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편제

틀:군관련

1 국방부

1.1 소속기관

대전현충원은 국가보훈처 소속이다.

1.2 직할기관

1.3 직할부대

2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의장이 작전지휘·감독하는 부대는 다음과 같다.

3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문서 참조.

4 대한민국 육군

각 학군단은 육군학생군사학교 문서 참조.

5 대한민국 해군

5.1 대한민국 해병대

6 대한민국 공군

7 통폐합 또는 해체된 부대

국방개혁이나 기타 부대 개편으로 인해 사라진 부대를 정리하는 문단. 없어진 부대 중 육군 동원사단이 대다수인데, 이는 국방개혁 2020을 추진하던 당시 부대 개편의 일환으로 동원사단을 4개로 줄였다가 전시에 재편하기 위해 이렇게 한 것이다.

7.1 국직부대

  • 국군논산병원
2009년에 육군본부 직할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2011년 1월 1일부로 예속이 육군훈련소로 변경되어 해체되고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으로 재창설되었다. 이에 맞춰 위치도 연무읍 내에서(연무대고속버스터미널 근처에 있었다) 육군훈련소 안쪽으로 이동했다.
  • 국군진해병원
2000년에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의무대, 해양의학적성훈련원과 통합되어 해군해양의료원으로 재창설,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 국군포항병원
2000년에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7.2 대한민국 육군

여순사건에 연루되어 해체. 주둔지는 광주. 제14연대가 제4연대 예하의 대대를 모체로 창설되었기 때문에 반란군에 심적으로 동조하는 자가 많았고 반란이 터지고 나서 우선 급히 파견된 1개 중대가 반란군에 합류하는 등 문제가 있는 부대였다.
  • 제6연대
여순사건 전후로 해서 3차에 걸친 부대내 반란사건으로 해체후 22연대로 개편. 주둔지는 대구. 남로당 세포들이 많이 침투해 있던 부대였다.
  • 제14연대
여순사건의 주동으로 해체. 주둔지는 여수.
  • 유도탄사령부
정확히는 해체가 아니라 육군미사일사령부로 확대개편되었다.
  • 방공포병사령부
1991년에 공군으로 전군하여 공군방공포병사령부로 바뀌었으며, 2013년에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제7군단(舊 동해안경비사령부)
1969년 1월 18일 동해안경비사령부로 창설. 1982년 8월 제7군단으로 개편. 1983년 제7기동군단으로 개편.
  • 제9군단
충렬부대. 구 제2야전군사령부의 군단으로 31사단, 32사단, 35사단, 37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 제11군단
충무부대. 9군단과 마찬가지인 2군사 예하 군단으로 39사단, 50사단, 53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 제29보병사단
태권도부대. 그래서 경례 구호도 '태권'이었다. 1953년에 창설되어 59년에 20사단과 통, 폐합되어 해체된 부대. 사단 마크는 번개 모양이 2, 주먹 모양이 9를 의미하였으며 이 휘장의 주먹은 초대 사단장최홍희[8] 소장의 오른손을 그의 부인이 그린 것이었다고 한다. 이때문에 주먹 부대로 불리기도 했으며 그 외에 초대 사단장이 신익희를 기린다는 의미로 익크 부대라는 별명을 지어주기도 하였다.
  • 제33보병사단
17사단으로 개편되었으니 엄밀히 말하자면 해체된 부대는 아니지만, 부대이름과 마크는 사라졌다.
  • 제57보병사단
용마부대. 수방사 예하 향토사단이었으나 2011년 12월에 56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62동원보병사단
충용부대. 2작사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08년 12월 1일 32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67동원보병사단
용진부대. 충용부대와 마찬가지로 2작사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05년 12월 1일에 37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68동원보병사단
1998년 12월 1일 제23보병사단으로 개편
  • 제69동원보병사단
태풍부대. 무적태풍부대와는 헷갈리지 말자. 62사단, 67사단에 이은 후방 동원사단이었으나 39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70보병사단
충효부대. 후방 동원사단으로 2008년 12월 1일에 50사단과 통합되었다.
  • 제76보병사단
진격부대. 경례구호는 진격. 홍천(사단 직할대(본부대, 수색대, 정비대, 보수대, 전차중대, 공병대,헌병대, 화학대, 통신대, 의무대) 사자연대)과 인제(비호연대 황룡연대 포병연대)에 주둔했던 부대.1군 예하의 2군단 소속 동원사단이었다. 구 38사단으로 향토사단 역할을 수행하다 76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고 2011년 11월에 해체되었다. 주둔지는 타부대가 인계 받아 관리중이고 동원훈련도 홍천 주둔지에서 계속 진행중이다.
76사단가 (1절만 기재 2절은 아는사람 추가바람.)
불타는 우국충정 가슴에 안고 조국의 통일과 평화를 위해 겨례의 부름받아 총칼을 들고 우리는 모였다 진격의 사단 진격에 앞장서는 용사가 되자.
항목 참조
  • 제103보병여단
미추홀부대. 1994년에 17사단에서 분리되어 나간 수도군단 예하의 독립여단으로, 제507보병여단으로 개편되어 제17보병사단 예하부대로 흡수(사실상 재편입)된다.
백호부대. 2작사 예하의 특공여단이었으나 2008년 12월 1일부로 해체되었다.
사령부 예하 부대로 육군특수전사령부의 여군들은 공수특전여단이나 707 특임대가 아닌 이 곳으로 배치되었었다. 2014년 당시 사령관 전인범 장군의 지시로 해체되고 여군들은 다른 남군들처럼 공수특전여단 같은 곳으로 배치되도록 바뀌었다.
  • 제1공수특전단(舊 제1전투단)
1958년 4월 1일 창설된 육군본부 직할 제1전투단을 모체로 1959년 10월 1일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10월 1일 제1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 제1유격여단
1969년 1월 27일 동해안경비사령부 예하에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9월 10일 제3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 제5특수임무단(舊 제2유격여단, 제5공수특전여단)
1969년 2월 17일 제2유격여단으로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9월 10일 제5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2000년 6월 1일 제5특수임무단으로 개편, 2010년 7월 1일 국제평화지원단으로 개편.
육군특수전사령부 소속으로서 대통령경호실에 파견되어 대통령 경호임무를 수행했지만,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해체되었다.
1972년 폐교.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 개편되었다. (국군재정관리단의 모체가 됨)
  • 육군교도소
국직부대인 국군교도소로 개편되었다.
  • 제800(809)·801·802·803·805·806정찰대대
각각 수도·제1·2·3·5·6군단 직할 정찰대였으나 수색대, 특공대와 임무가 중복된다는 이유로 1990년대 ~ 2000년대 초반에 기계화보병사단 직할 정찰대를 제외하고는 전부 해체되었다.
한국전 당시에 심리전 등을 이유로 HID에 소속됐던 화교들의 부대이다.

7.3 대한민국 해군

1953년 9월 10일 제1함대[9]를 모체로 창설되었으며, 1986년 2월 1일 해군작전사령부로 승격되었다.
  • 제1·2전단
한국함대의 예하 전단으로, 1전단은 호송·경비작전을, 2전단은 상륙작전을 전담했다.
  • 제1·2·3전투전단
각각 제1·2·3함대 예하, 구축함/초계함/고속정전대의 상위급 부대인 전단이었으나 지휘구조 간략화 개혁에 의해 해체되고 함대사령부가 바로 각 전대를 지휘하도록 개편되었으며, 옛 전단장들의 권한은 함대 부사령관에게 주어졌다. 그런데, 2015년 2월에 각 함대별로 해상전투단이 창설되며 사실상 부활했다.
  • 제51기동전대(舊 제11전대, 제51대잠전대)
1960년 한국함대 제1전단 예하 제11전대로 창설. 1986년 해군 작전사령부 예하 제5성분전단 예하 제51대잠전대로 개편, 2007년 제51기동전대로 개칭. 구축함전대로, 2010년 1월 31일부로 해체되고 소속 함정은 2010년 2월 1일부로 창설된 제7기동전단에 배치되었다. 이로 인해 5전단이 해군 최정예 전단에서 쩌리부대로 전락했다.
  • 목포해역방어사령부
약칭 목방사. 남해 서부 해역 방어를 담당했던 부대로 2007년 11월 해군 제3함대 사령부가 부산에서 목포로 이전하면서 제3함대 사령부에 통폐합되어 사라졌다.
  • 제9잠수함전단(舊 제57잠수함전대)
1990년 6월 1일 창설된 제5성분전단 예하 제57잠수함전대를 모체로 1995년 10월 1일 작전사령부 직할 전단으로 창설, 2015년 2월 1일 잠수함사령부로 승격.
  • 해군기초군사학교
2009년부터 해군기초군사교육단으로 승격되었다.
  • 해군기술병과학교
해군행정학교와 해군기술행정학교로 통합되었다.
  • 해군행정학교
해군기술병과학교와 해군기술행정학교로 통합되었다.
1983년 폐교되었다.
2015년 폐교되어 해군전투병과학교 예하 분과로 들어갔다.
  • 해병대학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진해교육기지사령부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해군중앙경리단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2015년 12월 1일 해체되고 해군병력은 제주기지전대로, 해병병력은 제9해병여단으로 배속되었다.

7.4 대한민국 공군

1984년 폐교되었다.
  • 제30방공관제단
2013년에 공군방공관제사령부로 승격되었다.
  • 방공포병사령부
2013년에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개선되었다.
  • 공군중앙관리단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해당 문서 참조.
  • 공군남부전투사령부
공중전투사령부로 개편.
  • 공군북부전투사령부
공중기동정찰사령부로 개편.
  • 제36전술항공통제전대
공군전술항공통제단로 개선되었다
  • 제59해상초계비행대대
1976년 1월 15일 해체되어 예하 인력·장비 등이 해군 항공대에 이관되었다.
  • 제131전술정찰비행대대
제39전술정찰비행전대 예하 비행대대. 2014년 해편.
  • 제73기상전대
2012년 전국에 흩어져있던 예하 부대의 대부분이 파견되어 있던 곳(사령부, 비행단 등)으로 이관되고, 남은 중앙부서 및 일부 파견대가 공군기상단으로 승격되었다.

8 기타

  1. 2013년 8월 1일 창설
  2. 군대를 야전부대와 지원부대로 이등분하자면 야전부대에 속하는 부대들
  3. 기존의 학교별로 관리하던 교육생들을 일괄 관리하기 위해 창설된 부대이다.
  4. 서북도서방위사령부령 제1조(설치) 해군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를 둔다.
  5. 해병대사령관이 서방사령관을 겸직하며, 사령부도 해병대사령부와 함께 있다. 필요시 육군과 공군 인원을 휘하에 둘 수 있기 때문에, 국직부대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6. 제1해병사단장이 사령관을 겸직한다.
  7. 2014년 1월부터 학군단은 이곳 예하대가 되었다.
  8. 태권도의 창시자이며 ITF의 창설자인 그사람 맞다.
  9. 현재의 제1함대와는 다른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