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화목

petrified wood

1 개요

나무나 식물등이 화석화되어 나이테등 생장모습이 남아있는 특수한 유형의 화석에게 붙여진 말이다.

2 생성과정

일반적인 경우에는 나무가 죽거나 가지등이 떨어지면 미생물에게 분해되지만, 늪지대, 진흙이 많은 갯벌, 습지나 화산재, 모래등에 빠르게 묻히면 나무의 성분을 광물이 대체해서 규화목이 된다.[1]

3 침투하는 광물과 색

주로 석영이나 규산염계열의 광물이 침투하며 단백석등으로 변한다. 규산염이 아닌 경우엔, 탄소가 침투하면 검은색이 되고, 코발트나 크로뮴,고무가 침투하면 초록이나 푸른색이 된다.망가니즈가 침투하면 핑크나 오렌지, 철이 침투하면 붉은색이나 갈색,노란색 등을 띈다.사진이 있다면 추가바람.

4 연구

광물이 대체해도 줄기조직, 구조, 나이테 등의 형태는 그대로 보존된다. 따라서 규화목은 당시의 기후,당시의 식물 생태등을 연구할수 있게 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숲이 통째로 규화되기도 하며 이를 통해 규화목이 되는 과정을 알수있다.

5 출토지역 및 지층

오스트레일리아,벨기에, 인도네시아,브라질,중국,체코,독일,에콰도르,이집트,인도,프랑스,그리스,인도,나미비아,리비아,이스라엘,영국등 세계 곳곳에서 출토된다. 트라이아스기,신생대등 각시대의 지층에서 출토된다.

6 여담

인터넷에서 구매할수 있는데 100만원이 넘기도하는등 가격은 꽤 비싸다.

아르헨티나에는 규화목 숲 국립 공원이 있다.
  1. 미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에 떨어지면 광물이 대체하기 전에 (엄청 오래 걸린다) 분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