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

給食.

1 개요

한국은 1분 3초부터 나온다.

사전적으로는 '식사를 공급하는 일' 전반을 가리키는 말. 그러니까 남의 집에서 을 얻어 먹어도 문자 그대로 '급식'이 되는 것이다. 다만 순수 사전적인 의미로서의 급식은 잘 쓰이지 않으며, 급식이라는 단어는 대개 '단체 급식'을 의미한다.

2 상세

사실 급식이란 개념의 시초는 다름아닌 영국이었다. 산업 혁명 이후 저소득층의 식사 식단이 상당히 부실해지자 성장기 어린이들이 영양 공급이 부실해지니 자연히 성장이나 발육이 정상적으로 될 리가 없었다. 그 결과 보어 전쟁 당시 신체검사를 통과하지 못하는 청년들이 늘어나자 위기감을 느끼기 시작한 영국 정부가 아이들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자 급식을 제공하기 시작한 것이 지금의 급식의 시초가 된 것이다. 그나마도 초창기 중앙정부에서 통제하던 시절에는 우유 전면 무료 제공[1] 및 나름 영양사를 배치해서, 학교 단위가 아니고 지역 단위라서 약간 불완전 했지만 맛은 없을지언정 괜찮은 식단을 제공하던 시절이 있었다.

현대적인 급식, 그러니까 단체 급식의 정의는 '기관 및 단체에서 대량으로 제공해주는 식사'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대개 '단체 급식'하면 또 학교 급식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실상 위의 조건에 부합하는 급식은 많다. 무릇 학교의 급식에서부터 관공서 및 기업의 구내 식당, 그리고 군대짬밥도 여기에 포함 된다. 물론 보다시피 각자 고유의 이름을 가지고 있기에, 학교 급식만의 이름으로 쓰이고 있는게 현실이다. 영어로도 대응되는 말이 'School meal(학교 식사)' 하나 밖에 없으니 말 다 했다. 해당 항목에서 급식은 어디까지나 '학교 급식'에 한정해서 사용한다.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존재하는 급식 관련 자료들 중 가장 오래된 최초의 급식은 1870년 영국에서 존재하였으며, 오늘날과 같이 체계적으로 제공되는 급식은 1944년 등장했다고 한다. 최초의 급식은 사실 '저녁'으로서 제공되던 식단이였고, 이후 아동들의 학업 시간 관련 규제가 만들어지면서[2] 점심으로 옮겨져 왔다. 또한 당시에는 영국적이지 않게 영양학적으로도 잘 설계된 급식을 제공했다고 한다.(!!!) 그러나 1980년 마거릿 대처 수상의 집권 시기에, 급식에 들어가는 비용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급식 제도를 지방 정부의 완전 자율에 맡기기로 결정하면서 영국 급식은 오늘날 우리가 잘 아는 막장 오브 막장이 되어버렸다. 망했어요 영국의 의학 연구 위원회(Medical Research Council)가 1999년에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대처 수상이 집권한 1980년 이후 급식을 제공받은 아이들의 건강 상태가 집권 이전인 1980년 이전 급식을 제공받은 아이들의 건강 상태보다 훨씬 더 나빴다고.

한편 영국의 문화를 거의 그대로 물려받은 미국 역시 1900년경부터 급식 시스템이 존재해왔으나, 미국 특유의 '자유주의 정책' 덕분에 규정은 있으나 잘 안 지켜진 덕분에 영국과 큰 차이가 없는 막장 수준에 그치고 말았다. 그나마 2009년을 기점으로 미국 내 급식 제도에 관한 문제점들을 지적한 연구 결과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어떻게 바뀔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유럽 국가들의 경우 사실상 영국에서 처음에 나왔던 급식의 '초심'을 비교적 잘 지키고 있는 편이다. 의무적으로 급식에 과일을 얼마 정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등 비교적 '영양'과 '맛'의 중도를 잘 추구하고 있는 편. 이는 일본 급식도 마찬가지다.

한국의 경우 법적으로 학교별로 영양사를 무조건 배치해야하기 때문에[3] 영양학적인 측면으로서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타 국가들 대부분의 경우 학교별로 이렇게 하나하나 영양사가 배치된 경우는 많지 않다고. 보통 한 지역별로 영양사가 배정되어 있어서 해당 지역의 학교들이 같은 한 명의 영양사에게 동시에 자문을 구하는 수준. 실제로 한 고등학교 급식 실태 조사서에 의하면 급식을 먹지 않고 매점에서 사서 먹거나 점심시간에 학교 담장을 넘어 탈출해서 밖에서 끼니를 때우고 오는 경우가 70%이상이라는 결과도 나왔었다 너그럽게 배식해주는 밥만이라도 높게 쌓아올려 양념까지 탈탈 긁어먹는 처절함이 매 급식시간마다 일어나고 있다. 번화가 인근의 학교에서는 급식 기근이나 심각한 맛에 시달리다 못해 학생들이 인근 식당으로 집단 탈주하며 지역 상권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기현상 또한 흔히 벌어진다.

대체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지역들의 예시를 들어서도 알 수 있지만 급식이라는 것은 보통 국가에서 제도로서 강제하고 있어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그런 만큼 국가도 급식에 대한 지원을 꼬박꼬박 해주는 편인지라, 결국 국가가 급식 제도를 시행할 능력이 안되면 급식이라는 제도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진다.

하지만 사립 학교는 그런거 없다. 해당 국가의 부유층들이 많이 다니는 학교(라고는 해도 대부분이 사립 학교 이지만)의 경우 학교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뭐 근데 진짜 레알 부유층은 학교에서 주는 밥 따위 먹을리가...

급식 제공 방식은 해당 단체에서 직접적으로 행하는 '직영' 급식과, 급식 전문 업체에게 대신 행하는 '위탁' 급식이 존재한다. 유럽과 미국의 경우 직영이 대부분인 반면, 한국의 경우 위탁형이 대부분이라고.

왠지 학교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존재가 되어버리기도 한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랬다고 역시 먹는게 좋아야 다른게 눈에 들어온다는 것인가... 급식의 퀄리티가 높은(그러니까, 구성이 다양하고 영양적이며 위생적이고 자연 친화적으로 이루어진그냥 고기가 많은) 학교는 왠지 세계에서 제일 좋은 학교로 비추어지고, 그렇지 않은 학교는 후진 학교 취급을 벗어나지 못한다.

요즘에는 세상이 참 좋아져서 그런지, '우리학교 클라스' 같은 SNS 학생 관련 페이지에 들어가면 자기 학교 급식들을 자랑하는 사진들을 많이 볼 수 있다.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다[4]

3 학생을 일컫는 신조어

급식&학식이 뜻하는 의미는? - 문희준의 순결한 15+

초등, 중등 교육을 받고있는 학생, 혹은 그 나이대를 지칭할 때 급식이라 말하기도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초, 중, 고등학생들은 "급식"을 먹으니까. 대표적으로 급식팬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학생 팬들을 의미하며 일반 성인 팬들과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다. 네이트 판, 인스티즈 등 아이돌 팬덤이 많은 사이트나 트위터 등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비슷한 말로는 위 자료에서도 나온 "학식". 대학생을 의미한다.

3.1 급식충

해당 문서 참조.

4 관련 항목

  1. 이 때 윈스턴 처칠은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투자는 아이들에게 우유를 마시게 하는 것이다.'라는 말을 했다.
  2. 같은 맥락으로 미성년자들의 방송 활동 시간 제한 등의 규제도 만들어졌다. 영화 해리 포터 시리즈의 제작 속도가 미적지근한건 이 때문.
  3. 학교급식법 제 2장 제 7조
  4. 당연히 1~2년전 생긴 충암고의 급식논란 (정확히는 급식비 횡령에따른 부실급식)같은 경우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