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도삼대수법

1 개요

풍종호의 무협소설에 나오는 오래도록 마도(魔道)에서 성립시키고 전해져 내려온 세 가지 무공절기가 삼대절수(三大絶手)로, 가위바위보와 같은 관계를 갖고 있다. 본의는 아니지만, 셋은 서로 물고 물리면서 결코 하나가 되지 못하고 될리가 없는 마공절기로 완성되었다. 잔백구혼조(殘魄拘魂爪)수라섬영수(修羅閃影手)를 깨뜨리고, 수라섬영수는 열화분심장(熱火焚心掌)보다 빠르고, 열화분심장은 잔백구혼조를 그냥 삼켜버린다. 이 세 가지 수법은 모두 독보적이면서 아주 특별한 내공심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한 사람이 세 가지 수법을 사용할 수는 없다.[1]

이 삼대절수에는 상성을 이루는 정도(正道)의 절기들이 있는데, 잔백구혼조에는 금나한전륜수(金羅漢轉輪手), 수라섬영수는 섬홍삼절인(蟾虹三絶印), 열화분심장은 북명신장(北溟神掌)이 제각각 대응한다. 또한, 대력금강수(大力金剛手)는 이 삼대절수를 모조리 막을 수 있다. 다만, 그러기 위해서는 무적금강인(無敵金剛印)에 이르러야 한다.

2 구성

  • 잔백구혼조(殘魄拘魂爪) : 혼백(魂魄)이란 심신의 바탕으로, 사람이 몸에 상처를 입어도 백(魄) 이치에 따라 회복이 된다. 그래서 애초부터 회복이 되지 않도록 백을 난도질하는 조법이다. 풍현이 즐겨 사용하는 수법이기도 하다.
  • 수라섬영수(修羅閃影手) : 번개가 스쳐가면 사람은 아무것도 없는 빈 곳에서 그림자만을 보게 된다. 즉, 너무 빠르면 사람은 그 그림자 밖에 보지 못하는데, 이를 섬영(閃影)이라 한다. 그리고 아수라(阿修羅)를 섬기던 이들이 단련하여 얻어낸 섬영은 특히나 달걀이 바위를 관통할 수 있을만큼 빠르다. 풍현이 시왕(屍王)과의 싸움에 펼치면서도 '박수질'이라 표현하며 시왕을 놀린다.
  • 열화분심장(熱火焚心掌) : 심장에 뿌리를 둔 불길(熱火)이라 항상 심장을 찾아 간다. 심장에 도달할 때까지는 멈추지도 않으면서 많이 고생을 시킨다. 심장에 도달해서도 불길을 다루지 못한다면 심장을 불태워버린다. 풍현이 칠성(七聖)의 유적에서 염마장 태황에게 당한 수법이다.
  1. 오랜 세월 무학의 난제였다. 이와 관련하여 정리 된 글이 있으니 참고하자. 문피아 걸어넘기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