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코마이신

Vancomycin

현 인류가 가지고 있는 가장 강력한 항생제 중 하나. 특정균에 특정 항생제가 더 효과적일순 있지만 범용성을 생각해봤을 때 반코마이신이 거의 항생제계의 끝판왕 취급받는다.

페니실린의 대체약인 메티실린(methicilline)에 내성(耐性)을 갖게 된 황색 포도상구균이 퍼지자 1950년대부터 개발해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황갈색 또는 갈색의 분말로서 다른 항생물질에 저항성을 띠는 포도상구균의 중증 감염증 치료를 위하여 정맥주사한다.

'죽음의 세균'이라고도 불리는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는 메티실린계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포도상구균으로서 병원 내 감염으로 사망 또는 장애에 이르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이 세균에 감염되었다. 항생제 내성이란 세균이 스스로 항생제에 대항하여 생존능력을 갖는 상태를 말하는데, 페니실린 내성률 84%란 100마리의 세균에 페니실린을 투여할 경우 84마리의 세균이 살아남는다는 의미이다. 한국의 경우 특히 항생제 오용 및 남용이 심각하여 내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코마이신은 MRSA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항생제이다.

1996년 일본에서 이 항생제에도 내성을 가진 VRSA(Vancomycin Resistance Staphylococus Aureus)가 세계 최초로 발견되었다. '슈퍼 박테리아'라고도 부르는 VRSA는 면역력이 약해진 인체에 침투할 경우 단일 항생제로는 치료할 수 없고 몇 가지 항생제를 섞은 혼합 치료법으로도 완치를 확신하지 못하며, 결국 치명적인 패혈증을 유발한다.

한편 2001년 5월 반코마이신과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균주를 신속하게 검색. 진단할 수 있는 DNA칩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어 상품화되었다. 이로써 환자의 감염균에 적합한 항생제를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되어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