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계역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강원선관리 주체 : 북한 철도성
소속 : 함흥철도총국
고 원 방면
리 목
복 계평 강 방면
평 강

福溪驛 / Pokgye Station

강원선의 철도역. 강원도(북한) 평강군 복계리 소재. 해방당시에는 평강역과 복계역 부근이 모두 평강읍에 속했고 군청은 평강역 부근에 있었다. 한국전쟁으로 군청이 복계로 올라왔다가 1962년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갔다. 북한 최초의 전기철도가 시작된 역이며[1] (복계-고산) 국군이 저 멀리 올라갔을때 경원선은 복계역까지 운행이 재개된 적이 있다.

복계역은 평강에서 교차되는 도로가 나란히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북한 이천군 방향의 도로와 김화(금성)방향의 도로, 강원선을 따라가는 도로가 복계와 평강 사이에서는 같은 길을 공용한다. 때문에 광복 전에는 이천군 주민들이 외지로 갈 때 주로 이용했던 이천군의 입구와 같은 역이었다. 같은 군, 읍에 있으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고, 인근 지역의 통로와 같은 역이라는 점에서 장항선의 신례원역에 대응되는 역이었다.

경원선이 연천 이후로는 계속 오르막길이지만, 이 역부터 추가령까지는 경사가 제법 가파르다. 이 구간이 제일 먼저 전철화된 이유이기도 하다.

평강역과 이 역 사이에서 강원선을 따라가는 도로와 강원선 주변에 시가지가 있고 또 복계역 서쪽에 시가지가 있다.

이 역과 이목역의 거리는 철도를 따라 10.9km로 강원선에서 제일 긴 역간거리이다.

1931년 1월 11일에 영하 37도를 기록한 적이 있는데 비공식 기록으로 보인다.#
  1. 한국 최초는 금강산선이다. 일제강점기 당시부터 전철화가 완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