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회

1 개요

포항시, 영덕군을 중심으로 많이 먹는 요리의 한 종류. 겨울에 과메기가 있다면 여름은 물회가 있다고 할 정도. 사실 동해안과 남해안 지방에서도 흔히 먹는 요리이기는 하나 영일만을 제외하고는 물회에 넣는 생선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으며 널리 먹지는 않는다.

지리적으로 그리 멀지 않은 경주시(감포) 지방 사람들도 되레 물회보다는 쇠고기 육회돔배기[1]를 더 선호하는 듯.

제주도에도 물회가 존재하는데 주로 자리돔[2]를 된장을 푼 찬물에 노각과 몇몇 채소를 넣고 얼음을 띄워 국처럼 먹는다. 된장과 회를 넣은 오이냉국에 가까우며, 제주도에서는 여름 향토음식으로 인기가 있다. 이때 식초가 들어가는데, 반드시 아세트산을 써야 맛이 난다는 게 특징. 베리에이션에 따라 젠피를 넣기도 한다.

2 먹는 방법

요리 자체는 참으로 간단해서 오징어, 한치, 광어, 도다리 등을 잘게 썰어 그릇에 넣은 후 얼음을 띄운 냉수나 차가운 육수에 후루룩 말아먹는 것이 전부. 다만 참고할 점은 나름 물회의 원조라는 포항과 영덕에서는 육수에 말아 먹지 않는다. 원래는 그냥 회와 밥, 야채, 양념장만 나오며 취향에 따라 비벼서 회비빔밥으로 먹거나 물을 부어 물회로 먹는다.따라서 어디 식당에서 포항식 물회라며 육수에 말아 나온 것을 먹었다면 사기 당한 거다. 또한 포항식 물회의 특징은 주로 오징어를 쓴다는 점이다. 취향에 따라서 배나 부추, 미역, 쪽파, 상추, 깻잎과 같은 야채를 얹기도 하고 초고추장을 넣기도 하며 소면이나 밥을 함께 말아 먹는 경우도 있다. 덕분에 막회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쉽게 먹기에는 좀 어려운 편.

3 유래

원래는 어부들이 배에서 먹던 음식으로 국(?)처럼 회를 먹기 위해 고안된 방식. 참고로 배에서 물은 오래 보관이 힘들어 대신 술을 마시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숙취 해소 차원에서 먹는 경우도 많았으며 한술 더 떠서 여기에 밥을 말아먹기도 했다고 한다.

4 개량형

물에 말아먹는게 정식이긴 하지만 외지인인 관광객들의 입맛에 맞추기 위해 요즘은 얼음을 이용, 비빔회 형태로 파는 경우가 많다. 오리지널과 개량형(?)의 차이는 회가 물 위에 둥둥 떠다니냐(...) 안 떠다니냐의 차이. 사실 관광객 상대로 파는 건 전부 개량형으로 엄연히 말하면 비빔회다.

5 호불호

생선회 본연의 맛을 즐기는 사람은 별로 안 좋아하는 경우도 있다. 양념에 생선의 맛이 죽어버린다는 것이 그 이유. 물회에 오징어회가 잘 쓰이는 것도 오징어는 강한 맛이 나지 않고 특유의 씹는 맛으로 먹기 때문이다. 물론 위에 굴물회에 서술했듯이 맛 때문에 생선회가 먹기 부담스런 사람은 물회가 나을 수도 있다.

또한 물회에는 오이가 들어가는데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물회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겨울에 신선한 채소가 부족한 경우 배송주문시 오이만 뭉텅이로 오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단맛+청량감을 위해 육수 재료로 사이다를 자주 사용하는데 너무 달다며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

6 기타

1박2일에서 은지원이 포항을 찾았을 때 친구에게 부탁한 음식도 바로 물회였다. 이걸 봐선 이젠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음식인 듯. 하긴 과메기를 빼면 포항에서 특산물이라 내세울 건 이것밖에 없었으니 포항시에서 정말 죽어라 홍보한 결과의 산물이다.

굴물회라고 해서, 을 저렇게 먹는 법도 있다. 굴의 그 모양과 역한 냄새 때문에 못 먹는 사람은 물회로 먹어보자.

  1. 상어고기를 이르는 경주 방언. 경주 뿐만 아니라 경상도에서는 제삿상에 올리는 고기이며 안 올라오면 큰일난다고 한다. 수입산 상어를 쉽게 구할 수 있게 된 현재는 현지의 뷔페 등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경상도 지역 한정).
  2. 자리돔이 가장 흔한 편이고 그 다음이 한치. 이 둘을 많이 쓰는 것일 뿐 넣는 생선 종류를 가리진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