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리안 주짓수/체계

1 개요

브라질리안 주짓수는 상당히 복잡한 무술이다. 기술들의 정의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은 편이기에 일단 IBJJF 규정과 일반 이론에 맞게 정리해두었다. 경기는 기술적 제어 자세의 진행을 통해 궁극적으로 서브미션 홀드에 이르는 방식으로 전개되어야 한다.[1]

2 득점 자세[2]

2.1 테이크다운

Takedown. 기본적으로 2점. 시합에서 잘 안 쓰인다는 사람도 있으나 실제로는 경기를 하는 두 사람의 성향에 달려있다. 만약 두 사람 다 탑 포지션을 잘하는 선수고 두 사람 중 어느 누구도 먼저 가드에 갈 생각이 없다면 그 경기는 테이크 다운 싸움이 된다. 이는 노기에서도 발생하며 서로가 태클을 방어하며 레슬링 스타일을 클린치만 반복하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2.2 스윕

Sweep. 기본적으로 2점. 가드 상태에서 탑에 있는 상대를 뒤집는 기술. 이것 역시 테이크 다운과 마찬가지로 포지션을 빼앗는 것까지를 목적으로 둔다. 테이크 다운과 마찬가지로 상위 포지션을 점유하지 못해도 넘어뜨렸을 때 대미지, 가드보다 유리한 탑을 극복했다는 점이 인정되어 점수를 받기는 한다.(+2점) 참고로 사이드나 마운트, 니 온 벨리, 백에서 뒤집는 건 스윕 대신 탈출이라는 의미의 Escape이라고 부른다.

2.3 니 온 벨리

Knee on Belly. 기본적으로 2점. 형태상으로 자신의 하체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대방의 상체(정확히는 복부 주변)에 내 무릎 한쪽을 올린 상태를 의미한다. 위력적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가드패스와 같이 이쪽의 공방과 회피는 자유로운데 상대방의 공방과 회피는 불가능한 상태인데다가, 체중을 무릎이라는 좁은 범위에 다 싣기 때문에 상대방이 몸에 느끼는 부담감은 가드패스랑은 비교가 안된다. 같은 체중일때 이 상태로 20분만 있으면 체중의 압력에 의해 정신을 잃고 가드패스 상태보다 더 빨리 탈진과 압사가 가능하다.[3] 거기다가 가드패스 상태와는 달리 상체를 마음대로 세울 수 있으니 공격에 체중을 실기도 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드패스보다 점수를 덜 받는데 그건 이 자세가 유지하기가 힘들기 때문. (+2점)

2.4 가드 패스

Guard Pass. 기본적으로 3점. 형태상으로는 상대방의 하체 밖에서 상대방의 상체를 제압[4]한 상태. 사람들은 MMA나 그래플링 대회에서 노스 사우스 포지션이니 사이드 포지션이니 하는 걸로 잡았다고 점수를 얻는줄 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그것들은 그저 가드패스한 상태에서의 형태상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나타내는 말일뿐, 실질적으로는 둘 다 그저 가드패스 상태일뿐이다. 실제로 구분같은 거 안하고 사이드 => 노스 사우스, 노스 사우스 => 사이드로 가봤자, 점수가 더 올라가는 일도 없다. 그저 가드 패스일뿐이다.

가드를 패스한 것은 주짓수에서 대단히 큰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상대방을 제압함을 의미한다. 실제 가드패스한 상태에서 상대방은 이스케입하지 않고서는 공격을 방어하거나 회피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공격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할 수는 있으나 해봤자 대미지를 주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거기다가 상대방이 체중으로 누르기 때문에 탈진 내지는 압사도 가능하다. 그야말로 승기를 잡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2.5 마운트

Mount and Back Mount. 기본적으로 4점. 상대방의 상체를 깔고앉은 형태다. 니 온 벨리와 가드패스의 장점만 섞어놨다고 보면 된다. 마운트를 탄 자의 공방과 회피는 자유로운데 반해, 뺏긴자의 공방과 회피가 불가능한 건 두 말 할 것 없고 자세가 사이드만큼, 아니 그보다도 안정적임에도 불구하고 체중은 넓게 퍼뜨리는 것부터 한 점에 집중시키는 것까지 가능하고 상체 역시 마음대로 세워서 공격 할 수 있으니 그야말로 '게임을 장악했다'고 볼 수 있는 위력적인 자세다. 때문에 니 온 벨리나 가드패스보다 훨씬 우위의 점수를 받는다.(+4점) 참고로 상대방이 가드한 상태에서 내가 사이드를 거치지 않고 바로 마운트를 해냈다면 가드패스(+3점)와 마운트 포지션(+4점)을 합한 점수(+7점)을 얻게된다.

2.6 백 컨트롤

Back Control. 기본적으로 4점. 개념상으로는 상대방 뒤에 있는 것인데 형태상으로 제약이 있다. 그냥 상대방 뒤에 있으면 안 되고 시술자의 다리가 상대방의 양 다리에 훅을 걸고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5] 상대가 방어도, 회피도 힘든 상태에서 상대방의 뒤에 있기에 공격받을 일이 없으며 또한 상대방이 이쪽을 보는 것조차 쉬운 일이 아닌 상태이기에 위력적인 자세다. 뒤에 매달린 형태이기에 압박이 적긴 하지만 상대방에게 크나큰 스트레스를 줄 수 있기에 마운트보다도 그 부담은 크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목이나 얼굴을 가볍게 조이는 행동만 해도(제대로 된 서브미션이 아니랄지라도) 상대는 5분 안에 탈진은 물론 심하면 호흡곤란으로 기절에 이른다. 탑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지만 가드도 탑도 아닌 어정쩡한 위치이고 가드에서도 탑에서도 들어갈 수 있기에 별개로 구분해뒀다. (+4점)

3 이스케이프

Escape. 가드 패스나 마운트, 니 온 벨리, 백 컨트롤을 당했을 때 탈출하는 것. 리커버리랑 비슷해보이지만 이건 걸린 뒤라는 점과 방식이 다양하다는 점 때문에 확연히 구분된다. 처음 도장에 가면 1주일동안 리커버리랑 이스케잎만 배운다. 실력과 상관 없이 누구나 매일 연습하며 다들 여기에 목을 맨다.

간혹 사이드나 마운트, 니 온 벨리, 백 포지션에서 상대를 뒤집는 걸 스윕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기는 한데 그건 잘못된 용어 사용이다. 정확히는 이게 이스케잎이고 스윕이랑 달리 뒤집어 봤자 점수가 없다. 그저 불리한 상황에서의 탈출일뿐이고 낙법도 자연스럽게 되는데다가, 실상 뒤집은 상황을 유지할 수 있는지도 미지수이기 때문이라카더라. 불리한 상황에서 탑으로 갔는데도 점수를 주지 않는 것에 대해서 아직까지 불만이 많지만 세계 어느 대회를 가도 저러니 뭐...

4 브라질리안 주짓수/가드

Guard. 상대방이 사이드 컨트롤이나 노스 사우스 컨트롤에 이르지 못하도록 본인의 다리로 막는 것.[6] 가드 패스와 더불어 주짓수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반대로 말해서 상대방이 시술자의 하체 밖에 있으며 시술자의 상체를 제압했으면 가드 패스. 패스당한 가드는 그 때부터 가드도 뭣도 아닌 그냥 당하고 있는 자세일 뿐이라 따로 이름은 없다.

패스 당한 상태보다는 유리하지만 중력이 상대방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므로 지고 있는 상태로 보는 게 좋다. 상대방의 힘을 제외하더라도, 가드 하면서 머리를 바닥에 대고 누워 있으면 대부분 패스 당하므로 머리를 들고 있는 게 기본이다. 이는 지속적으로 중력을 거스르는 것이므로 체력이 소모된다. 체력을 제외하더라도 IBJJF에서는 시간 끌기를 반칙으로 규정하며 각 시합의 종착점은 원칙적으로 서브미션이다. 그러므로 가드 상태에서는 조만간 스윕이나 즉석 서브미션을 시도해야 된다.

5 서브미션

Submission. 크게 관절기와 조르기로 나뉘는 공격기술. 가드에서도 탑에서도 쓸 수 있다. 주짓수의 아이콘이기도 하다. 경기 중 포지션에서 압도되다가도 이 거 한 방으로 역전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대회에 나오는 사람들은 죽을 힘을 다하기 때문에 기술이 제대로 걸리기 힘들고 이 경우 거는 쪽의 체력 소모가 더 심하다. 심지어는 상황이 역전되는 경우도 있다.
  1. 규정 제3장 제2조.
  2. 예시들 외에도 유효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3. 심지어 갈비뼈가 압력에 의해 박살날 수도 있다.
  4. 사이드 컨트롤 또는 노스 사우스 포지션을 3초간 유지.
  5. 많은 사람들이 백 포지션으로 여기고 있는 발등으로 깍지 낀 상태인 피겨 포는 백 포지션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공간만 벌리면 상대방이 돌거나 빠져나올 수 있어 전혀 위협적이지 않다는 것. 심지어는 상대방이 다리를 사용해서 교차된 발등에 앵클락을 걸 수 있다.
  6. 규정 제4장 제2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