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군인)

대한민국 국군신분
군인 (장병)
사병준사관장교
(병사/수병)부사관준사관위관급 장교영관급 장교장관급 장교
준군인
훈련병부사관후보생준사관후보생사관후보생사관생도군무원


1 개요

군대에서 가장 낮은 신분의 군인. 장기판의 말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졸병. 국방부에서 공식으로 미는 호칭은 병이며 병사사병은 쓰지 않는다. 단 관심병사으뜸병사 같은 호칭은 관례적으로 쓰인다(!). 해군 병을 뜻하는 수병 및 공군 병을 뜻하는 공군병 및 해병대 병을 뜻하는 해병도 마찬가지이나, 국방부와 육공군이 병사라는 단어 자체의 사용을 지양하는 것과 해군과 해병대는 수병과 해병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한다.

병(兵)은 군대를 구성하는 최하위 전투원을 의미한다. 위관급 장교가 갖고 있는 귀한 신분과 뛰어난 재능도 없고 부사관이 갖고 있는 많은 기간동안의 노력과 관록도 없다. 병의 병(兵)은 그냥 전투원을 상징하는 한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병은 여럿이 힘을 합쳐 부대를 구성하고 부대의 전투력에 일조한다. 군대에서 가장 하위권에 속한 구성원이지만 전투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주 중요한 구성원이다.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경비대 시절부터 1962년까지 일병이병만 존재했으나 1962년에 상병병장을 신설하였다. 그도 그럴듯이 초기에 미군 고문관들이 미국식의 enlisted 시스템을 이식했는데 징병제로 다수의 병을 끌어들이는 한국군 상태에서 잘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 1948년-1962년: 훈련병-이병-일병
  • 1962년 이후: 이병-일병-상병-병장

1974년 1월부터 군 인사법이 바뀌면서 여군부사관장교로만 근무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전에는 병으로 복무하는 것이 가능했다. 1950년 9월 6일에 부산에서 여자의용군교육대가 발족됐고 1951년 11월에 육군본부 고급부관실 여군과로 주무부서가 바뀌었다. 1955년 7월에 여군훈련소가 설치됐고 1959년 1월엔 육본 내에 여군처(女軍處)가 설립되었다. 1970년 12월엔 여군단(女軍團)으로 바뀌었다. 왜 여군병을 폐지했는지 궁금한 위키러가 있을 텐데 1950년대 초에 전시에 잠깐 여군 병이 입대한 걸 빼면 지원제에다 급여가 낮아[1] 여군 병으로 입대하는 사람이 없어서 이미 1950년대 중반부터 거의 유명무실한 제도였기 때문이었다. 이는 여성징병제가 실시되지 않는건 효율성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여자들이 군복무를 하기 싫어해서라는 설의 근거이다. 자세한 것은 여성징병제여성모병제를 참고할 것.

보통 징병제가 존재하는 국가에서 병 신분은 모두 징병에 의해 의무복무만 채우는 신분이라 여기기 쉬우나, 징병제 국가임에도 직업군인인 병 신분이 존재하는 나라들은 많다. 보통 병 최하위 계급 및 그 상위 1~2개 계급까지를 만기전역할 인원들에게 부여하고, 이 복무기간 만료 이후에도 장기복무를 희망하는 경우 그보다 상위 병 계급을 부여하다 일정 자격을 충족하면 부사관이 되는 식이다. 독일군 같이 병 계급이 6개에 달하는 경우가 이런 케이스로, 직업군인이 모두 부사관과 장교인 국군에서 말단 하사들이 할 일들 다수가 이들 직업군인인 병들에게 부여된다.

2 국가별

2.1 대한민국 국군의 병

계급장의 경우 포제 전투장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대한민국 해병대는 검정색을, 대한민국 해군은 주황색(해상병전투복과 고속정복, 정비복 및 구형 전투복용. 신형 전투복부터는 황록색 바탕에 흰색)을, 대한민국 공군은 파란색을 사용한다. 포제 비전투장은 정복과 근무복에 쓰이는 것으로 색상이 다르다. 원래는 색상이 같았는데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사태 이후에 전투복의 계급장 및 부대표지가 너무 잘 드러난다는 문제점이 부각되어 전투복에 다는 계급장은 저시인성 색상으로 바꿨다.


이병일병상병병장


[2]
ROK_Army_Ibyeong.pngROK_Army_Ilbyeong.pngROK_Army_Sangbyeong.pngROK_Army_Byeongjang.png

2.1.1 계급 체계 개선 논란

복무기간에 비해 병의 계급이 4단계로 지나치게 복잡화되었단 의견이 있다. 1962년 이래로 2014년 선임원사가 생기기 전까지 한국군 부사관도 고작 4단계였다. 병과 부사관사병으로 결합된 타국군의 경우 병의 체계를 복잡화하는 것이 사병 전체의 계급구조이기 때문에 동기부여나 인사적체에서 효과적인데 비해 단 2년으로 제한된 복무기간 내에 4계급 체계다보니 영… 인사명령도 수시로 내야 하고 계급장을 교체하는 주기도 너무 짧다. 이 때문에 병 계급의 축소에 관한 소문이 끊이지 않았고, 그 때마다 국방부는 사실무근이라며 일축해왔다. 2005년에도 이러한 소문이 돌았다.

특히 2014년에는 윤일병 폭행 사망사건을 비롯한 각종 가혹행위, 악폐습 문제가 큰 파장을 일으키는 와중 아예 계급을 일원화하겠다는 내용의 기사까지 돌았다. 국방부와 병영문화혁신위에서 기존의 이병-일병-상병-병장으로 나뉜 4개의 계급을 '용사' 계급으로 일원화하고 분대장급 병들에 한해서 '용장' 계급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는 것. 이에 대해 국방부는 사실무근[3]이라고 해명했다. 병영문화혁신위에서 2014년 12월 12일에 최종적으로 의결한 권고안에도 병 계급 개선에 관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조금만 단순화하면 좋을 것 같다'는 이야기가 나온 수준에서 그쳤다는 이야기가 있는 것을 볼 때 비록 합의되지는 못 했으나 일원화까지는 아니더라도 단순화하는 것에 대한 논의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계급장의 잦은 교체가 낭비라고 본다면, 영연방 군대처럼 병은 최상급 계급(국군의 경우 병장)만 제외하고는 계급장을 없애거나 공용을 쓰게 하는 방법도 있다.

또 하나의 방법이 있다. 일단 기초군사훈련후반기교육은 그대로 하고 이병 1년 일병 1년 그리고 상병계급을 연장복무로 병장은 미군처럼 부사관계급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2.1.2 육군병

영어로 솔저(Soldier)는 군인을 가리키기도 하나 좁은 의미로는 육군병을 말한다. 대한민국 국군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차지한다. 연간 기초군사훈련을 받는 인원이 20만이 넘는다. 매년 자위대 전체 병력과 비슷한 인원이 육군병으로 입대하고 소총수는 대한민국 군대 얘기 중에서 가장 공감하기 쉬운 주제이다.

2.1.3 해군병

해군병은 수병이라 하며 영어로는 seaman이라 하나 맡은 직별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그나마 공군병은 육군과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으나 해군병은 문화적으로 육군과 정말 다르다. 때문에 병사와 달리 수병이란 단어는 공식적으로 쓰인다. 해군이 기술군이다보니 육군에 비하면 수상함 근무 등에서 부사관의 비율이 높고 잠수함의 경우에 한국은 수병을 아예 태우지 않고 전원 하사 이상으로 구성한다. 육군의 소총수처럼 해군에선 갑판병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육군이 의경과 마주칠 일은 잘 없지만 해군병의 경우 배를 타거나 섬에 근무하면 해경과 자주 마주친다. 둘의 사이는 지역마다 다른데 최전방 2함대나 해군 세력이 강한 지역에선 원만하게 잘지내고 해군세력이 약한 곳에선 해경이 해군 물로보고 업무협조 안해주는 양상이 나타난다. 해상자위대해상보안청은 서로 한 배 새끼인데도 사이가 나쁘고[4] 미 해안경비대미 해군도 좀 껄끄러운 편이다. 다만 군종이나 의무, 법무 등의 인원을 미 해병대처럼 해안경비대도 미 해군에게 지원받고 있기 때문에 서로 교류는 있다.[5]

2.1.3.1 해병

해군이 수병이라 불리는 것처럼 해병 혹은 해병대원이라 불린다.[6] 해군과 합동훈련을 하고 과거에 해병대원들은 함정의 경비업무나 기지 경계업무를 맡았지만 현대 여러 국가의 해병들은 상륙보병 기능이고 수상함이나 잠수함의 경계업무나 기지 헌병 등은 해군 인원을 활용하는 탓에 해군과 일체감이 감소했다. 그 때문에 해병대 특유의 독특한 문화가 자리잡게 되었다. 미합중국 해병대는 여전히 해군 헌병, 기지 및 함정 경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대한민국 해병대가 규모가 작아 장교단이나 준사관단, 부사관단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예비역 전우회 등을 구성하는 인원은 해병대 병 출신들이 많다. 타군의 예비역 병들이 전우회 등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한데 비해, 해병대 병들은 전역 후에도 기수를 따지는 등 분위기가 딴판이다. 해병대의 독립이나 해병사관학교 설립 등을 주장하는 인원들 상당수가 해병대 병 출신들이다. 병들만큼은 아니지만 예비역 부사관들도 전우회에 많이 참여하며, 장교들은 주로 임관 루트에 따른 기수 모임 등에 가므로 해군 예비역 장교들 모임에 함께 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1.4 공군병

공군병은 공군병이라 하며 영어로는 Airman이다. 하지만 공군병 대다수는 자신의 영어 표현이 soldier로 알고 있다(…). 대한민국 공군병의 경우에는 육군 항공대에서 독립하면서 시작했고 건군기의 인원들이 육군적인 문화에 익숙했기 때문에 해군보다는 육군에 가까운 문화로 나아갔다. 그런데 발전상에서 육군과는 달리 기술군의 특징이 부각되면서 조종장교나 기술부사관의 확충이 중요해져 상대적으로 고학력자를 요구했다. 갑종이 고졸, 을종이 중졸을 요구하는 동안 공군은 장교는 대졸, 부사관은 고졸 이상을 충원했다. 병 또한 타군에 비해 잦은 휴가를 미끼로 상대적으로 고학력자들의 지원을 받아들였다. 초기에는 육군과 분위기가 비슷했지만 기술군이란 점과 조종장교와 방공포병[7]을 제외하면 비전투병과[8]란 점에서 병들의 업무가 전술훈련보다는 유지관리가 중점이 됐다. 타군에 비해 사무실이나 숍(shop) 단위로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다.

2.2 미군의 병

미군의 경우 무등병[9] 및 훈련병(E-1), 이등병(E-2)[10], 일등병(E-3), 상등병(E-4)[11]이 병에 해당한다.[12] 이 중 상등병[13]은 육군의 경우 병 계급인 Specialist와 부사관 계급인 Corporal으로 나뉘고[14], 공군은 병 계급인 Senior Airman이다. 미 해군 및 해안경비대의 Petty Officer Third Class부터는 부사관 계급이며, 해병대 또한 부사관인 Corporal 단일 계급이다. 미군 병장(E-5)부터는 전 군에서 부사관에 해당한다. 무등병 및 훈련병은 계급장이 없다.[15]

계급명(임금 등급)이등병(E-2)일등병(E-3)상등병(E-4)[16]
미 육군80px-Army-USA-OR-02.svg.png80px-Army-USA-OR-03.svg.png80px-Army-USA-OR-04b.svg.png
Private
(이등병)
Private First Class
(일등병)
Specialist
(상등병)
미 해군80px-E2_SM_USN.svg.png80px-USN_-_Seaman_Apprentice.png80px-E3_SM_USN.svg.png80px-USN_-_Seaman.png없음
(부사관)
Seaman Apprentice & Hospitalman Apprentice
(갑판의무 이등병)
Fireman Apprentice
(기관 이등병)
Airman Apprentice
(항공 이등병)
Construction Apprentice
(시설 이등병)
철장
(이등병)
Seaman & Hospitalman
(갑판의무 일등병)
Fireman
(기관 일등병)
Airman
(항공 일등병)
Construction
(시설 일등병)
철장
(일등병)
미 해병대80px-USMC-E2.svg.png80px-USMC-E3.svg.png없음
(부사관)
Private First Class
(이등병)
Lance Corporal
(일등병)
미 공군80px-E2_USAF_AM.svg.png80px-E3_USAF_AM1.svg.png80px-E4_USAF_SAM.svg.png
Airman
(이등병)
Airman First Class
(일등병)
Senior Airman
(상등병)
미 해안경비대80px-USCG_SA.svg.png80px-USCG_FA.png80px-USCG_AA.png-80px-USN_-_Seaman_Apprentice.png80px-USCG_SM.svg.png80px-USCG_FM.png80px-USCG_AM.png-80px-USN_-_Seaman.png없음
(부사관)
Seaman Apprentice
(갑판 이등병))
Fireman Apprentice
(기관 이등병)
Airman Apprentice
(항공 이등병)
-철장
(이등병)
Seaman
(갑판 일등병)
Fireman
(기관 일등병)
Airman
(항공 일등병)
-철장
(일등병)

선술했듯, 육군만 예외적으로 E-4 등급에 병 신분인 Specialist와 부사관 신분인 Corporal이 혼재하고 그 외 군종의 E-4에 해당하는 계급은 단일 계급이다.[17] 계급 명칭 번역만 보면 상병 등 병 계급인데 부사관으로 분류되는 괴이한 구조라 볼 수 있으나, 이는 그냥 밑에서부터 끊어서 어거지로 대치시킨 현실성 없는 한미간 군 계급 번역 체계 탓이다. 주한미군 육군에서 근무하는 카투사들 증언에 따르면, "규정이 그렇다니까 따르긴 하지만, 부사관인 데다 다는 데 심하면 5년 이상도 복무해야 하는 우리 Sergeant가 가만히 있으면 1년 좀 넘은 뒤에 달아주는 병장이랑 같다는 건 납득하기 힘들다."고 하는 미 육군 장병들도 많다고 한다.

상등병(E-4)이 30만 명으로 가장 많다.[18] 이유는 능력과 상관없이 상병까지는 진급이 보장되기 때문. 병장은 24만, 하사는 16만으로 줄어들고 중사는 10만이 안 된다. 상사부턴 2만, 원사는 1만으로 급격히 줄어드는 피라미드 구조다.

그리고 미 해군 및 해안경비대 일병과 상병중에 수병 및 의무병은 흰색(흰색 제복일 경우 검정색), 기관병은 빨간색, 항공병은 녹색, 시설병은 파란색이다. 해안경비대는 자체 의무 및 시설병과가 없어 해군 인원이 파견되어 근무한다.

2.3 인민해방군

중국군의 병은 두 계급이다. 열병(列兵)과 상등병(上等兵)인데 각각 한국의 일등병상등병에 상당한다. 한국군도 1962년에 상병병장을 신설하기 전에는 이등병과 일등병만 존재했다. 병으로 2년을 근무하고 장기복무를 선택하면 하사(한국군의 상병에 상당하나 이때부터 부사관으로 구분된다)로 진급한다.

병의 1년차 월급은 400위안으로 한국돈으로 5만원에 상당한다. 베이징의 최저급여인 800위안보다는 낮은 편이지만 한국군의 병 급여의 민간 대비보다는 높은 편이다. 부사관을 택하면 월급이 확 뛴다. 아마 대한민국의 병역의무최저임금제의 절충형을 선택한듯하다.

2.4 영국군의 병

영군의 경우 훈련병 및 이등병(E-1), 일병(E-2)이 병에 해당한다. 이중 육군 일병은 {Private}, 해군 일병은 {Able Seaman}, 해병대 일병 {Marine}, 공군 일병은 {Senior Aircraftman(Technician) (기술), Senior Aircraftman (일반), Leading Aircraftman (지상근무)}이다. 훈련병 및 이등병은 계급장이 없다.

계급명일병(E-2)
영국 육군모양이미지 없음
명칭Private
(일병:없는계급)
영국 해군모양80px-Able_Rating_Badge.png
명칭Able Seaman
(일병)
영국 해병대모양이미지 없음
명칭Marine
(일병:없는 계급)
영국 공군모양80px-RAF-SAC_Tech-OR-2.png80px-RAF-SAC-OR-2.png80px-RAF-LAC-OR-2.png
명칭Senior Aircraftman(Technician)
(기술일등병)
Senior Aircraftman
(일등병)
Leading Aircraftman
(지상근무일등병)
(일병)

E-3(육군, 해병대, 공군) 및 E-4(해군) 이하를 말한다.

2.5 독일군의 병

독일군의 경우 훈련병 및 이등병(E-1), 일병(E-2), 상병(E-3), 병장(E-4)이 병에 해당한다.

계급명일병(E-2)상병(E-3)병장(E-4)
독일 육군80px-HD_H_12_Gefreiter_Jg_L.svg.png80px-HD_H_13_Obergefreiter_HAufkl_L.svg.png80px-HD_H_14_Hauptgefreiter_Art_L.svg.png80px-HD_H_15_Stabsgefreiter_HFla_L.svg.png80px-HD_H_16_Oberstabsgefreiter_Fm_L.svg.png
정복전투복정복전투복정복전투복정복전투복정복전투복
Gefreiter
(병사)
(일병)
Obergefreiter
(상급병사)
(상병)
Hauptgefreiter
(참모병사)
(상병)
Stabsgefreiter
(병사장)
(병장)
Oberstabsgefreiter
(상급병사장)
(병장)
독일 해군80px-MDS_12_Gefreiter_20_L.svg.png80px-MDJA_12_Gefreiter_50_Lo.svg.png80px-MDHWA_12_Gefreiter_10_Lo.svg.png80px-MA_OG5_12_Gefreiter_L.svg.png80px-MDS_13_Obergefreiter_30_L.svg.png80px-MDJA_13_Obergefreiter_40_Lo.svg.png80px-MDHWA_13_Obergefreiter_20_Lo.svg.png80px-MA_OG5_13_Obergefreiter_L.svg.png80px-MDS_14_Hauptgefreiter_50_L.svg.png80px-MDJA_14_Hauptgefreiter_30_Lo.svg.png80px-MDHWA_14_Hauptgefreiter_30_Lo.svg.png80px-MA_OG5_14_Hauptgefreiter_L.svg.png80px-MDS_15_Stabsgefreiter_60_L.svg.png80px-MDJA_15_Stabsgefreiter_20_Lo.svg.png80px-MDHWA_15_Stabsgefreiter_40_Lo.svg.png80px-MA_OG5_15_Stabsgefreiter_L.svg.png80px-MDS_16_Oberstabsgefreiter_70_L.svg.png80px-MDJA_16_Oberstabsgefreiter_10_Lo.svg.png80px-MDHWA_16_Oberstabsgefreiter_50_Lo.svg.png80px-MA_OG5_16_Oberstabsgefreiter_L.svg.png
동코트동정복하정복전투복동코트동정복하정복전투복동코트동정복하정복전투복동코트동정복하정복전투복동코트동정복하정복전투복
Gefreiter
(수병)
(일병)
Obergefreiter
(상급수병)
(상병)
Hauptgefreiter
(참모수병)
(상병)
Stabsgefreiter
(수병장)
(병장)
Oberstabsgefreiter
(상급수병장)
(병장)
독일 공군80px-LD_B_12_Gefreiter_L.svg.png80px-LA_OS5_12_Gefreiter_L.svg.png80px-LD_B_13_Obergefreiter_L.svg.png80px-LA_OS5_13_Obergefreiter_L.svg.png80px-LD_B_14_Hauptgefreiter_L.svg.png80px-LA_OS5_14_Hauptgefreiter_L.svg.png80px-LD_B_15_Stabsgefreiter_L.svg.png80px-LA_OS5_15_Stabsgefreiter_L.svg.png80px-LD_B_16_Oberstabsgefreiter_L.svg.png80px-LA_OS5_16_Oberstabsgefreiter_L.svg.png
정복전투복정복전투복정복전투복정복전투복정복전투복
Gefreiter
(공군병)
(일병)
Obergefreiter
(상급공군병)
(상병)
Hauptgefreiter
(참모공군병)
(상병)
Stabsgefreiter
(공군병장)
(병장)
Oberstabsgefreiter
(상급공군병장)
(병장)

E-4 이하를 말한다.

2.6 중화민국군의 병[19]

중화민국군의 경우 이병, 일병, 상병이 병에 해당한다.

구분이병일병상병
중화민국군 육군
중화민국군 해군
중화민국군 해군육전대
중화민국군 공군

2.7 자위대의 병[20]

이병과 일병, 상병으로 구성된다. 일본어로는 2사(2士), 1사(1士), 사장(士長)이라고 표현한다. 보통 이병으로 6개월, 일병으로 1년을 보낸 뒤에 상병으로 진급한다. 훈련기간 3개월간엔 계급을 부여받지 않는다. 보통 사고치지 않는 한 입대 후 1년 9개월 뒤에 상병으로 진급하는 셈. 다만 상병으로 4-5년 이상을 보내는 일이 많다.

구분이병일병상병
육상자위대80px-JGSDF_Private_insignia_%28a%29.svg.png80px-JGSDF_Private_insignia_%28b%29.svg.png80px-JGSDF_Private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GSDF_Private_First_Class_insignia_%28a%29.svg.png80px-JGSDF_Private_First_Class_insignia_%28b%29.svg.png80px-JGSDF_Private_First_Class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GSDF_Leading_Private_insignia_%28a%29.svg.png80px-JGSDF_Leading_Private_insignia_%28b%29.svg.png80px-JGSDF_Leading_Private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정복근무복작업복-정복근무복작업복-정복근무복작업복-
2등육사1등육사육사장
해상자위대80px-JMSDF_Seaman_Apprentice_insignia_%28a%29.svg.png80px-JMSDF_Seaman_Apprentice_insignia_%28c%29.svg.png80px-JMSDF_Seaman_Apprentice_insignia_%28b%29.svg.png80px-JMSDF_Seaman_Apprentice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MSDF_Seaman_insignia_%28a%29.svg.png80px-JMSDF_Seaman_insignia_%28c%29.svg.png80px-JMSDF_Seaman_insignia_%28b%29.svg.png80px-JMSDF_Seaman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MSDF_Leading_Seaman_insignia_%28a%29.svg.png80px-JMSDF_Leading_Seaman_insignia_%28c%29.svg.png80px-JMSDF_Leading_Seaman_insignia_%28b%29.svg.png80px-JMSDF_Leading_Seaman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동계정복하계정복근무복작업복동계정복하계정복근무복작업복동계정복하계정복근무복작업복
2등해사1등해사해사장
항공자위대80px-JASDF_Airman_3rd_Class_insignia_%28a%29.svg.png80px-JASDF_Airman_3rd_Class_insignia_%28b%29.svg.png80px-JASDF_Airman_3rd_Class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ASDF_Airman_2nd_Class_insignia_%28a%29.svg.png80px-JASDF_Airman_2nd_Class_insignia_%28b%29.svg.png80px-JASDF_Airman_2nd_Class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ASDF_Airman_1st_Class_insignia_%28a%29.svg.png80px-JASDF_Airman_1st_Class_insignia_%28b%29.svg.png80px-JASDF_Airman_1st_Class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정복근무복작업복-정복근무복작업복-정복근무복작업복-
2등공사1등공사공사장

사병 55만 가운데 병이 45만 이상을 차지하는 한국군이나 사병 120만 가운데 병이 절반을 넘는 미군과 달리 자위대는 사병 중에 75% 정도가 부사관이고 병은 1/4 정도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1970년에 병장의 월급이 780원이었다.
  2. 전투복용 계급장은 색에 따라 다르다. 검은색은 육군, 해병대, UDT/SEAL. 흰색은 해군. 파란색은 공군.
  3. 육군에서 병 계급 체계를 일병-상병-(분대장만)병장으로 개선하자고 제안한 부분은 사실이다.
  4. 이는 건군기에 해상보안청을 구성하는 구 일본군 해군 장교 출신들이 일본해군병학교가 아닌 상선사관 출신이 많았다는 점에서 한 몫했다.
  5. 하지만 지휘 계통은 상관없다. 미 해병대는 해군청 소속이지만 해안경비대는 국토안보부 소속이다. 전시에는 제1함대로 해군에 파견될 수도 있긴 하다만.
  6. 북한원피스에서는 수병을 해병이라고 한다.
  7. 그나마도 육군에서 1991년에 넘어왔다.
  8. 일부 기지대 소속의 헌병작전지원전대
  9. 육군의 경우 표기는 훈련병, 이등병과 같이 Private이나, 페이그레이드는 이등병보다 한 단계 낮은 E-1이며 훈련병처럼 계급장도 없다. 미 군형법상 유죄판결을 받아 불명예제대 예정일 경우 이 계급이다.
  10. 육군의 경우 훈련병과 이등병의 호칭이 똑같이 Private이다. 공식 표기는 육군 훈련병은 Private E-1(PV1), 육군 이등병은 Private E-2(PV2). 흔히 부르는 Private은 육군 이등병이다. 어차피 훈련병 계급은 길어 봤자 6개월이면 '자동적으로' 진급이기 때문에 헷갈릴 일은 거의 없다.
  11. 육군과 공군 한정.
  12. 계급 숫자 앞의 E는 Enlisted의 약자로, 통합 복무급여 등급(Uniformed Services Pay Grades, 흔히 줄여서 Pay Grade라 한다.)에서 사병 및 부사관을 의미한다. 즉 한국군처럼 전 군이 똑같이 딱딱 나눠지는 계급이 아니라 급여 지급 수준에 따라 각 군의 계급을 묶은 것이다. 병 및 부사관의 경우 E-1(훈련병)에서 E-9(원사)까지 있다. 참고로 준사관은 W-5까지, 장교는 O-11까지 있다. 물론 숫자가 클수록 임금이 높다. 전군에 획일화된 계급은 나토 계급 등급에 따라 OR-9, WO-5, OF-10까지 있다. 다만 Enlisted의 경우 나토 계급과 급여등급 뒤의 숫자가 일치하기 때문에 그냥 익숙한 페이그레이드를 사용한다.
  13. 페이그레이드 E-4, 나토 코드 OR-4
  14. 단, 페이그레이드는 E-4로 동일하고 계급에 따른 혜택 차이도 거의 없다시피 하다. 그래서 지휘 경험을 쌓고 빠르게 진급해서 원사를 달고 싶은 욕심이 없다면 굳이 Corporal을 거치지 않고 부사관인 병장(Sergent)로 진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15. 이전에는 E-1이 이등병인 것으로 서술해 놓았으나, 대한민국 육군 병장 계급은 나토 코드로 OR-5이므로, 미군의 E-5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 표기가 정확하다.
  16. 해당하는 계급이 부사관일 경우 표시하지 않았다. 항목 참조
  17. 이전 서술에는 육군 Specialist를 제외한 E-4등급은 부사관 신분이며 60만 명을 넘어 사병(Enlisted)의 절반을 넘게 차지한다고 쓰여 있었으나 공군의 OR-4(페이그레이드 E-4)인 Senior Airman 또한 병 계급이다.
  18. 해군은 E-5인 Petty Officer 2nd Class(E-5, 병장)가 가장 많은 등 각 군별로 차이가 있지만, 쪽수가 가장 많은 게 육군이라 인원수를 전부 더하면 이 계급이 가장 사람이 많다.
  19. 사병(士兵)
  20. 사(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