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방사우

文房四友(글월 문, 방 방, 넉 사, 벗 우)

이 문서는 다른 이름인 문방사보, 문방사후, 지필묵연으로도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1 개요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의 4가지 원수덩어리친구, 즉 곁에 늘 두게 되는 문구들이다. 글을 쓸 때의 네 가지의 보물이라 하여서 '문방사보', 혹은 황제를 보필하던 제후에 빗대어 '문방사후'라고 부르기도 한다. 4가지 문구에 해당하는 한자들을 나열하여 지필묵연(紙筆墨硯)이라고도 한다. 이걸 자주 쓰던 것은 물론 지금이 아닌, 조선시대에나 해당되는 얘기지만 말이다.

2 종류

자세한 설명은 각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3 역사

중국 사람들은 문인들이 책을 읽는 곳 혹은 쓰는 도구들을 문방이라고 부르면서 특별하게 대우해 왔다. 문방이라는 표현은 여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사우라는 표현은 남당의 이욱(李煜) 황제가 만들게 한 이정규묵, 남당관연, 징심당지, 오백현[1]의 문구들을 통틀어서 남당사보(남당의 네 가지 보물들)라고 부르고 애지중지한 것이 유래였다얼마나 문구를 좋아했으면 문구 네 개를 나라의 보물이라고 하는 걸까.. 문인들의 나라라고 불리는 송나라가 세워지기에 이르러서는 이 문방사우를 아끼는 정도가 더 깊어졌다.[2]

4 내용

조선의 선비들은 글씨 쓰기를 매일 같이 하였다. 요즘에도 글씨는 사람 성격을 나타낸다어른들은 다 성격이 꼬부랑인가는 말이 있는데, 예전에야 더 심하면 심했을 것이다.[3] 자연히 문방사우는 양반들에게는 최상위 중요 아이템이었다. 이러다 보니 나중에는 글씨가 아니라 누가누가 더 좋은 문방사우 가졌나 가지고 쓸데없는 사치나 부리는 폐단이 일어나기도 했다. 어쨌든 이렇듯 항상 글을 쓰는 등의 생활을 하는 것을 보니 친구라 불러도 무리가 없었을 듯 하다.친구는 주로 학교에서만 보기라도 하지 문방사우는 집에서든 서당에서든 항상 볼 것이다
  1. 순서대로 먹, 벼루, 종이, 붓이다
  2. 이 때는 문방구의 종류도 벼루와 같이 쓰는 물 담는 그릇인 연적, 먹 같은 것이 묻은 붓을 빠는 그릇인 필세, 도장 등의 40여 가지가 넘었다. 송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문구류를 사랑했는지를 엿볼 수 있다.
  3. 이를 서여기인(書如其人)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