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발령

1 斷髮令

파일:QET1U8y.jpg
조선 후기에 김홍집 내각이 1895년 음력 11월 15일(양력 12월 30일)에 공포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칙령이다. 일단 사전에 고종과 세자(순종), 그리고 내각의 신하들이 반쯤은 강제로 상투를 잘랐다.

이를 주도했던 내부대신 유길준은 해외 정세에 밝은 사람으로[1] 상투보다는 단정하고 짧은 머리가 위생적이고 일상의 작업 효율을 높여준다고 선전하였다.

그러나 이는 유교의 가르침 중 하나인 "신체발부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즉, "사람의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이것을 감히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란 가르침과 정면으로 대치되었으며 '손발을 자를지언정 머리카락은 자를 수 없다'며 손발도 신체라는 것은 잠시 잊자 선비와 유생들은 물론이고 일반 민중들마저 크게 반발했다.

그러나 강제로 시행하게 되어[2]. 지방으로까지 관리들이 파견되어 지나가는 길마다 다짜고짜 상투를 자르고 가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고, 그 결과 사람들이 왕래를 하지 않아 물자가 부족해져 잠시간 인플레이션 사태도 있었다. 동시에 그 이전까지만 해도 사진찍는 걸 꺼려하는 풍토때문에 파리만 날렸던 사진관들은 머리 자르기 전 상투 온전한 사진을 남겨두려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이어지면서 호황을 누렸다.

결국 을미사변과 함께 반일 감정이 증폭되는 계기가 되어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결국 아관파천으로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고 이완용을 중심으로 하는 친러시아 내각이 등장, 단발령을 철회하여 소동은 일단락되었다.
여담으로 이 때 고종머리카락을 잘랐던 정병하는 아관파천 이후 피살당했다.

하지만 1900년에 다시 단발령이 시행되자 이 때는 아주 평온했다고. 그도 그럴 게 이 시기에 이르면 대한제국 자체가 스스로 본격적인 서양풍 근대화를 추진하던 시기인지라 서양풍속인 단발에 대한 거부감도 많이 줄었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에서는 박은식 등으로 대표되는 유학의 개신을 주장하는 청년 유림들이 상투를 유지하지 않아도 효행을 준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널리 퍼뜨렸기 때문에 가능했다. 즉, 정책의 뒷배경에 의도가 의심스러운 이들이 존재했기 때문에 첫 단발령은 실패로 돌아간 것이고, 스스로의 필요성을 자각한 상태에서 두 번째로 진행한 단발령은 성공적으로 정착한 셈이다. 하지만 1930년대까지 단발을 거부하는 사람들도 존재했다.


여담이지만, 상대방의 머리카락을 강제로 깎게 하는 행위들에는 단발령 드립이 많이 나온다.
대표적인 예로 현재도 논란이 심한 중고등학교의 두발 규제 등에 단발령 드립을 하는 경우도 있고,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에서 칼라아몬에 의해 오염되어 버리는 바람에 프로토스들은 신경삭을 잘라야만 했는데, 이게 묘하게 단발령과 매치되어서인지 한국에서는 우스갯소리로 단발령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적절한 콜라보레이션 신이슬이 단발하면 어떻게 될지는 상상에

2 斷髮嶺

강원도 김화군 통구면과 회양군 내금강면 사이에 있는 고개 이름으로 신라마의태자(麻衣太子)가 이 고개에서 삭발했다해서 ‘단발령’이라 불렀다. 높이는 약 834m다,
  1. 한국 최초의 일본, 미국 국비 유학생이었다.
  2. 강제시행이라는 방식 때문에 한국에서는 이를 민족정서 약화와 연관짓곤 한다. 근데 사실 그 이전에 일본도 법적 강제의 방식으로 서양식 머리를 전체 남성에게 강제했다. 그 이전엔 일본인들도 앞머리카락을 민 촌마게라는 상투를 틀고 다녔다. 물론 당시에도 반발이 거셌지만 덴노가 머리카락을 짤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바로 잠잠해졌다(...). 그 외에도 러시아 제국에서 표트르 대제가 서구화를 추진한다는 명목으로 러시아인들의 길고 아름다운 수염과 머리를 파리 귀족들처럼 단정하게 자를 것을 명하자 반발하기도 했다. 러시아도 조선과 비슷하게 수염은 하느님께서 내려주신거라 손대면 안된다는 관념이 있었다. 중국도 마찬가지로 청나라 초기때 막 중국을 정복한 만주족이 한족에게 변발을 강요했고 반발이 심했지만 각종 강경책을 동반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해서 변발이 정착된 바 있으며,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망한 후 변발금지령이 내려졌을 때는 이미 변발이 한족들 사이에서도 전통으로 자리잡은지 오래라서 이에 대해 다시 거센 반발이 있었지만 가위를 들고 강제로 변발을 잘라가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변발이 자취를 감추기도 했다. 게다가 조선시대에도 ‘백호친다'고 속알머리를 자르기도 했고 머리를 면도하는 중국일본도 단발령에 반발한 것처럼 단순히 머리를 자르고 말고의 문제만이 아닌 문호 개방 후 급격한 사회체계 변화에 대한 반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