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끼(마비노기)


1 개요

둔기류보단 한단계 아래의 대미지를 지니고 있고, 크리티컬률이 매우높다. 밸런스 또한 한손검보단 낮지만, 둔기보다 높아서 크게 걱정없는편. 거기다 마스터리로 인해 방어관통 효과가 붙어있어서, 타 무기보다 어느정도 딜링이 편한편인 무기다.

나무장작을 채집할 수 있는 나무를 도끼를 들고 클릭하게되면 다른무기와는 달리, 장작 채집을 시작한다. 이는 모든 도끼류에 해당된다. 양손도끼도 예외는 아니다. 장작채집을 하게되면, 숙련도가 오르지만, 몹을 타격해서 얻는 숙련도에 비해 매우 적게 오르며, 내구도는 2배 가까이 빨리 감소하니, 장작이 필요하면 채집용 도끼로 장작을 채집하자.

2 목록

2.1 한손도끼

제일 오래된 도끼다. 하지만 인기는 매우 낮은편. 초기 도끼의 컨셉은 둔기와 검의 중간위치의 무기란 컨셉이였는지, 크리는 둔기보다 조금 낮았고, 대미지 역시 둔기보다 낮았었다. 개편 후 크리티컬이 어느정도 보정받는 무기. 하지만, 현 이 무기의 용도는 정령밥 내지 벌목 후 버리는 용도가 되버렸다.. 였는데, 채집용도끼의 개조와 모탕용 도끼의 추가로 인해 이 도끼는 이제 정령밥 내지 줍지도 않는 무기..였다가, 키트로 중고의 인챈트가 발린게 풀리면서 수련용 쪽으로 주가가 올랐다. 참 파란만장한 도끼.

고블린을 잡으면 가끔 나온다. 무기가 없는 초보는 그걸 주워서 쓰는 편.

벌목캠프의 트레이시의 트레이드 마크 무기다.

2.2 비펜니스

크리티컬 종결무기. 현존하는 모든 한손무기중에서 이 무기의 크리티컬을 능가하는 무기는 없다. 크리티컬 개조로 개조완료시 무기자체 크리티컬만 82%에 임박하는 미친 무기. 여기다 크리티컬 증가 인챈을 바르면..
하지만, 마비노기의 크리티컬 시스템때문에 크게 빛을 못본 무기. 거기다 크리티컬 특화개조시 대미지가 21~14라는 역반된 대미지가 되서 무기로써의 용도로는 영....룬다 세이렌 던전에 가서 세이렌 가면을 벗기는 최강인 무기중 하나였다. 데미지 낮고, 엄청난 고크리 무기라서.. 물론 6~7년전 이야기
초보때 크리티컬 수련용으로 쓰기 좋다.

여담으로 마비노기에 두번째로 추가된 무기형 한손도끼다. 그리고 샤말라는 이것을 쌍으로 든다.[1]

2.3 브로드 액스

마비노기의 아이템. 자이언트 전용 양손 도끼이다.

자이언트의 양손 둔기 중에서는 기본 스펙도 상당히 출중한 편이고, 룩도 꽤 무식하게 생긴 도끼라 자이언트에게 들려주면 그야말로 간지폭풍.[2][3]

그러나 이 무기는 그림자 세계가 나오기 전까지는 인지도가 바닥을 기는 무기였다. 왜냐면 도면 제작품인데 도면이 레이드 보스인 예티 드랍이었기 때문. 더욱 큰 문제는 예티와 악어 레이드 타임이 겹쳐 예티가 철저히 무시당해왔고, 예티는 발레스 4지역에 랜덤으로 뜬다는 것이다. 현재 그림자 세계 하드 보상이나 키트로 물량이 간간히 풀리기 때문에 공급은 어느 정도 안정되었다,

크리티컬 개조가 3회에서 끝나기 때문에 4,5회 개조를 입맛대로 골라 잡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고, 더욱이 데미지를 위주로 개조를 하면 무기 단독 최댐 100 정도는 우습게 뛰어 넘는다. 그러면서 밸런스도 어느 정도 안정이 되니 가히 자이언트 최강 무기.

다만 상점표 내구도가 12라 1회 개조를 하면 벌써 내구가 7. 그리고 보통 브로드 액스 정도 되는 무기에는 양손 무기 전용 최강 인챈트인 리치타이타닉[4] 바르게 되는데 숫자 랭크 인챈트인 이상 인챈트가 끝날 때 까지 무기가 남아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게다가 현재 자이언트는 방패와 양손검을 동시에 들 수 있으며 더스틴 실버나이트 소드나 레미니아 성월의 검 등을 적절히 개조하면 브로드 액스를 능가하는 스펙을 갖추게 되는지라 최종적으로는 그리 우수한 무기라고 보기 어렵다(밸런스는 결국 어느 정도 스킬을 찍으면 해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니).

최강 무기라고 해서 뉴비에게 들려주고 ㅋㅋ 이게 최고 아닙니까 이러고 있으면 밸런스 때문에[5] 민뎀만 보게 될 것이 뻔하다. 사실 어느 정도 숙련된 자이언트 유저들의 이 무기에 대한 인식도 대개 결전 병기 혹은 풀 스윙용 무기. 다만 결전무기의 자리는 이미 랜스에게 넘겨줬다.(...) 가히 밸런스 붕괴라 할만한 끝판왕 랜스가 나온 이후로는 랜스 이외의 다른 근접무기들은 양손검이건 뭐건 전부 애매한 무기로 전락하게 되었으니 .. 그래도 어느정도 스펙이 된다면 어느 마법 안부러운 데미지가 나오는 편이다.

그리고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공식 가이드북인 마비노기 엘프/자이언트의 이벤트로 도끼 날 리블(검정색이 아닌 천옷의 리블팟과 색이 같다.)에 도끼자루가 리골인 상점표 브로드액스가 풀린적이 있다. 보통 서버당 10개 내외의 극소량만 풀린데다가 이벤트를 했을 때가 마비노기와 자이언트의 인지도가 나란히 하한가를 치던 시절이라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금염으로 얼추 비슷한 색을 뽑을 수 있기에 한때 모서버에서는 짝퉁이 유행하기도 했었다.

2.4 워리어 액스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자이언트 전용 양손도끼. 당연히 성능은 별로다. 브로드 액스의 보급으로 잊혀진 무기.

2.5 프랑키스카

간단히 설명하자면 다이나믹 패치때 유행하던 도끼. 크리티컬도 높고 데미지도 적당히 쓸만해서 특수 개조 R을 써서 사용하던 무기다. 대전을 오래하는 사람이라면 가끔 한개쯤 갖고 있긴 하다. 특히 엘프. 하지만 지금은 스매시용 도끼론 좋지 않다. 아래 문단의 켈틱 로열 워리어 액스가 양손 무기 판정을 받아서 스매시 데미지에 보정을 받기 때문에 스매시용으론 켈틱 도끼가 더 좋다. 게다가 이젠 배틀 액스에게 성능이 밀린다.

가끔 키트로 자주 풀어주는 편이다. 혹은 가스트를 잡으면 종종 떨어지는 무기다.
더 자세한 설명은 항목참조

2.6 켈틱 배틀 액스

항목참조

2.7 켈틱 로열 배틀 액스

항목참조

2.8 켈틱 워리어 액스

항목참조

2.9 켈틱 로열 워리어 액스

항목참조
  1. 드라마를 한 뒤 인간이 양손에 도끼를 착용이 가능하냐고 물어보는 사람이 있지만, 불가능 하다. 도끼는 한손에만 들어진다.
  2. 양손 둔기라고 해봐야 사실 몇 개 없는데 도끼라고 만들어 놓은 워리어 액스는 지뢰, 그레이트 말렛은 뿅망치같다고 무시당하고, 배틀 해머는 다 좋은데 밸런스 안습크리. 이후 켈틱 무기의 추가로 성능좋고 만들기쉬운(=보급이 쉬운) 켈틱 로열 워리어 해머 와 켈틱 로열 워리어 액스가 등장한다.
  3. 하지만 브로드액스는 아직 정령용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 켈틱 무기에는 정령이 발리지 않기 때문.혹은 기존에 브로드 액스를 다 키워놨는데 켈틱이 나온 경우거나.
  4. 보통 인간캐의 경우 리치 악어 인챈트를 사용하지만, 자이언트에게는 리치 인챈트의 조건인 파이널 히트가 없다. 그래서 대용품인 타이타닉을 사용하게 된다
  5. 밸런스가 어느 정도 안정이 된다고 했지만, 사실 개조와 인챈이 완성된 브로드 액스 정도의 무기를 드는 자이언트 캐릭터는 대개 제련과 같은 필수 솜씨 스킬 정도는 떼고 있다. 쌍둔기-특히 거센 매서운 메이스 쌍수를 괜히 추천하는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