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응익

光鷹翼

천지무용 시리즈 및 듀얼! 패러렐룬룬 이야기의 등장하는 개념.

천지무용 시리즈에서는 황가의 나무만이 만들수 있는(1세대~2세대는 3장. 츠나미는 10장을 만들 수 있다) 분석불능의 에너지 장. 공격과 방어에 사용이 가능하며, 키를 지니고 있는 상태라면 황가의 나무의 힘을 빌려서 사람도 사용할 수 있다. 마사키 텐치는 맨몸으로 발생 시키는 데다가 그걸 또 물질변화까지 시킬 수 있는 특이한 케이스이다.

이게 뜨면 기존의 병기들이 거의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에 나무들을 독점하고 있는 쥬라이가 우주 제일의 군사대국이 되어버린다. 3, 4세대까지 통틀어도 몇백기가 되어보이지 않는데 은하를 주름 잡는다는걸 보면 광응익의 사기성이 보인다. 이후 하쿠비 와슈우의 료우키가 황가의 나무들과 동등하거나 압도하는 성능을 내보이자 국가 레벨의 경계심을 보이며 카미키 세토가 직접 와슈우와 담판을 지어 다른 국가에서 양산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낸다.

광응익의 정체는 초신(超神)(=고위차원지적존재)의 에너지가 발현된 것이다. 그래서 츠나미의 분신이나 마찬가지인 황가의 나무밖에 만들어 내지 못하는 것이며, 황가의 나무가 료우코의 보옥[1]에게서 에너지를 공급 받을 수 있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다만 텐치와 Z는 나무와의 교류가 없더라도 광응익을 스스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애초에 Z와 텐치가 삼여신이 예측 못한 이레귤러로서 탄생했기 때문이다. 즉 대부분의 광응익은 츠나미의 에너지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지만 텐치나 Z가 만드는건 종류가 다르다. 텐치는 무의식 레벨에서 제어를 걸고 있었는지 쓸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는 절대로 자의적으로 꺼내지 못했다고 한다.

더불어 황가의 배와 후쿠가 공진했을때 광응익에 변화가 있었고 료우코료오키도 Z가 펼친 광응익을 넘어 데미지를 주거나 3세대 이하 황가의 나무들을 상대로 무쌍을 찍은걸로 보아 광응익, 혹은 그와 비슷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지고 보면 그녀들은 하쿠비 와슈우의 직계자손들이니 1세대 이하 광응익에게 영향을 주는건 당연할지도 모른다.

초기 설정에 따르면 봉인풀린 료오코가 광응익의 힘을 낼수 있다고 했지만 현재 없어진듯 언급조차 없다. 듀얼! 패러렐룬룬 이야기에 등장했던 진브(Zinv) 역시 리미터를 해제하면 2장의 광응익을 발생시킬수 있다. 다만 이 광응익이 천지무용 시리즈의 츠나미과 관계가 있는지는 불명. 말그대로 페러렐이라. GXP에 등장한 진브와 닮은 카미타케[2] 역시 사용 가능하다. 이쪽은 츠나미의 직계의 힘이 맞다.

황가의 나무 외에 광응익을 발생시킬수 있는 것들

  • 마사키 텐치 - 3장+물질변환 ->(3기 이후) 6장 이상+물질변환
  • Z - 5장이상
  • 진브 - 2장
  • 카미타케 - 6장이상[3]
  1. 하쿠비 와슈우의 힘
  2. 외형도 비슷하며 神武는 진부로도 카미타케로도 읽을수 있어 일종의 자가패러디.
  3. 광응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해도 텐치같이 스스로 발현시키는게 아니다. 여러가지 요소가 합쳐져서 6장의 광응익을 발휘 할 수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