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여행

無錢旅行

1 개요

돈을 소지하지 않고 여행하는 것을 말한다. 무전기 들고 여행하는 게 아니다 이동은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타는 대신 걷기, 자전거 타기 그리고 히치하이킹을 한다. 식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한다.

  • 식당에 들어가서 노동력을 제공해서 해결한다.
  • 딱 여행할 만큼의 도시락을 가방에 하나가득 넣는다.
  • 자연에서 캐 먹는다.(사냥 포함)[1]

완전히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하는게 아니라, 최소한의 돈과 음식물을 가지고 가기도 한다 그럼 무전여행이 아니잖아 젊어서는 사서 고생한다는 말을 충실히 증명해내는 여행이다

1980~90년대에 유행했던 것으로 보이며, 지금도 청춘을 불태우기 위해 하는 몇몇이 있긴 하나 많이 사라졌다.

2 비판

구걸여행

여행을 하려면 자기 돈으로 할 것이지, 다른 사람에게 민폐를 끼친다는 비판적인 시선이 있다. 돈, 음식, 이동 그리고 숙소 등 여행 제반에 필요한 것들을 결국은 남에게 얻는 셈이기 때문이다. 지금 이곳은 사유재산이 인정되는 자본주의 사회다. 다짜고짜 타인의 사유재산을 달라고 하는 행위가 지하철에서 구걸하는 앵벌이와 다른점이 무엇인가?

또한 식당에 들어가 밥을 먹고 난 후에, 돈이 없어서 설거지나 청소로 대신하겠다는 행동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이다. 사전에 미리 합의를 보지 않으면 말그대로 무전취식이다. 식당 주인에게 민폐이기도 하다.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프랜차이즈 매장의 경우 모든 일이 분업화되어 있고, 식품 재고가 곧 매상과 직결되기 때문에 노동력을 받고 음식을 주고싶어도 줄 수가 없다.

노숙의 경우도 위험성이 꽤 큰데, 여름에는 곤충이나 들짐승 등을 통해 옮겨지는 질병의 위험이 크며 높은 기온 때문에 일사병, 열사병에 걸릴 위험이 있고 겨울에는 낮은 온도로 인하여 동상, 저체온증, 동사 등의 위험이 아주 크다. 괜히 잊을만하면 노숙자들이 길에서 자다가 사망했다는 뉴스가 뜨는게 아니다. 게다가 우범지대나 우범국가일 경우 부랑자들이나 갱단 같은 불량한 놈들에게 걸리면 그 자리에서 뼈와 살이 분리되고 만다.

사실 지금까지 나온 비판은 다 어리광일 뿐이다. 무전취식 몇번만 하면 나라에서 공짜로 재워주고 밥도 먹여준다

원래 무전여행은 진짜 돈한푼도 안들고가는 여행과는 거리가 멀었고 원래는 여행지에 간 다음 그 지역에서 일용직으로 여행비를 벌어 충당하는 일종의 자급자족 여행에 가까웠다. 하다못해 일반 가정집에서 자거나 저녁밥을 얻어먹는다해도 그 집의 일손을 돕고, 잔일을 처리하는 등의 대가를 치뤄야했다. 위에서 말하는 노숙이나 구걸은 아주 가끔씩 벌어지던 부수적인 요소에 불과했는데 이것을 오인한 인간들이 무전여행을 구걸여행으로 착각해버려서 일어난 일이다.
  1. 무전여행 경험담 중에서는 진짜로 닭둘기를 덫으로 사냥해서 먹었다는 일화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