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밴드

1 Big band

파일:Attachment/bigband.jpg
(↑ 신관웅 빅 밴드의 연주 장면)

재즈 중 열 명 이상의 인원이 모여 연주할 때의 합주 형태를 일컫는 단어로, 이외에 재즈 오케스트라, 재즈 앙상블, 재즈 밴드 등으로도 부른다.

1.1 역사

원래 뉴올리언스 지역에서 퍼지기 시작한 초기 재즈나 블루스 중에도 여러 명이서 그룹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꽤 여럿 있었지만, 대부분 악기 당 한 사람의 연주자를 기용하는 소규모 형태였다. 그러다가 1920년대 들어 여러 대의 관악기에 리듬을 연주하는 악기들을 더한 형태의 대중음악 밴드가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이들 밴드는 곧 왈츠 등을 연주하던 클래식 오케스트라 형태의 무도 악단들을 밀어내고 미국 대중음악계를 지배할 정도로 급성장했다.

하지만 이 때 생겨난 초기 밴드들은 빅 밴드와 편성은 비슷해도 재즈 음악에 포함시키기에는 어폐가 있었다. 이들의 음악은 대부분이 그저 재즈 '삘', 블루스 '삘'만 나는 것이었고 단원들도 대부분 악보만 보고 연주하는 데 익숙했기 때문에 즉흥연주 스킬 그런 거 없었다.

이렇게 탄생한 밴드의 음악을 기반으로 처음 '재즈 빅 밴드'라고 부를 만한 편성의 그룹이 나온 것은 1920년대 중반 무렵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움직임은 주류를 차지하고 있던 백인 밴드보다 상대적으로 인종차별에 시달리고 음반 취입이나 방송 출연 기회도 적었던 흑인 밴드에서 일어났는데, 초창기 빅 밴드를 이끈 대표적인 음악인으로 플레처 헨더슨이 있었다.

헨더슨이 이끈 빅 밴드는 비록 백인 밴드의 매너리즘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유능한 편곡자 돈 레드먼을 기용해 백인 밴드보다 더 꼼꼼한 구성의 편곡으로 된 곡들을 연주하면서 휘하 연주자들에게 짧지만 자유로운 솔로 연주의 기회를 부여했다. 이 때 헨더슨 밴드에 몸담고 있었던 루이 암스트롱이나 콜먼 호킨스도 그런 기회를 잘 이용해 부각되었고, 이후 재즈 계의 본좌로 성장했다.

금주법세계 대공황으로 인해 이들 빅 밴드의 수요는 날이 갈 수록 증가했는데, 물론 그 뒤에는 마피아 같은 조직폭력배들의 밀조 등 범죄 행위가 있었다. 마피아는 경찰들의 눈을 피해가며 고객들에게 술을 팔았고, 지하에 불법 클럽을 만들어 세심하게 손님들을 가려냈다. 손님들은 술을 마시는 것 외에 분위기를 돋굴 음악을 원했고, 빅 밴드는 여기에 딱 맞는 스타일의 음악을 연주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피아니스트 듀크 엘링턴이 이끌던 코튼 클럽의 전속 악단은 음악적으로도 상당히 주목받는 유명 밴드가 되었고, 엘링턴의 빅 밴드는 이국적인 향취를 내는 독특한 '정글 사운드'를 선보이거나 유능한 솔로 연주자를 끊임없이 영입하는 등 밴드 음악의 통일성과 재즈의 자유로움을 적절히 융합시켜 재즈 역사에 큰 발자국을 남겼다.

엘링턴 외에도 수많은 흑인 뮤지션들이 빅 밴드를 이끌었는데, 1933년 금주법이 폐지되면서 음주가무가 함께 하는 이 오락거리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드러머 칙 웹, 피아니스트 얼 하인즈와 루이스 러셀, 알토색소포니스트 지미 런스퍼드 등이 자신의 빅 밴드를 이끌고 인기몰이를 했고, 백인 재즈 뮤지션들인 클라리네티스트 베니 굿맨과 아티 쇼, 우디 허먼, 색소포니스트 지미 도시, 트럼페터 해리 제임스, 트롬보니스트 글렌 밀러와 토미 도시, 잭 티가든, 보컬리스트 밥 크로스비 등도 이에 질세라 자신들의 빅 밴드를 이끌며 명성을 얻었다.

스윙(swing)이라는 단어도 이 빅 밴드 음악의 창궐과 함께 등장했고, 아예 1920~40년대의 빅 밴드 음악을 저 단어로 설명하기도 한다. 흔들린다는 뜻의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춤과도 뗄레야 뗄 수 없는 음악이었고, 현재 재즈 댄스라고 부르는 춤도 이 시대에서 기인한 것이다. 1930년대 중반에는 엘링턴과 쌍벽을 이루게 되는 피아니스트 카운트 베이시가 캔자스 시티에서 선배 피아니스트인 베니 모턴이 죽은 뒤 그가 이끌던 빅 밴드를 이어받았고, 베이시 밴드는 다른 빅 밴드보다 화려하고 강렬하지는 않았지만 절제된 가운데 정확하고 깔끔한 연주로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2차대전에 미국이 참전하고 수많은 음악인들이 자의든 타의든 징집되어 입대하게 되면서,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는 빅 밴드의 입지는 약화되기 시작했다. 또 인기에 연연해 매일 그 밥에 그 나물인 곡들을 연주하는 것에 싫증을 내는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재즈=댄스 음악이라는 도식에 반기를 든 비밥 뮤지션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빅 밴드의 유행은 점차 시들해져갔다.

물론 아직까지 스윙을 원하는 사람들의 수요는 있었고, 또 다채로운 편성을 이용해 상당히 전위적인 음악을 연주하며 빅 밴드의 또 다른 가능성을 실험한 스탄 켄튼과 보이드 래번, 클로드 손힐이라든가 세련된 편곡으로 허먼과 베이시 밴드의 음악에 변화를 준 편곡자 닐 헤프티 등이 죽어가던 빅 밴드의 생명력을 이어갔다. 1956년에 개최된 뉴포트 재즈 페스티벌에서는 엘링턴 밴드가 'Diminuendo and Crescendo in Blue'의 화려한 연주로 사람들을 뿅가죽게 하면서 자신들이 아직 한물 간 밴드가 아님을 어필했다.

또 클로드 손힐 밴드에서 재즈 편곡 경험을 쌓은 길 에반스도 모던 재즈의 영향력을 포용한 빅 밴드를 이끌었고, 트럼페터 마일스 데이비스를 솔리스트로 맞아들여 'Miles Ahead', 'Porgy and Bess', 'Sketches of Spain'이라는 걸작 연작 앨범을 만들어냈다. 베이시스트 찰스 밍거스는 아예 더블 빅 밴드라는 대편성 그룹을 상정해 두고 두 시간에 이르는 회심의 역작 'Epitaph'를 작곡하기도 했다.

1960~70년대에는 68운동과 신좌파의 득세에 힘입어 진부한 기존 재즈에 반기를 든 새로운 형태의 빅 밴드들이 등장했는데, 이들은 스페인 내전을 소재로 한 곡을 만들거나 체 게바라 등에게 바치는 음악을 연주하기도 했고, 거의 클래식 오케스트라에 버금가는 40~50명 규모의 대규모 편제와 다양한 악기 편성을 취해 더 급진적인 음악을 만들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프리 재즈의 실험 정신과 퓨전 재즈의 상업성에 반기를 든 '뉴 트래디셔널 재즈'혹은 '컨템퍼러리 재즈'가 등장했고, 이에 따라 2차대전 이전의 빅 밴드 음악을 리바이벌하거나 재평가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빅 밴드의 두 거장 엘링턴과 베이시가 타계한 뒤에도 그들이 이끌던 밴드는 후손 혹은 후계자들에 의해 계속 연주를 들려주고 있고, 이들에 의해 자극받아 새로운 빅 밴드도 창단되는 등 생명력은 여전한 상태다.

1.2 기본 편성

밴드마다 근소한 차이는 있지만, 대표적인 17인조 빅 밴드 편성은 다음과 같다.

보통 혼 섹션은 관람자 기준으로 무대 오른쪽에, 리듬 섹션은 왼쪽에 자리잡는다. 유명 밴드의 혼 섹션 연주자들 앞에는 밴드 마크나 이니셜을 디자인한 보면대 박스가 놓이는 경우가 많다.

이 편성을 바탕으로 연주곡이나 리더의 재량에 따라 다양한 악기들이 들어갈 수 있다. 길 에반스의 경우 혼 섹션에 플루트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등의 목관악기와 호른, 튜바 등의 금관악기를 추가 편성하기도 했고, 라틴 재즈를 연주하는 밴드의 경우 드러머 외에 다양한 라틴 타악기를 연주하는 퍼커셔니스트를 별도로 두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 트럼페터에게 플뤼겔호른이나 코넷 등을 불게 하거나, 트롬본을 슬라이드 트롬본이 아닌 밸브 트롬본으로 편성하거나, 기타 대신 밴조를 넣거나, 아코디언이나 신디사이저 등을 추가 편성하거나, 바이올린비올라, 첼로 등의 현악 그룹을 더하는 등 바리에이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밴드 통솔은 별도의 지휘자가 하기도 하지만, 악기를 연주하는 리더의 경우 밴드도 이끌면서 솔로 연주도 하는 형태로 무대에 서기도 한다. 그리고 조직적으로 연주하는 음악이기 때문에 반드시 역량 있는 편곡자가 필요하다. 빅 밴드 편곡자는 밴드 전체가 연주하는 코러스와 밴드 멤버들이 연주하는 솔로 사이의 균형을 맞추고 악기의 음색이나 특색에 따른 솔로 배분에도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대개 작곡을 어느 정도 배우거나 전공한 이들이 많다.

클래식 오케스트라만큼의 대규모는 아니지만, 원체 화려한 음색의 관악기가 주가 되기 때문에 여전히 재즈 음악 중 연주 형태만으로도 뽀대가 나는 음악이라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 만한 밴드를 유지하려면 재정적인 부담과 역량 있는 연주자의 편입과 관리라는 쉽지 않은 의무를 져야 하기 때문에, 밴드 숫자는 20세기 중반의 리즈시절 만큼 많지는 않은 편이다.

이 때문에 독일 같은 나라에서는 ARD 산하의 지역별 방송국에서 빅 밴드를 관현악단, 합창단과 함께 방송국 산하 예술단으로 편성해 지원하기도 하고, 유명 공연장이나 클럽에서 전속으로 활동하거나 음대/음악원 같은 교육 기관의 후원을 받아 교수/강사진과 학생들으로 혼합 구성하는 형태의 밴드도 있다. 미군에서는 각 군 별 사령부나 야전군 같은 규모가 큰 부대 소속의 군악대에 빅 밴드를 정식으로 편성하는 경우가 많다.

2 스컬걸즈의 캐릭터

빅 밴드(스컬걸즈)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