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오륜

三綱五倫

세가지 강령와 다섯가지 인륜.

1 의미

말 뜻 그대로 유교에서 지켜야할 세가지 강령과 다섯가지 인륜을 말한다.

여기에서 삼강이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의미한다.

  • 군위신강(君爲臣綱):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되며,
  • 부위자강(父爲子綱): 아버지는 자식의 벼리가 되며,
  • 부위부강(夫爲婦綱): 지아비는 지어미의 벼리가 되어야 한다.

여기서 "벼리"는 ‘그물에 있어서 근본이 되는 굵은 줄을 말하는 것인데,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면 ‘법도(法度)’라고 풀이하거나, 책임자 등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륜은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의미한다.

  • 부자유친(父子有親):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
  •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
  • 부부유별(夫婦有別):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한다.
  • 장유유서(長幼有序):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한다.
  • 붕우유신(朋友有信):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2 유래

하지만, 이 개념이 정확히 어디서 시작되었는가에는 의견이 분분하다. 제자백가시절, 공자가 만들었다는 설이 있는가 하면, 한나라 대에 들어와서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다만 확실한 것이 있는데, 인간의 기본 도덕을 설명하는 오륜은 큰 변화가 없는 것에 비해,

삼강은 시대마다 문자 자체나, 해석이 조금씩 달라졌다.

예)

  • 부위자강(父爲子綱):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것이 근본이고,
  • 군위신강(君爲臣綱):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것이 근본이고,
  • 부위부강(夫爲婦綱):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것이 근본이다

즉, 그 당시 도덕의 기준(권력자의 입맛이라 볼 수도 있다.)에 맞게 '강령'으로써 삼강을 바꿨음을 알 수 있다.

3 현대사회에서의 비판

유가윤리로 통용되는 삼강오륜은 한대의 중앙집권제에 이용되면서 변질된 종적 복종윤리로서, 본래 유가의 윤리에서 크게 벗어나고 말았다는 견해가 이것이다. 정치적으로는 왕도주의, 사회적으로는 삼강오륜 사상을 토대로 하며 사대부 계층에 의한 유교적 가부장주의와 봉건적 전제군주 통치체제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정립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삼강오륜에 의한 상하 남녀 사이의 지나친 차별과 구속으로 유교의 자유와 평등을 간과하게 되었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간단히 정리하면, 양성평등, 개인존중 등의 현대사회에서 필수로 여겨지는 사상, 요소 등이 삼강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오륜이 비교적 기본적이고 포괄적인 도덕을 명시한 것에 비해, 삼강은 상명하복이 연상될 수 있으므로, 현대 개인주의와는 맞지 않는 것이다.

해석의 여지에 따라 오륜 역시 이러한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지만, 현대 유학자들의 재해석을 통해 기본윤리로써 한국사회에 자리잡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삼강오륜이 가지는 표면적인 의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유교를 비판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외국인유교를 가르쳐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