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부 20000계 전동차

도부 철도 통근형 전동차 시리즈
8000계10000계20000계30000계50000계9000계60000계

1 사양

열차 형식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 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급전 방식직류 1500V
영업 최고 속도95km/h(히비야선내 80km)
기동 가속도3.3km/h/s
신호 방식도부식 ATS(TSP)[1]
신CS-ATC(메트로 대응)
제작 회사도큐차량제조, 아루나 차량
도입 연도1988~1992
제어 방식AFE식 전기자 쵸퍼제어[2]
VVVF-도요전기제 GTO[3]
동력 장치직류복권전동기
3상교류유도전동기
제동 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4]
편성 대수8량, 6M2T
운행 노선이세사키선, 히비야선

2 개요 및 특징

히비야선 하나때문에 꼭 이런걸 해야 하는 거야...? 한번도 아니고... - 히메미야 나나

도큐 전철 잊지않겠다
코레일 341000호대 전동차 : 크기 규격 통일 안한 거 후회되지?

히비야선 셔틀
도쿄 메트로 03계 전동차와 함께 시한부 인생 전동차

도부 철도가 1988년 3월부터 히비야선 직통용 차량인 2000계를 교체하기 위해 도입한 이세사키선, 히비야선 입선 전용 통근형 전동차이다.[5] 왜 입선 전용이 되었는지는 아래 문단을 참고하자.

이 차와 선배차인 2000계가 생산된 이유는 단 하나, 바로 히비야선과 직통하기 위해서다.(...) 히비야선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 노선은 당시 도큐의 주장으로 히비야선이 채택한 도큐의 표준 차량규격[6][7]에 맞추기 위해 18m급 차량을 투입하는 것으로 결정했기 때문에, 자사의 차량 역시 18m급으로 뽑아버리는 병크를 저지르게 된다. 토부는 히비야선 개통 이전부터 20M급 차량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그때는 묵살당했다 하지만 도쿄메트로의 이러한 결정은 먼 훗날 두고두고 후회하게 될 일을 만들고 만다. 이웃나라의 같은 차량구격을 쓴 어디어디도 마찬가지로 두고두고 후회하고 있지만...[8][9] 참고로 히비야선의 건축규격은 지금까지의 예상과는 달리 20m급 차량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서[10], 도부와 도쿄메트로 측에서는 03계와 본 차량을 대체할 20m급의 새로운 차량을 2016년에 발주하여 2019년까지 교체한다고 한다.결국 뭘 해도 부교공이 후회할 만한 것들로 가득하다(...)

히비야선은 터져나가는 수요에 5비차까지 동원해서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18m급[11]이라는, 수송량도, 차체 크기도 심히 고자스러운 규격으로 인해 수요의 분산 및 추가 네트워크 수요의 창출을 위해 타사노선 직결 노선을 확충하는 것도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그리고 정작 중요한 것은 이러한 짓을 저지르게 만든 도큐마저 18m급 차량을 내던져버리고 타사와 동일한 20m급의 차량을 뽑아 자사 표준규격으로 정하는 뒤통수를 쳐버렸으니...

히비야선에 직통운전하는 본 차량은 모두 보통열차로 운용하고 있으며, 이 보통열차가 상당히 먼 거리를 달려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가고 있다.(...)[12][13] 그나마 다행인 점이 있다면, 온갖 회사의 차량이 다양한 등급으로 여기저기를 들쑤시고 다니는 이세사키선인지라 별 문제는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참고로 이세사키선의 종점인 아사쿠사역은 특유의 괴랄한 구조로 인해 6량 이상의 열차를 받는 것이 매우 어렵다.[14] 그래서 본 차량은 20m급 차량으로 환산해도 7량분의 길이가 나오기 때문에 다이어상에서 8량편성 플랫폼이 비어있지 않은 이상 아사쿠사역 입선은 불가능하다. 자세한 것은 아사쿠사역 문서 참고.

또한 차량 규격 문제로 인해 타 선구로 입선할 일이 없어, 병결을 위한 관통문 설비는 존재하지 않고 지하철 입선을 위해 필요한 전두부 비상문 설비만 장비하고 있다.

3 형식

세 종류가 있다. 크게는 제어방식의 변경이나 도어수를 기점으로 20000계와 20050계, 20070계로 나뉜다.

3.1 20000계

1988년 3월부터 1992년까지 기존의 2000계 전동차를 교체하기 위해 13편성 104량이 도입되어 현재도 잘 운행하고 있는 20000계의 네임쉽이다. 기술적인 사양은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10030계, 9000계와 유사한 관계에 있다. 20001호 편성에는 특별파츠가 부착되어 있다 카더라

3.2 20050계

20000계가 그럭저럭 성공적으로 데뷔하자, 히비야선의 터져나가는 혼잡도에 대응하기 위해, 도쿄 메트로 03계 전동차(당시에는 영단 03계)와 마찬가지로 와키 20000[15] 5비차를 중간에 편성편입하여 8편성 64량을 생산, 1992년 12월에 운행을 개시했다.[16] 제어방식을 AFE 쵸퍼제어에서 VVVF GTO 제어방식으로 변경하고, 행선표시기와 차내 안내장치를 LED식으로 교체하고 도어 차임벨을 설치한 것이 주된 개량 포인트이다.

3.3 20070계

고만해, 미친놈들아!
중간에 5비차가 편성편입되어 있던 20050계 스펙에서 5비차만 다시 3비차로 되돌려 신조한 편성으로, 차내 LED 표시기의 개량 및 싱글암 팬터그래프 장비 등 소소한 개량을 거쳐 1997년 3월에 3편성 24량이 생산되었다. 여담으로 이 차는 노후편성 교체용이 아니라 순수하게 증차 목적으로 도입된 차량이다.

4 이야깃거리

  • 2011년~2014년 사이 벌어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연이은 심각한 수준의 차량고장으로 인해 가끔씩 수면 위로 떠오르는 일본산 초기형 차량은 고장이 잘 안나니까 차라리 이런 형태의 일본산 중고차가 들어왔으면 좋겠다 따위의 쉰떡밥에 등장하는 내용물 중 하나.[17] 물론 궤간 문제는 일단 제쳐두고 차량의 규격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해 볼 때 이미 대한민국은 철도차량을 자체적으로 생산해서 만들어 해외수출도 하고 물론 자칭이긴 하지만 그걸 만들어 판다는 회사가 세계 10위 안에 들어가는 상당한 기술력을 갖춘 나라다. 이런 나라인데 굳이 중고차를, 그것도 일본에서 수입해서 쓴다고 하면 철덕들 이전에 국민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당장 KTX 사업 초기 차량선정 과정에서 300계가 입찰했다가 조건 이외에도 국민 정서 등을 이유로 광속 탈락한 것을 생각해 보면.(...)
  • 2015년 6월, 마침내 본 차량의 후계차 계획이 발표되었다. 도쿄 메트로와의 협력을 통해 공통된 베이스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정에 맞는 차량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부여된 계통명은 70000계이다. 관련 기사(일본어)
  1. ATS-P와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
  2. 전기자쵸퍼제어와 계자쵸퍼제어를 짬뽕시킨 제어방식이다(...)
  3. 특이하게 두 전장품 모두 도요전기 계열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4. 억속제동 포함
  5. 아예 차량 옆에 히비야선 직결이라고 쓰여있으니 말 다했다.(...)[1]
  6. 개통 초기부터 2013년 3월까지는 도요코선과 직통운전을 했었다. 지상 시부야역이 지하로 옮겨가면서 끝나버렸긴 했지만.
  7. 또 다른 문제는 도큐의 도요코선은 이미 20m급 차량을 오래 전에 굴려서 20m급 차량도 굴릴 수 있네 ㅇㅇ? 라는 결론을 얻은 상태.(...)
  8. 3비차 규격으로 뽑아버렸는데, 3비차 규격으로 스크린도어를 설치해버렸다. 이로 인해 너무 많아서 탈인 2호선잉여차를 집어넣을 수도 없는 상황.(...) 3비차 규격에 3비차 스크린도어를 설치한 것이 뭐가 잘못이냐고 물을 수도 있다. 원래는 이렇게 설치하는 것이 맞으나, 한국 내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규격이기 때문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해 버림으로써 장기적으로 타 노선과 호환할 수 있는 가능성조차도 완전히 갖다 버린 것이 문제이다.
  9. 과거에도 3비차가 운용되던 노선의 차량을 4비차로 완전 교체한 케이스가 있는데 오사카지하철의 제3궤조 노선이 그러했다. 하지만 오사카지하철은 차량을 폭풍교체할 능력이 있고, 도쿄메트로도 차량을 폭풍교체할 능력이 있지만 부산교통공사는 차량을 완전 교체할 여력이 없다보니... 그리고 설령 차를 바꾼다고 하더라도 지금 스크린도어를 짓고 있는 것, 이미 지은 것을 뜯어내면 뜯어내는 대로 여론의 질타를 맞게 될 것이 뻔한 상황이다.(...)
  10. 최근까지도 히비야선 터널의 건축규격이 18m급까지만 대응되어서 20m급을 못넣는다고 잘못 알려져 있었다
  11. 일반적인 일본 철도차량의 차체길이는 20m급이며, 한국의 장대형 차량 차체길이는 23.5m급이고, 대형 전동차가 일본과 비슷한 20m급, 지방 지하철에 쓰이는 중형 전동차가 히비야선의 차체규격과 비슷한 17.5m급이다.
  12. 2013년 3월까지는 준급행 운전다이어도 있었으나, 이 이후로는 바이바이...
  13. 도입 초기부터 급행 운용을 포기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초도 도입분인 20000계의 행선막에 있는 종별은 '보통' 과 종별을 표기하지 않는 것 두가지 뿐이었기 때문에.(...)
  14. 아주 불가능한 것은 아니고, 8량편성까지 정차 가능한 플랫폼이 있긴 있는데 딱 하나 있다. 딱 하나.(...)
  15. 유개화차 분류기호가 '와키' 다. 즉, 사람을 태우는 유개화차라는 소리다.가축수송을 넘어
  16. 참고로 히비야선은 18m급인 것도 모자라서 3비차이다.(...) 이쯤 되면 어딘가와 비슷하다는 느낌이 들지도.
  17. 비슷한 규격의 도쿄 지하철 03계 전동차, 도큐 1000계 전동차, 신케이세이 8000형 전동차 같은 차량도 떡밥의 주된 소재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