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륜파(풍종호)

1 개요

풍종호의 무협소설에 등장하는 많은 문파들 중 구정(九鼎)의 비밀을 지키는 업을 받아들인 문파들을 신주제파(神州諸派)라 하는데, 곤륜파(崑崙派)도 그중 하나이다. 다른 무협소설에서는 곤륜파를 단일된 하나의 문파로 보는 경우가 많으나, 풍종호 월드에서는 아니다. 곤륜이라는 넓은 산맥에 걸쳐있는 여러 문파를 합쳐서 곤륜파로 지칭하며, 신주제파의 수가 세월에 따라 변하기도 하는 것처럼 곤륜에 속하는 문파들의 수도 변한다.

중원에서는 곤륜에서 넘어온 이들을 부르기 편하게 뭉뚱그려서 곤륜파라고 부르는데, 그들이 사용하는 공통된 무공으로는 용조수(龍爪手), 운리보(雲履步), 용형신행(龍形神行)이 있다.

검신무(劍神舞)』에서 하후염의 설명을 통해 여전히 신주십삼파(神州十三派)의 일문이며, 일가(一家), 이궁(二宮), 삼보(三堡), 사문(四門)의 곤륜십주(崑崙十柱)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진다.[1]

2 행적

풍작가의 여러 작품 중에서도 아직까지는 『경혼기』에서만 등장한다.

2.1 경혼기(驚魂記)

곤륜파는 신주십일파(神州十一派)의 일문이며, 곤륜오문(崑崙五門)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분뢰수(奔雷手)는 자신의 잃어버린 기억을 찾기 위해 비무를 벌이는데, 천축을 지나 중원에 들어서기 전에 곤륜파에 이르면서 오문의 문주들과 비무를 한다.

  • 곤륜검문(崑崙劍門) : 당대문주는 곤륜신원(崑崙神猿) 이장천이며, 분뢰수와 겨룬 절기는 절세의 검법인 운룡십삼회(雲龍十三廻)와 신법 금안행운(金雁行雲)이다.
  • 곤륜도문(崑崙刀門) : 월광도(月光刀) 사준우가 용비십구도(龍飛十九刀)를 펼쳐서 여섯 번이나 덤비지만, 모두 패한다. 이어 곤륜검문주와 함께 양의인(兩儀刃)을 펼친다.
  • 곤륜운궁(崑崙雲宮) : 운고, 운령의 아버지인 운해룡이 주인이며, 옥룡장(玉龍掌)을 사용한다. 패한 뒤 삼원세(三元勢)로 분뢰수를 합공한다.
  • 곤륜선문(崑崙仙門) :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장문인이 아닌 담송이라는 장로가 나서서 겨루지만 패배한다. 후에 곤륜오문의 제일인자라는 곤룡선(困龍仙) 궁일평이 떠나는 분뢰수를 잡고 선운비뢰(仙雲飛雷)를 펼치며 덤비지만, 역시 패한다.
  • 곤륜비문(崑崙飛門) : 곤륜제일쾌(崑崙第一快) 일섬단운(一閃斷雲) 곡비가 비운축전(飛雲逐電)으로 덤벼보나 패배한다. 결국, 오문의 대표가 모두 패하자 다섯 명이 뭉쳐서 분뢰수를 합공한다. 그런데도 분뢰수에게 승리를 얻지는 못한다.

3 무공

  • 운룡십삼회(雲龍十三廻) : 세상에 널리 알려진 곤륜파의 절기인 운룡대팔식(雲龍大八式)에서 변화되어 나온 절세무쌍의 검법이다. 세상의 은원에서 벗어나 오직 선도(仙道)의 오의(奧義)를 추구하는 곤륜검문의 은자들이 이루어낸 검술이기에 곤륜파 전체의 절기가 아닌 오로지 곤륜검문만의 절기이다. 세상은 곤륜파는 알아도 그 안에 곤륜검문 같은 분파가 있다는 것은 모르고 있는데, 이 운룡십삼회는 그 곤륜검문의 이름보다도 더 알려지지 않은 비전검법이다. 그 위력은 천하칠대검법(天下七大劒法)에 버금간다고 한다.
  • 용비십구도(龍飛十九刀) : 검문의 운룡십삼회와 쌍벽을 이루는 도문의 비전도법이다. 도문주인 사준우가 용비십구도를 연환세로 한꺼번에 펼치지만, 분뢰수를 이기지는 못한다.
  • 양의인(兩儀刃) : 곤륜의 검과 도가 함께 펼치는 연수합격이다. 분뢰수 때문에 몇 대 만에 다시 합쳐진다.
  • 비운축전(飛雲逐電) : 비문의 비전절기로, 매우 빠른 신법이다. 그러나 분뢰수의 섬전영(閃電影)을 잡지는 못한다.
  • 선운비뢰(仙雲飛雷) : 선문의 비전절기이며, 불패(不敗)의 무공이라고 한다. 선문의 문주이자 곤륜파의 장문인인 궁일평이 분뢰수에게 사용한다. 한 번 패한 뒤에 계속하여 덤비다가 숲 한복판에 벌렁 눕게 된다.[2]
  1. 『경혼기』에서 천여 년이 흐른 뒤이기 때문에 오문에서 십주로 변화가 있다.
  2. 어떠한 형태의 무공인지 알 수가 없다. 다만, 선문의 장로인 담송이 주먹을 사용하고, 궁일평 역시 무기를 휴대하지 않은 것을 봐서는 권공이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