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포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파일:Attachment/gupo01.jpg

1 개요

1993년 3월 28일 오후 5시 29분 당시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2동 경부선 구포역 인근(서울 방향으로 2.5km) 하행선에서 서울발 부산행 제117호[1] 무궁화호 열차가 탈선 및 전복하여 78명 사망, 198명 부상(중상 54명 경상 144명)을 기록한 대참사이다.

파일:Attachment/gupo02.jpg

구포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혹은 구포 무궁화호 참사 줄여서 구포참사라고 통칭한다.

당시 뉴스 동영상 링크

2 상세

2.1 사고 과정

파일:Attachment/gupoaccident.jpg
파일:Attachment/gupoaccident2.jpg

인명피해가 많은 대형참사였음에도 불구하고 사고 열차를 운전한 기관사가 생존한 덕분에 일련의 전후 상황이 상세히 파악 가능했다. 당시 117호 무궁화호는 전역인 물금역을 지나고 구포역[2] 정차를 앞두고서 시속 85km 속도로 해당 구간을 통과 중이었다. 그러다가 사고 지점 100m 전에서 사고 지점의 선로 지반이 무너지는 모습을 기관사가 발견하여 비상 급제동을 시도했다. 그러나 제동거리가 부족했던 탓에 결국 기관차와 발전차 객차 2량이 무너진 지반으로 전복 곤두박질 쳤다. 뒷차량도 탈선했다.

파일:Attachment/gupo03.gif

기관사는 생존했음에도 기관차 뒤에 연결된 객차 2량은 구덩이에서 전복하여 충돌하였다. 특히 기관차에서 가장 가까웠던 맨 앞의 객차는 각종 기계들로 가득 찬 쇳덩이와 같은 발전차와 직결된 상태에서 충돌하였다. 서행 중도 아닌 85km/h의 속도로 중속 주행 중에 100m 전방에서 갑자기 노반이 무너져 내린 상황이다보니 기관사가 제대로 손쓸 겨를도 없이 그 속도 거의 그대로 충격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결국 발전차와 직결된 객차는 사진과 같이 휴지처럼 구겨져 버릴 정도로 끔찍하게 파손 될 수밖에 없었고 인명피해 또한 이 객차에서 가장 많이 나왔다. 당시 보도나 후일담에 의하면 형태가 심하게 훼손된 시신 잔해를 수습하는 등 차마 말로 표현하기 힘든 끔찍한 수준이었다고 한다. 첫 사진에서 왼쪽 아래쪽에 있는 차량이 발전차량이다. 객차 뿐만 아니라 앞의 기관차도 반을 날려먹었을 정도인데도 외형이 멀쩡한 만큼 사고 당시의 무게와 에너지량은 상당했을 것이다.

2.2 사고 원인

400px
위 사진에는 삼성종합건설의 미허가 구조변경 사실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 실제로는 노반 바로 아래에서 발파, 붕괴되었다.

사고 당일 MBC 뉴스센터의 꼭지 중 하나. 철도청의 긴급대책본부 구성을 전하는 기사이다. 58초 경 사고 원인으로 ' 우리청과 협의 없이 삼성종합건설에서 노반 25m 지하에 한전 전선관 매설작업 중 노반침하 '라고 분명히 적혀 있다.

선로의 지반침하, 즉 땅이 꺼진 이 황당한 사건의 원인은 사고 당일 밝혀졌다. 사고 지점에서 선로를 관통하는 지하전력구 공사가 있었기 때문.(...) 설마설마 했으나 실제로 지반 아래에서 지하전력구 설치를 위해 발파' 작업을 했음이 드러났다. 그것도 시공사 삼성종합건설'맘대로. 영화에서나 보는 열차 테러와 별반 차이가 없다.(...) 공성전에서 땅굴파서 성벽붕괴시키는 원리와도 유사하다.

실제 발파는 하도급을 받은 한진건설이 수행하였다. 그렇지만 삼성종합건설의 지시 하에 일어난 일이라 책임은 한진과 삼성종합건설에게 있었다.

철도법에는 선로 밑 발파 작업은 커녕 선로 주위에 나무도 함부로 못 심게 되어 있다. 선로 지하물의 공사와 설치는 코레일이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시공사가 법을 무시하고 공사를 진행한 100% 인재였다.

2.3 사고 여파

파일:Attachment/gupo04.jpg

280여 명(당시 승객이 600여 명이다) 사상자를 냈다. 이후 후속 조치로 선로 30m 근처 공사는 교통부에 신고를 해야 하고 벌칙 조항도 강화되었다.

이 사고로 삼성종합건설 사장과 전무 한전의 처장 및 현장소장 등등 공사 관계자 15명이 구속되었다. 하지만 대법원에서는 회사 대표 진급 6명에 대해서 과실치사상죄에 대해 무죄를 선고해버렸고, 이들의 뇌물공여에 대해서 집행유예로 2심에서 유죄로 인정하는 정도에 그치게 된다. 이 사고 이후 연이은 대형참사가 지속되는 상황이 되어 가면서 엄정한 법집행을 해야 할 사법기관에서 책임이 가장 큰 경영진에게 면죄부를 줬다는 비판이 점차 쏟아져 나오기도 했다.법 위에 삼성

결국 시공사였던 삼성종합건설은 당시 법률상 최고 기간이었던 6개월 영업 정지를 당했고, 해당 기간동안 국내 수주는 불가능 해졌다. 그외에 2천 5백 50만원의 과징금을 물었고 6개월 영업정지로 인해 예상되는 수주 손실액이 1조원이었다. 이후 삼성종합건설은 삼성건설로 사명을 바꾸었다가 1996년 삼성물산에 흡수되어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된다. 사실상 이 참사의 영향으로 엄청난 부정적 이미지를 씻어내고자 내린 그룹 차원의 자구책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름만 바꿔봤자 똑같은 놈임은 다 알았기에, 삼성물산은 부산 지역에서 천하의 개쌍놈 기업으로 낙인이 찍혀 버린다. 실제로 삼성물산은 구포 참사 이후 10년 가까이 부산권 지역에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설 사업과 관련하여 얼씬거릴 수 없었을 정도로 그 후폭풍이 대단했다 볼 수 있다.창업주셋째 아들의 출신지가 경상남도였으니[3][4] 이 사건 이후로 삼성 브랜드는 쳐다도 안보는 사람도 생겼으며, 특히 이건희를 씹어죽일 놈이라 욕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5]

아이러니하게도 삼성 건설이 싱가포르 등 동남아에 먼저 진출한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으로 삼성건설은 국내 공사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로 입찰을 받지 못 해 해외 진출에 눈을 돌렸기 때문이다. 그전까지의 해외 진출은 토목플랜트 분야가 대부분이었지만, 아파트등 주거와 사무용 건물이 타깃임이 특기할 점이었다. 덤으로 IMF 사태도 비켜가고 해외진출한 결과 그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의 초고층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서울 강남구 도곡동타워팰리스를 시공하고, 두바이의 세계 최고층 빌딩을 시공 하기에 이르렀으며[6] 삼성물산의 아파트 브랜드인 래미안은 아파트 브랜드 선호도 1위를 달리고 있으니 정말 새옹지마다.

하지만 2014년 잠실 석촌 일대에서의 싱크홀 현상이 삼성물산 건설부문에서 맡은 지하철 공사 구간의 부실공사 때문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오면서 새옹지마라는 말도 무색해지는 상황이다. 좋았다가 다시 안 좋아지니 새옹지마의 연속일지도 모른다 특히 사고가 발생한지 21년이 지난 상황에서 지하에서의 부실시공으로 인한 지반 침하라는 똑같은 이유로 사고를 친다는 점에서 아직도 정신을 못차렸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

3 이야깃거리

  • 인명 피해도 심각했지만 국내 철도망의 대동맥이라 할 수 있는 경부선이 끊긴 대형 사고였기에 철도 여객 및 화물 수송에 큰 차질을 빚기도 했다. 단순한 열차 충돌 사고가 아닌 철도 노반이 무너져 내렸기에 복구에도 시간도 많이 걸릴 수밖에 없었지만, 그나마 사고 현장이 경부선에서 종점인 부산역에 가까운 구간이어서 수송 차질이 덜 했다고 볼 수 있겠다. 사고 직후에는 부산역에서 출도착하는 경부선 열차들을 긴급 우회시킬 수 있는 동해남부선 분기구간을 활용한 우회 운행을 유도했으며, 이후 사고 현장 인근 부지에 임시 선로를 가설하여 해당 구간을 긴급 복구 시키고 열차를 통행하게 했다.
  • 이 지역에 한동안 유령 열차 이야기가 생겨났었다. 아이가 깔렸다며 발을 동동 구르며 구해 달라는 젊은 여자의 유령이 나온다거나, 바퀴소리와 함께 울음소리가 들린다는 등의 소문이 돌았다.[7]
  • 해당 사고가 났던 장소는 2000년 경부선의 직선화 작업으로 선로의 각도가 약간 조정되었으나 현재도 열차들이 사고 현장이었던 곳을 통과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덕천역 7번 출구 기점으로 서쪽에 위치하고 펌프장 저수장을 북쪽으로 약간 끼고 있는 경부선 선로 구간이 바로 당시 사고 현장이다. 당시 사건을 전한 신문에 의하면 선로 앞쪽에 호텔이 있었다고 한다.
  • 14년 뒤인 2007년 6월 4일 가좌역에서 지반 침하 사고가 일어나 유사한 사고가 생길 뻔했다. 다행히 사건이 일어나기 3분 전에 열차가 모두 통과하여 인명 피해는 없었다. 하지만 고양차량기지와 수색차량기지에서 경부, 호남선 KTX 및 새마을, 무궁화 열차가 출고되지 못하여 열차 운행에 큰 혼란을 빚었으며 통근열차로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 19년 뒤인 2012년 6월 3일 천안역에서 지반 침하 사고가 일어났다. 원인은 선로 밑으로 지나던 지하차도 공사로 이 사고로 회차를 하던 전동차가 탈선을 하여 10시간 동안 장항선에 헬게이트가 열렸다.
  • 삼성건설의 전신이라 할 수 있던 삼성종합건설은 1978년 신원개발을 인수, 통합된다. 이 신원개발은 본래 신진그룹 계열이었다. 신진그룹은 신진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던 기업집단으로 현재 신진자동차고등학교도 본래 이 그룹 재단의 학교다.
  1. 당시 본 열차는 12시 45분 서울역을 출발해서 5시 41분 구포역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2. 현재와 달리 사고 당시에는 화명동 일대가 개발 바람이 불기 전이라 화명역은 없었다.
  3. 부산은 경남과 다르다고 굳이 구분 지으려는 의견들이 있는데, 사실 부산광역시도 행정구역 상으로 1963년 직할시 제정 이전에는 경상남도 지역이었고, 사회문화적으로도 오랫동안 경상남도 지역들과 긴밀한 관계를 이어가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들을 서로 관계도 없는 다른 지역인것처럼 굳이 구분 지으려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4. 사실 부산과 경남이 갈등이 생기기 시작한건 2000년대 들어와서이며, 지방자치가 발달하면서 경남의 발언권이 세지면서 부산을 견제하기 시작하면서 부터이다.
  5. 하지만 2010년대 이후로 삼성물산은 부산지역 아파트 사업에 재진출을 꾀하였고, 실제로 2014년에 장전 래미안 분양에서 상당한 경쟁률을 자랑하며 부산지역 재진출에 성공하였다.
  6. 그 당시 삼성건설의 위상은 현대건설, 동아건설 의 대리가 삼성 와서 과장 다는 정도의 2류 수준의 기술력이었다.
  7. 영화 레드아이의 소재중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