량 큰 크기의 별이 네 개 박혀있다.

    차수 / 금색/녹색 바탕에 왕별이 그려져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장이 왕별 안에 들어가 있다. 총참모장 이영호 등 8명이 이 계급을 달고 있었으나 이영호는 숙청되고 현영철이 차수로 승진하여 대신 총참모장이 되었다.

    조선인민군 원수 / 금색/녹색 바탕에 왕별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장이 분리되어서 그려져 있다. 현재 이을설 한 사람만 이 계급을 달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웬수 원수 / 금색 바탕에 왕별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장이 분리되어서 그려져 있고 왕별은 반쪽짜리 목련으로 수를 놓았다. 김정일 한 사람만 이 계급을 달았었으나, 2012년 7월 18일부로 김정은이 이 계급으로 진급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웬수 대원수 / 금색 바탕에 왕별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장이 분리되어서 그려져 있고 왕별 전체를 목련으로 수를 놓았다. 현재까지 김일성만이 생전에 이 계급을 달았고, 김정일은 죽은 뒤에 추서받았다. 김정은도 달지 못하는 전설의 계급장
    1. 흔히 클리셰에서 언급되는 하극상의 장면에서 나오는 대사는 "계급장 떼고 맞장뜰까?"
    2. 경범죄처벌법 제1조의8(관명 사칭등). 국내외의 관공직·계급·훈장·학위 그 밖에 법령에 의하여 정하여진 명칭이나 칭호등을 거짓으로 꾸며 대거나 자격이 없으면서 법령에 의하여 정하여진 제복·훈장·기장 그 밖의 표장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사용한 사람
    3. 형법 제118조(공무원자격의 사칭) 공무원의 자격을 사칭하여 그 직권을 행사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서든 어택의 경우 캐릭터 현질이 가능한데 계급이 소위 이상이 되어야 현질대상이 된다.
    5. 이 계급을 받은 사람은 아직 없다.
    6. 헌데 국방부 홍보용 웹툰에서는 강릉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 대체 뭐가 진실인 거야?! 계급장을 교체할 수 밖에 없는 진급자를 우선으로 하여 천천히 교체하고 있었으나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도중 위장과 위장 및 피아식별 등의 목적으로 검은 칠을 해서라도 바꾸게끔 하였다
    7. 들의 진급신고시에 중대장이 진급하는 계급의 계급장을 양면테이프로 붙여준다고 한다.
    8. 의장병·군악병에게는 행사시 흰색 세일러복 형태의 하정복도 지급된다.
    9. 본부세관, 세관, 세관 감시소 등에 근무한다.
    10. 솔개가 지구본을 움켜쥐고 왼쪽으로 날아가는 모양… 솔개랑 세관이랑 무슨 상관인지 모르겠다
    11. 관세공무원 복제 규칙(기획재정부령) 하단 별표1 등 참조
    12. 교정본부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쪽 인원이 워낙 많아 이들이 빠져나가면 법무부 덩치가 확 쪼그라들 것이다.
    13.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의 계급장은 금속무궁화 다섯개가 가운데의 출입국 V.I를 감싼 형태의 완성된 무궁화 하나이다. 출입국 V.I는 출입국 Visual Identity를 가리키는데 비둘기와 태극문양을 형상화해서 태극, 사람, 화합, 세계화를 상징한다고…
    14.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의 경우 모자 차양에 큰 무궁화 4개와 무궁화 잎 5줄이 들어간다. 하지만 출입국관리공무원이 아닌 검사가 본부장에 낙하산임명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보긴 어렵다.
    15. 병조장 이하는 6월 1일 제정.
    16. 대한민국 헌법 제3조에 의거, 북한을 국가가 아닌 휴전선 이북지역을 무단 점유중인 대한민국 내 반국가단체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기타탭으로 기술
    17. 김일성에게만 유일하게 주어진 대원수 계급장은 육군의 색인 적색 외곽선이 그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