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관생도

대한민국 국군신분
군인 (장병)
사병준사관장교
(병사/수병)부사관준사관위관급 장교영관급 장교장관급 장교
준군인
훈련병부사관후보생준사관후보생사관후보생사관생도군무원
대한민국 국군 장교 임관 과정
사관생도과정육군사관학교해군사관학교공군사관학교육군3사관학교국군간호사관학교
사관후보생과정학군사관학사사관단기간부사관군사학과
전문사관과정의무사관수의사관법무사관군종사관교수사관ADD 장교
기타과정기본병과장교특별임관현지임관사이버국방학과
폐지된 과정갑종장교육종장교제2사관학교군사영어학교호국군사관학교

1 개요

士官生徒. Cadet(육군/공군)/Midshipman(해군/해안경비대).

여러 장교 육성 과정 가운데 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3사관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말한다. 신분은 장교 중 최하위 계급인 소위준사관준위보다는 낮고 부사관 중 최고 계급인 선임원사보다는 높다.[1] 다만 교육 목적으로 상호간에 경례는 하지 않는다.

2014년 기준 사관생도의 품위유지비.

학년4학년3학년2학년1학년
월급406,000323,200291,900259,700

2 기수

2016년 기준으로 육사는 76기가 입교했고 해사는 74기, 공사는 68기가 입교했다. 해군이 창군과 사관학교 설립은 가장 빨랐으나, 육군사관학교에서 "한국전쟁" 때 훈련 기간을 대거 단축해 속성으로 사관생도를 빨리그리고 급뽑고 임관시켰기에 제일 기수 누적이 많다.[2]

연도육군사관학교해군사관학교공군사관학교
1945---
19461기1기-
1947불명불명-
1948불명불명-
194910기불명1기
1950불명불명2기
195111기불명3기
195212기불명4기
195313기11기5기
195414기12기6기
195515기13기7기
195616기14기8기
195717기15기9기
195818기16기10기
195919기17기11기
196020기18기12기
196121기19기13기
196222기20기14기
196323기21기15기
196424기22기16기
196525기23기17기
196626기24기18기
196727기25기19기
196828기26기20기
196929기27기21기
197030기28기22기
197131기29기23기
197232기30기24기
197333기31기25기
197434기32기26기
197535기33기27기
197636기34기28기
197737기35기29기
197838기36기30기
197939기37기31기
198040기38기32기
198141기39기33기
198242기40기34기
198343기41기35기
198444기42기36기
198545기43기37기
198646기44기38기
198747기45기39기
198848기46기40기
198949기47기41기
199050기48기42기
199151기49기43기
199252기50기44기
199353기51기45기
199454기52기46기
199555기53기47기
199656기54기48기
199757기55기49기
199858기56기50기
199959기57기51기
200060기58기52기
200161기59기53기
200262기60기54기
200363기61기55기
200464기62기56기
200565기63기57기
200666기64기58기
200767기65기59기
200868기66기60기
200969기67기61기
201070기68기62기
2011[3]71기69기63기
201272기70기64기
201373기71기65기
201474기72기66기

3 되는 법

한국인으로 나이는 입교일 기준으로 만 17세에서 21세여야 한다. 다만 3사관학교는 만 19세에서 25세까지 가능하다. 대학 3학년에 편입하는 구조인 3사관학교의 특성으로 보인다. 4년 동안 교육을 받고 졸업시 군사학사 학위와 생도본인 전공학사 학위를 받는다. 입학시험에 합격하면 1~2월 실시하는 가입교 기간에 5주 정도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3월에 정식 입교하게 된다. 갓 고등학교 나온 애들이 군사훈련 받는 거라 훈련 끝나고 입교식 때 엄청 운다. 특히나 고3으로 직행한 애들은 수능 끝나고 다른 애들이 2월에 수능 끝난 고3으로 졸업하고 노는 동안에 훈련받는 것 때문에 박탈감도 좀 들고. 사실 사관생도들은 사관학교 생활 내내 박탈감을 느끼는 일이 많다. 가입교 기간은 정식 학생 신분이 아니므로, 이 기간에 나가면 자퇴 처리되지 않는다. 며칠 가입교생으로 구르다가 상위권 대학 추가 합격했다는 부모님의 연락을 받고 미련없이 나가는 이들도 많다.

%B0%A1%C0%D4%B1%B3%C8%C6%B7%C34.jpg
공군사관학교의 가입교 기간 첫날[4] 뒷테이블에서 하정우급 먹방 근데 어떤 과정이든 다들 첫날은 이렇다. 예비군 빼고. 2005년 1월 가입교라니 아마 공사 57기로 보인다. 2012년 12월 1일에 대위 진급했을 사람들.

4 생활

힘들다, 피곤하다, 괴롭다. 하지만 말을 하지 못한다.불평은 많이 한다

공부야 어느 대학교 가도 빡세지만 생도들은 생도대를 구성하고 갓 입학한 신입들은 세 학년의 선배가 위에 있다. 사실상 학년장은 병들의 계급장이나 마찬가지다. 네 줄짜리 4학년이 병장, 한 줄짜리 1학년은 이등병. 대학 생활하면서 군대 생활도 병행하는 셈이다. 사관생도들의 생도 생활은 군경력자로 인정된다. 1학년 생활은 복종으로 압축할 수 있는데 일단 점호 때 제일 먼저 나와야 하고 직각식사, 직각보행(대각선으로 걸음 안 된다)에다가[5] 요새는 덜하지만 옛날엔 선배들의 개인 빨래와 청소도 해야 했다. 구타 문제도 심각했는데 군대 내에서 문제가 많이 터져 사회의 관심이 집중된 덕분에 요새는 많이 줄었다. 대한민국 공군은 1990년대부터 장교 상호 간 구타가 금지되었고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해병대포병등 군기 센 해병대 특정 병과들만 악습이 남아있고 해병보병등은 구타 없이 말로 한다. 순수 해군장교는 아예 구타 걱정 안해도 된다. 수병들이 아직도 배 안에서 구타에 시달리는것과 대조적인데 품위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대신 영관급이 털리는 것도 볼 수 있다. 초임장교들은 온갖 부대 내의 전설을 듣게 된다.

사관학교마다 차이가 있고 소속된 군 분위기를 따르는 경향도 있다. 공군사관학교의 경우 2000년대 초반부터 선배가 후배한테 얼차려를 주는 일이 어려워졌다. 반면에 해병대 자원이 있는 해군사관학교는 꽤 빡세고 육군사관학교는 2013년 들어 심각한 문제를 몇 건 터뜨렸고... 해사는 4학년 때 배 타고 원양을 가기 때문에 3학년이 사실상 왕 노릇을 한다. 국군의 날 행사할 때 다른 곳은 4학년까지 오는데 해사만 3학년 이하가 와서 다른 사관생도들보다 딸려서 후달린다.


일반 학교의 학생회장에 해당하는 자리는 연대장생도가 맡는다. 연대장생도를 맡은 사람들은 성적 우수자로 임관 후에도 동기회회장을 맡는 경우가 많다.

5 자퇴

파일:/image/021/2014/04/23/2014042301031723029001 b 59 20140423163307.jpg
사관학교는 일단 자퇴가 없으나 자퇴를 희망하는 경우 퇴학 형태로 내보낸다.[6] 2013년엔 육사 퇴교자가 45명으로 급증했다.

6 졸업

예전에는 졸업식에 임관식을 겸했으나 2011년부터 합동임관식을 거행하여 졸업식(학위수여식)을 하고 임관식을 또 한다.

2431e70c95deff37b4542f829334a8cefa80.jpg
육군사관학교의 70기 졸업식(2014년 2월 27일). 화랑대에서 열린다. 인원이 3개 사관학교 중에 가장 많다.

21303.jpg
해군사관학교의 졸업식. 해군 소속의 주요 수상함잠수함이 참관한다.[7]

PYH2014022709460006400_P2.jpg
공군사관학교의 62기 졸업식(2014년 2월 27일).

7 졸업 후에

졸업하면 임관한다. 임관식 때의 기분은 진짜 째진다. 다만 임관식 때 약혼한 사람들이 키스하는 거 보면... 임관 후에는 육군 3사관학교와 국군 간호사관학교를 제외하고 10년의 의무복무기간을 가지는 각군의 장기복무자원 장교로 분류된다.(복무 5년차에 부여하는 전역기회를 군에서 5년차에 무조건 전역시켜주어야 할 의무로 해석하면 곤란하다.) 육군 3사관학교와 국군 간호사관학교는 각각 6년의 의무복무기간을 갖는다. 장기복무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복무 선발을 희망한다면 신청해서 합격해야 한다. 공군 파일럿의 경우엔 15년이다. 원래는 10년이었는데 공사 46기(육사 54기/해사 52기에 해당)가 소령으로 대량 전역해버리는 바람에 늘어났다. 5년차에 나가면 대위 때 나가는 건데 생각보다 나가는 사람들이 꽤 있다. 그 후엔 특별한 일이 없는한 소령까지는 진급하며 육사는 중령까지도 무난히 간다. 대령부터는 확실히 어려워지는데 그래도 사관학교 출신이 가장 많고 육군은 임관구분이 다양해 비사관출신들이 제법 올라가지만 해군이나 공군에선 비사관출신들이 드물다. 장군, 제독은 더욱 그렇고.

2010년대 들어서는 5년까지 복무한 뒤 조기전역하는 사관학교 출신자들이 늘고 있다. 2015년 4월 27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안규백 의원실에 따르면, 2010~2014년까지 육해공군 사관학교 출신 장교의 5년차 조기 전역자 비율은 최초 임관 인원 대비 13%로 증가추세에 있다. 육군의 경우 2010년에는 4.2%, 2011년 8.8%, 2012년 7.7%, 2013년 9.7%, 2014년 14.6%를 기록했다. 해군·해병대는 2010년 11.4%, 2011년 20.1%, 2012년 25.8%[8], 2013년 19.6%, 2014년 19.2%로 가장 높은 조기 전역률을 나타냈다. 공군은 2010년 9%, 2011년 8.3%, 2012년 10.7%, 2013년 16.1%, 2014년 8.2%를 기록했다.

교수가 될 자원이나 군법무관, 군의관이 될 자원들은 위탁교육을 받는다. 2012년부터 3군 사관생도 가운데 성적 우수자 20명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10명씩 위탁교육을 받는다.

보통 영관까지 지내고 전역하면 전역 전에 직보반[9]에 들어가 교육을 받는다. 그냥 한 1년 정도 직업 교육 받는답시고 그냥 숨만 쉰다.

사관생도들은 결혼을 일찍 하는 편이다. 징병제로 병으로 입대한 사회인들과는 달리 취직 문제가 없고 군 생활과 대학 생활을 병행하기 때문에 늦어도 26세에는 직장 생활을 하는 셈이다. 사관생도 간에 약혼하는 일도 많은데 보통은 남자 선배와 여자 후배, 또는 동기간에 이뤄진다. 여자 선배와 남자 후배는 잘 없다. 사관생도들은 출신이나 직업적인 안정성을 내세워 나이 어린 여자 부사관을 꼬시는 일이 많다. 사실 얼굴 예쁜 여자 부사관들은 거의 젊은 남자 장교들이 노린다. 아예 얼굴 예쁜 애들은 각군 본부에서 사무원으로 쓰려고 임관하자마자 데려가 버리지만. 이는 여군들에게선 자주 일어나는 일이다. 부사관이 아니라 사관학교 나온 장교들도 마찬가지로 굴리는 일이 많다. 어쨌든 남자 장교와 여자 부사관의 결혼은 자주 있는 일이고 보통은 여자한테 전역하라고 한다. 드물지만 남자 부사관과 결혼한 여자 장교도 있다. 중사와 결혼한 대위 꼭 여군 부사관 말고도 여군 장교와 결혼하는 일도 자주 있다. 아니 거의 비등비등할 정도. 하지만... 제일 많은 건 그냥 민간인이랑 결혼하는 케이스다. 다만 민간인의 경우에는 직장이 있을 경우엔 주말부부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다. 군인 부부도 주말부부인 경우가 많다. 장교의 복무 특성상 한 지역에서 3-4년 있으면 옮겨야 하기 때문에 그렇다.

특히나 여자 장교가 민간인 남자와 결혼할 경우엔 남자 쪽에서 전역할 것을 요구하는 일이 많다. 남편은 예비역 병장인데 아내가 장교면 가오가 상해서 다만 요즘은 불황이 하도 장기화되고 사회의 구직률과 직장안정성이 매우 떨어진 덕분에 그냥 아내의 선택에 맡기거나 심지어는 전역하지 말고 사회보다 직업안정도가 큰 군에 남아있을 것을 남편이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거 좋은 건지 나쁜 건지...

대장까지 진급한다면 공천을 받아 정계에 진출하는 걸 꿈꿔볼 수도 있다. 합동참모의장을 했음 국방장관을 노려볼 만도 하다. 육사의 경우엔 기수당 적어도 2명 정도는 대장이 나오니까. 대령 정도 하면 민간 안보 관련 연구소에 연구원으로 들어가거나 국방 관련 정부기관에서 공무원이나 군무원으로 재취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금도 두둑한 편이다. 다만 영관 정도 되면 가족은 대도시에서 지내게 하고 본인은 외지의 부대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애들 어릴 땐 관사에서 살아도 교육 문제로 중고등학생 정도 되면 대도시로 보내기 때문에. 다만 안보 관련 구인 수요는 대단히 작기 때문에 대부분은 전역 후 연금 생활하면서 다른 직종으로 재취업을 하게 된다.


각설하고 일단 임관부터 하자..

8 학교별 사관생도

2010022601031302201002_b.jpg
육군사관학교 생도들.

2010050410881471.jpg
해군사관학교 생도들.

200902274046579.jpg
공군사관학교 생도들.

htm_201502251351330103011.jpg
국군간호사관학교 생도들.

NISI20130218_0007754285_web.jpg
육군3사관학교 생도들.

여기서 사관생도는 사관학교란 교육과정[10]의 피교육생을 말하는 것이지 모두가 같은 형태의 교육을 받는다는 뜻이 아니다.

9 민간인과 사관생도, 현역과 사관생도

위에도 설명되있듯이 사관생도는 기본적으로 학생신분이지만 엄연한 준군인신분이기 때문에 군법의 통제를 받는다. 또한 아직 간부가 아니어도 장병보다 더한 책임감이 요구됨으로 항상 조심하고 분쟁을 최대한 피하여야한다.

10 해외의 사관생도

10.1 미국


미국육군사관학교의 생도들.


애너폴리스의 미국해군사관학교 생도들. 졸업식 사진인데 검은 재킷은 해병대 임관자들이고 흰 재킷은 해군 임관자들이다.


미국공군사관학교 생도들. 얼굴은 합동군사대학에 지휘관 과정 교육 받으러 온 얼굴이다


해안경비대사관학교 생도들.


미국상선단사관학교 생도들. 이 사람들은 군인이 아니라 상선사관이 된다. 다만 해군 예비대 소위가 되어 전시에 장교로 소집될 수도 있다.

10.2 중국

10.3 영국

10.4 일본


방위대학교 학생들. 이들은 졸업 후에 각군 간부후보생학교에 가서 각각 육군화, 해군화, 공군화 훈련을 받는다.


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 정복에 탄띠를 찬게 미묘하게 거슬린다


해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 임관과 동시에 연습함대에 탑승하여 원양훈련을 하게 된다.


항공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

10.5 러시아

  1. 법체처-국가법령정보센터. (대통령령 제22269호, 2010년 7월 12일 타법개정, 시행 2010년 7월 12일) 제2조 1항 1호 “사관생도 및 사관후보생의 서열은 준사관 다음으로, 부사관후보생은 부사관 다음 순위로 한다.” 출처: http://www.law.go.kr/%EB%B2%95%EB%A0%B9/%EA%B5%B0%EC%9D%B8%EC%82%AC%EB%B2%95%20%EC%8B%9C%ED%96%89%EB%A0%B9
  2. 육사의 경우 11기부터 다시 정규 4년코스로 환원했는데, 이들은 속성으로 짧은 교육 기간만을 마친 선배 기수를 암암리어 얕잡아 보는 경향이 없지 않았다. 12.12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11기생인 전두환 등이 무능하다고 생각한 선배 기수들에 대한 우월감을 꼽는 이들도 많다.
  3. 천안함 피격사건연평도 포격 사태 등으로 지원율이 높아졌다.
  4. 출처: 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4&num=38466
  5. 이건 기훈때 몇주간만 한다. 그나마도 공사에서는 학부모들의 반발로 없앴다.....인줄 알았는데 공사가 여전히 직각식사를 시행하고있다...
  6. 이건 사관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라 군대 시스템 자체의 문제가 사관학교에 '그냥' 이식된 거일 가능성이 높다. 흔히 군인들이 '휴가 간다'라고 말하는 것도 부하가 휴가를 희망하면 지휘관이 휴가 명령을 내리는 시스템이고, 군병원 입원 역시 군병원 군의관의 진단에 따라 원소속대의 지휘관이 입원 명령을 내리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전역 역시 전역 명령인 건 다들 알고 계실 것이고. 군대는 지휘관이 부하의 운신을 책임져야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렇게 된 것. 이 관계가 사관학교에도 그냥 그대로 옮겨와서 생도가 자퇴를 희망하면 자퇴 명령 즉 퇴학으로 내보내는 시스템이 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
  7. 이때 동원된 함정 수병들은 정확한 위치에 배가 멈춰있을 수 있도록 닻줄을 계속 조정하는 작업 때문에 헬게이트가 열린다. 그리고 임관하는 소위들을 씹는다.
  8. 2007년에 임관한 해사 61기는 임관자 4명 중 1명 꼴로 5년하고 전역한 것이다.
  9. 직업보도교육. 군생활 10년 이상 하고 전역 혹은 퇴역하는 하사 이상의 군인에게 주어지는 재교육으로, 군의 인증을 받은 교육기관 등을 오가는 것으로 근무를 대체한다. 단, 교육 시간으로 정해진 기간에 딴데서 놀거나 하다 걸리면 징계 받는다. 직보 기간은 비록 사복을 입고 민간인들과 어울리지만 신분은 여전히 현역 군인이다.
  10. 민간과 구분되어 일정한 기간의 교육을 거쳐 학사 학위를 수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