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공포병

한자: 防空砲兵 / 防空[1]
영어: Air Defense Artillery (ADA), Air Defense (AD), Anti Aircraft (AA)

땅에 초병이 있다면 하늘에는 이들이 있다
공군이 싫어합니다.

1 개요

대공포와 지대공 유도미사일을 이용하여 국가의 영공을 방위하는 대공방위전력 중 하나. 전투기를 운용하는 조종사가 이라면 이쪽은 방패로 비유된다. 다만 방패로 창을 부러뜨린다 사실 창을 던져서 적군의 창을 부라트린다 방패만 전문적으로 부수는 창도 있다

제2차 세계대전독일영국에서는 공군 소속이었으며[2], 미군에서는 지금까지 육군 소속이다. 영토가 넓은 나라에선 별도로 방공군을 두기도 한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육군 포병병과의 부분으로 시작되었다. 1991년에 육군에서 공군으로 전군[3]되었고, 육군은 현재 독자적인 방공병과(야전방공)를 운영하고 있다. 북한군에서는 반항공.

대공포는 방공포, 고사포 등등 여러 명칭으로 불린다.

육군 시절에는 땡보직이었는데[4][5] 공군에 와서는 높은 확률로 사이트로 간다든가 등의 이유로 다른 특기에 비해서 빡신 편이므로 기피 특기 중 하나. 장비나 예산 면에서도 다른 부대에 비해서 불이익을 받는다고 한다.

유명한 도시전설의 무대가 되는 병과이기도 하다. 미사일을 들고 유격훈련을 한다던가 하는 괴정보가 존재하는데 아무리 군기가 심한 부대라도 귀하신 미사일님을 들고 그런 짓을 할리가... 인간이 왜 중장비를 개발한 건데? 맨패즈는 들고 훈련하니 맞긴 맞을지도.. 이 소문은 아주 예전부터 전해진 것이지만 근거 없는 소리다. 미사일을 포함한 실탄의 경우 평시 작전임무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탄약고 내에서 엄중 보관하게 되어 있다. 고작 유격훈련 따위에 미사일을 꺼낼 이유가 없다.

대부분이 자기가 사는 도시에 공군부대가 없다고 생각하다가 지역방송을 보며 어? 공군 부대가 요기도 잉네? 하는 경우가 많다. 또는 등산하다가 저 너머에 뭐가 있네 하다가 몇 년 후 그 부대로...

장사정의 유도무기가 개발되면서 대응하기 위한 MD(Missile Defense)의 핵심전력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텔스 시대가 도래하고 있기에 고출력 레이더 등의 카운터 스텔스 기술을 도입하기 쉬운 방공포대가 있다면 스텔스기가 맘대로 설치면서 다니기 어렵다.[6] 탑재량에 한계가 있는 전투기에 비해 동시 다수교전기능이 발달되고 있어 무인전투기 시대에서는 한번에 무지막지한 미사일을 날려 무인전투기를 시밤쾅하는 데 핵심이 될 세력이다. 이래저래 합동, 연합작전을 주도할 준비를 해나가야 할 병과.

한국의 방공포병들은 다른 국가와는 전혀다른 체계의 전투를 준비하는 북한에 대비하기 위해서 각종 체계를 개발중에 있으며, 20xx년도 이후에는 새로운 무기체계를 도입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노후화된 장비들은 2선으로 물러나거나 퇴역할 예정이다.

2 대한민국 국군의 방공포병 연혁

  • 1950. 6. 29 미국 제507고사포대대 1개소대(M55 4문) 수원비행장 배치/최초 임무수행
  • 1954. 1. 11 한국군 최초 고사포대대 창설(제505자동화기 고사포대대)
  • 1955. 8. 22 육군 제1고사포여단 창설
  • 1964. 4.  호크대대 창설[7]
  • 1965. 6.  나이키대대 창설[8]
  • 1966. 6. 14 육군 제1방공포병여단으로 개편
  • 1972. 12. 1 육군 방공포병사령부[9] 창설 (2개 여단) 육군 제2방공포병여단 창설
  • 1975. 9.  수경사 제10방공포병단 창설
  • 1977. 10. 1 육군방공포병학교 창설
  • 1986. 12. 1 육군 제3방공포병여단 창설
  • 1988. 11. 1 공군 제88전대 창설(공군작전사 예하)[10]
  • 1991. 7. 1 전군 (육군 → 공군) 제88전대 해체. 공군 방공포병사령부 개편
  • 2001. 4. 1 육군방공학교 개편/부대이전
  • 2002. 9. 3 육군 방공병과 재창설[11]
  • 2008. 11. 28 공군 패트리어트(PAC-2) 도입
  • 2013. 6. 11 공군 방공포병사령부를 공군 방공유도탄사령부로 명칭변경.

3 나무위키에 등재된 방공무기

진하게 칠해진 것은 한국군이 운용경험 보유 또는 운용예정. 공대공 유도탄의 지대공 발사버전은 제외함.[12]

3.1 대공포

3.1.1 대구경

  • S-60 57mm 기관포
  • Sa'ir 100mm 이란의 대공포

3.1.2 소구경

3.2 지대공유도탄

3.2.1 단거리(저고도)

3.2.2 중거리(중고도)

3.2.3 장거리(고고도)

4 방공포병/보직

해당항목 참조

5 관련항목

  1. 각각 공군과 육군이 쓰는 명칭.
  2. 독일 육군 방공포병은 사실상 대전차 포병;;
  3. 노태우 정권 시절, 8·18 계획에 따라 중·고고도 방공전력은 공군으로 저고도 방공전력는 육군으로 정리하게 된다. 1991년 육군방공포병사령부와 예하 제1방공포병여단, 제2방공포병여단 및 육군방공포병학교는 육군에서 공군으로 전군되었고, 전군과 동시에 공군은 제3방공포병여단을 창설했다. 육군에 남은 제3방공포병여단은 제1방공여단으로 재편되었다. 이 때 포병병과에서 보병병과 내의 방공특기로 바뀌게 되며 공군은 '방공포병', 육군은 '방공'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게 된다. 아직 장성 급이나 정말 짬이 높은 원사/준위 중에는 육군 출신들이 남아있지만 거의 사멸한 상태. 사족으로 붙이자면 이 구획 구분이 지금 C-RAM 체계 도입과정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공군은 중저고도 방공을 위해 이스라엘 제 아이언 돔 체계를 도입하려 하고 육군은 이 과정에서 놓칠 수 있는 포탄의 요격을 위해 기관포형 C-RAM 체계 도입을 신청했다. 문제는 돈이 없고 이 과정에서 서로 자기관할 구역이라고 구역싸움질중 답이 없다.
  4. 단, 수도방공을 맡은 부대의 경우에는 사소한 결점으로도 군사재판에 회부한다고 한다.
  5. 정확한 의미로는 유도무기를 운용한다는 이유로 육군의 스마트부대라는 인식.....
  6. Allied Force작전 당시 다니 졸탄 대령이라 하는 방공포대장은 F-117을 SA-3 유도탄으로 격추시켰다. 물론 추후 밝혀진 이야기에 따르면 시도때도 없이 이동 및 설치를 하느라 엄청 힘들었다고.
  7. 미 군사고문단의 조언으로 창설되었다, 이 때 창설을 주장한 장교가 한국계 미군 장교 김영옥 대령이었다.
  8. 상기 각주와 동일
  9. 철매부대
  10. 비행단에서 운용되는 방공무기 총괄
  11. 천마,비호,신궁등의 방공전력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 재창설함
  12. AIM-9, 파이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