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기도

이 문서는 종교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가 다루는 종교, 종교인에 대한 내용은 읽는 이에 따라 민감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잘못된 요소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문서에 쓰여진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마십시오. 편집할 시에는 문화상대주의를 기반으로 객관적으로 작성하고, 논란이 될 수 있는 내용은 신중히 검토한 뒤 작성하십시오. 또한 문서의 사실에 관한 내용을 수정할 때에는 신뢰가 가능한 출처를 기입하시거나, 토론 과정을 거치신 뒤 하시고, 다른 종교를 비방하거나 비하하는 내용을 넣지 마십시오.

이 틀을 적용할 경우, 문서 최하단에 혹은 분류:종교의 하위 분류를 함께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1 개신교의 새벽기도

한국 개신교 교회에서 거의 매일[1] 행해지는 기도모임이며 명칭에서도 보여지듯이 대부분의 교회에서 새벽 5시경 드린다. 규모가 큰 교회 중에는 편의상 새벽 5시 및 6시, 2부로 나누어서 드리는 교회도 있다.

과거와 달리 현대 사회는 과거와는 생활패턴도 다르고 밤문화도 발달해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보통 자정이 넘어 잠들고 다음날 아침에 일어난다. 그러나 매일 새벽 5시경에 드리는 새벽기도에 참석하려면 새벽 4시~4시반에 기상해야 한다. 그 시간에 일어나려면 적어도 오후 11시 전에는 잠들어야 하지만 그렇게 해도 일어나는 것이 너무 힘들며 하루가 너무 길어져 낮동안 효율이 떨어지기 쉽다. 물론 일찍 잠들고 일찍 일어나는 어르신들의 수면패턴과는 어느정도 맞는다.

때문에 새벽기도에는 중장년층이 주로 참석하고 젊은 층은 소수가 참여한다. 젊은 개신교인들 대다수는 20년 이상 교회를 다녀도 새벽기도 참석횟수는 한 손에 다 꼽을 수 있는 경우가 널렸다. (...) 이는 보편적인 신도들의 현실이다. 마음은 새벽기도에 가고 싶은 신자들이라도 현실적인 이유로 참석하는 것이 쉽지 않기도 하다. 때문에 평일 저녁(밤) 기도모임을 추가로 만드는 교회들도 있다. 새벽에 꾸벅꾸벅 조느니 저녁에라도 진심으로 기도하자는 것.

잘 모르는 사람들은 "예수쟁이들은 새벽에도 통성기도를 하겠지?" 라고 지레짐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천만의 말씀이다. 막상 동네 교회의 새벽기도회를 가 보면 썰렁한 예배당에[2] 할머니들 열몇 분이 모여앉아서 졸음이 가득한 눈빛으로 꿈벅꿈벅 목사의 설교를 듣고 있을 뿐이다.(…) 설교 후에 각자 갖는 기도시간이라 해 봐야 대부분 조용히 묵상기도만 하다가 흩어진다. 사실 아침부터 목이 터져라 통성기도를 하는 게 현실적으로 잘 될 리도 없거니와(…) 정말로 새벽부터 통성기도를 한다면 주변 이웃들에게 엄청나게 어그로를 끌어서 지역 경찰들이 훨씬 많이 피곤해졌을 것이다. 물론 간혹 가다 그러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제발 이웃 주민들을 배려하면서 기도하자.

일부 사람들은 새벽기도를 신앙의 척도로 삼고 새벽기도에 참석하는 사람은 믿음이 좋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믿음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새벽기도는 매주 주일(일요일)에 드리는 예배와 달리 일종의 모임이며 자율성이 있다. 또한 개인마다 기도하고 싶은 날이나 시간, 장소가 다르다. 어떤 사람은 혼자 조용히 기도하는 것을 원할수도 있으며 어떤 사람은 부흥회에 나와 BGM을 깔고 통성으로 기도하는 분위기를 선호할 수도 있다. 기독교 자체가 애초에 기도를 몇시간, 전도를 몇명 이상 해야 복을 받고 구원을 받는, 행위에 의해 평가받는 종교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런 저런 잣대로 사람을 판단하는 행동 자체를 지양해야 한다.

기독교 서점들에 진열된 얇은 신앙책자들 중에는 아침 일찍 일어나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길러주는 방법으로 새벽기도를 권하는 것들도 있다. 실제로 아침형 인간이 화제가 될 무렵에 개신교 측에서도 새벽기도를 굉장히 홍보했었다. 물 들어올 때 노 저어야지

1.1 기원에 대한 논쟁

현대 한국 개신교는 시편의 한 구절인 "내가 새벽을 깨우리로다"와, 사복음서에 나오는 "예수께서 새벽 미명에 기도하러 올라가시니..." 같은 구절들을 새벽기도를 지지하는 성경적 근거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가톨릭이나 정교회의 성무일도 전통에서는 해뜨기 전에 일찍 일어나 독서기도나 혹은 아침기도(조과경)을 하는 것이 초대교회 시절부터 지금까지 천수백 년간 전통으로 내려왔다. 지금도 가톨릭이나 정교회 성직자/수도자들은 이 전통을 저마다의 방법에 따라 지킨다.

그러나 개신교계에서 가톨릭이나 정교회의 전통을 의도적으로 무시함을 감안하면, 적어도 한국 개신교계의 대대적인 새벽기도는 그리스도교 전통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게다가 성무일도는 새벽만이 아니라 정오, 일몰 때 등 하루 중 여러 번 정해진 시간에 기도하라고 강조하므로, 한국 개신교의 새벽기도와 차이가 있다. 성무일도 전통에서는 새벽기도와 함께 일몰 무렵에 하는 저녁기도에도 크나큰 의미를 부여하지만, 개신교계에서는 저녁기도에 대해서는 아무 말이 없으며, 외국 개신교에서도 한국 개신교처럼 새벽기도를 강조하지는 않는다.[3]

실제로 구한말 외국인 개신교 선교사들은 조선인 신자들이 새벽기도를 한다고 모이는 바람에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다고 투덜댄 기록이 남아 있다. 외국인 선교사들이 전해주지도 않은 것을 조선인 신자들은 행하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한국 개신교에는 외국 개신교에도 없는 <<새벽기도의 강조>>가 나타났을까?

과거 우리의 어머니들은 이른 새벽 우물에서 물 한그릇(정화수)을 떠놓고 건강이나 합격 등을 기원하는 기도를 올리곤 했듯이, 대한민국 고유의 새벽에 서낭당이나 우물가에서 치성 드리던 행위가 개신교적으로 변용된 것이라는 주장이 개신교계 내외로 상당히 널리 알려졌다. 인터넷상에서만이 아니라 논문이나 서적 등에서도 흔하게 인용하는 대표적인 주장이다.

이 주장에서는 특히 길선주吉善宙 목사(1869-1935)를 새벽기도를 시작하여 한국 개신교계에 널리 퍼트린 인물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긴다. 길 목사가 1897년에 개신교로 개종하기 전에는, 관우를 모시며 도교적인 수련을 하던 무속인이었기 때문이다. 길 목사가 자기가 수행하던 한국의 무속적/도교적인 새벽기도를 개종 이후에 신앙대상을 바꾸어 개신교계에 퍼트리고, 당시 조선 개신교인들도 이를 친숙하게 여겨 널리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옥성득 교수는 길선주 목사설을 거부하고 다른 주장을 펼쳤다. 조선시대에 서울의 성문은 오후 10시에 닫고(인경) 이튿날 오전 4시에 열었다(파루).[4] 인경 때는 보신각에서 28번, 파루 때는 33번 범종을 울렸다. 조선시대의 많은 사람들은 성문을 닫기 전에 잠이 들어, 성문을 여는 종소리에 맞추어 일어났다. 오전 4시 파루의 종소리에 맞춰 일어나서 예배당으로 가면 오전 5시. 즉, 현행 새벽기도 시간은 그냥 "구한말 신자들이 파루 종소리를 듣고 일어나자마자 옷 입고 예배당에 가서 예배를 본 것"이 규율이 됐다는 것이다.옥성득 교수의 기고문

옥 교수는 구한말 외국인 개신교 선교사들이 (길선주가 개종하기 이전인) 1892년에 이미 새벽기도회가 이미 있었음을 주된 근거로 삼고, 개신교 새벽기도의 양상이 전통적인 새벽 치성과 다름을 보조근거로 삼아 길선주 목사설을 반박하였다. 길선주 목사는 그냥 기존에 있던 새벽기도를 좀 더 널리 퍼트린 정도인 듯하다.

2 가톨릭의 새벽미사

한국의 가톨릭 본당에서는, 보통 오전 6시쯤에 미사가 있다. 이를 새벽미사라고 흔히 표현한다. 또한 새벽미사 역시도 엄연히 미사이므로, 개신교의 경우와는 달리 단순한 모임은 아니다.[5] 그러나 새벽에 나올 정도의 신자는 어느 종교나 노년층이 대부분이므로, 새벽미사 역시도 주로 할머니, 할아버지, 아줌마가 가장 많다. 간혹 10~20대 남자가 새벽미사에 꼬박꼬박 나오면 "자네 혹시 성소에 관심 있나?"라는 질문을 수녀나 신부에게 들을 정도. 이 순간에는 평소 인자하던 신부님과 수녀님의 얼굴에, 큐베가 겹쳐보인다 카더라 물론 현역 신부들도 사람인지라, 은근히 높은 확률로 신부의 떡진 머리와 초점을 잃은 눈을 구경할 수 있다(...)
수도원 소속 본당에서 새벽미사를 드릴 경우, 미사 후에 성무일도가 따라붙는다. 물론 미사만 끝났다면 신자가 퇴장하더라도 아무 문제가 없지만, 색다른 경험을 해보기 위해서 성무일도까지 하는 신자들이 은근히 많다.

3 불교의 새벽예불

이쪽은 개신교보다 더욱 극악한 새벽 3시에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송광사와 운문사의 새벽예불은 일반인들에게도 이미 유명하다. 새벽예불 장면을 묘사한 블로그 포스트.

자세한 내용 추가바람.

4 이슬람교의 파즈르

이슬람교에도 새벽 예배인 파즈르(Fajr)가 있다, 커피는 파즈르 전에 졸음을 쫓기 위해 마셨던 것으로부터 출발했다. 파즈르는 이슬람 율법에 따라 일출 전 '지평선에 희미한 빛줄기가 보일 때'로 규정하는데, 현대 이슬람계에서는 천문박명(天文薄明)을 파즈르 예배시간으로 본다. 정확히 천문박명 시간에 맞추어 파즈르 예배를 근행함이 가장 좋고 원칙이지만, 일출 전까지 미루는 것도 허용된다.

당연히 계절에 따라 파즈르 시간이 달라지는데, 2016년 서울 기준으로 하지 무렵의 파즈르 예배는 오전 3시 16분, 동지 무렵에는 오전 6시 16분으로 차이가 크다. 같은 해에 메카에서는 하지 무렵에 오전 4시 12분, 동지 무렵에 오전 5시 33분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
  1. 금요철야기도로 인해 토요일에는 하지 않는 교회도 있고, 평일에만 하거나, 주일에는 하지 않는 교회도 있다.
  2. 평일 낮 동안 아무도 들어갈 일이 없어서 썰렁한 것도 있겠지만, 시간이 꼭두새벽인지라 공기 자체가 다르다.
  3. 외국 개신교에서도 독실한 신자들이 개인적으로 새벽에 일어나 일찍 기도하는 경우는 있다. 하지만 한국 개신교에서처럼 교회 전체 차원에서 이를 강조하지는 않는다.
  4. 현행 한국의 표준시가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함을 고려하면, 오후 10시 반 - 오전 4시 반이 된다.
  5.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개신교의 새벽기도는 예배와는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