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00번대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간선버스지선버스마을버스광역버스순환버스심야버스
폐선 목록
간선지선마을맞춤광역순환
개편 전
0번대100번대200번대300번대400번대500번대
600번대700번대800번대900번대1000번대 이후맞춤버스
마을버스
한정면허 (특수 체계)
공항버스시티투어

1 개요

고급좌석버스로 신설되었고 일부는 심야좌석으로도 운영했다.
전 차량이 도시형 차량이었을 때는 주간에 좌석버스 요금을, 자정 이후 심야운행 시에는 고급/심야좌석 할증요금을 적용받았다.(고급좌석버스 사이에 소수 일반차량은 일반좌석요금 적용) 다만 903, 903-1번 같은 경우는 일반좌석 차량과 고급좌석 차량이 혼합으로 다녔는데도 불구하고 주간에는 좌석버스 요금을, 심야시간에는 고급/심야좌석 할증요금을 받았다. 2002년 서울승합 사기좌석 959, 1007번은 제외 2004년 대개편으로 폐지되었다.

2 901 (대원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01.jpg
출처
운행구간 : 남양주(호평동) - 호평동사무소 - 신신상사 - 진주아파트 - 농협앞 - 평내동사무소 - 평내파출소 - 남양주시청 - 금곡동종점 - 사릉입구 - 금곡역 - 야구장 - 진안삼거리 - 동일자동차학원 - 예비군훈련장 - 양정동 - 남양주경찰서 - 주막거리 - 양정초교 - 도농역 - 도농주유소 - 빙그레 - 왕숙교 - 돌다리 - 중앙예식장 - 교문사거리 - 딸기원 - 남일주유소 - 금란교회 - 상봉터미널 - 상봉역 - 중화동 - 위생병원 - 청량리로타리 → 경동시장 → 제기1동사무소 → 청량리시장 → 청량리역 → 이하 역순

서울시 1기 심야좌석 정책의 일환으로, 1992년 12월 14일에 신설된 노선이다.

이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경유 잠실역 방향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때부터 아웃서울 노선이 되었다. 서울시내버스였음에도, 서울시 정류장은 잠실역 딱 하나 뿐이었다. 개편 이후 9202번으로 살아남았으나, 2009년 6월에 남양주 버스 1200으로 변경되었다.

3 902 (대원여객)

출처
운행구간(본선) : 양주(덕정리) - 덕정역 - 주공단지 - 덕정고 - 회암2리 - 율정리 - 삼숭리 - 나래A - TS푸른솔A - 덕고개 - 광사리 - 양주시청 - 주내역 - 의정부북부역 - 의정부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성황당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삼거리역 - 길음역 - 성신여대입구역 - 한성대입구역 → 성대입구 → 창경궁 → 동대문 → 종로5가 → 대학로 → 한성대입구역 → 이후 역순

운행구간(봉양동 경유) : 양주(덕정리) - 덕정사거리 - 사귀다리 - 디딤돌마을 - 다복슈퍼 - 봉양교회 - 봉양사거리 - 가마솥슈퍼 - 약수골 - 공수골 - 회암동종점 - 회암1동 - 관사앞 - 율정삼거리 - 천보초교 - 율정동 - 귀율동 - 새마을목장 - 풀무원 - 삼숭삼거리 - 삼숭2동 - 상가대 - 나루터 - 자동차학원 - 느티나무 - 문화동산 - 회만동 - 중말낚시터 - 로얄골프장 - 만송동 - 모리골 - 골프장입구 - 녹양교 - 이후 본선과 동일

1992년 12월 14일에 '의정부 - 종로5가' 구간을 운행하던 712번 좌석버스에서 분리신설된 심야좌석버스 노선이다. 712번과 달리 덕정리(현 덕정동)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개편 직전인 2004년 1월 7일에 도시형으로 전환했다. 이 시기가 때마침 대원여객의 노후차량 대차시기였던지라, 기존 12-1번, 12-5번에서 쓰던 1998~2000년식 차량을 넘겨받고, 대신 기존 운행차량인 하이파워와 로얄시티를 신차로 대차해서 12-1번, 12-5번에 투입했다.

2004년 개편 때 노선변경 없이 광역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9101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08 문서를 참조.

종로에서 유일하게 의정부를 이어주는 노선인 지라, 그 때나 지금이나 수요가 엄청났던 노선.
초기에는 모든 차량을 BS106 하이파워 표준형 좌석 차량으로 운행했다가, BS106 극초기형 로얄시티로 대체하기도 했었다.

6시부터 21시까지 매 시간 정각마다(8시, 10시, 16시, 18시, 20시 제외) 봉양동 지선을 운행하였다. 이 노선은 108번으로 운행하는 현재에도 운행 중이다.

4 902-1 (대원여객)

운행구간 : 양주(덕정리) - 덕정역 - 주공단지 - 덕정사거리 - 덕계동 - 양주시청 - 주내역 - 의정부북부역 - 의정부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성황당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역 - 길음역 - 미아삼거리역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입구 - 혜화역(대학로) - 한국방송통신대 → 이화동 → 동대문 이대병원 → 종로5가역(회차) → 효제초등학교 → 한국방송통신대 이 후 역순

1998년 5월 신설. 2001년경 도시형버스 13-1번으로 형간전환 후 대지극장 회차로 단축하였다.
2004년 대개편 이후 내용은 양주 버스 48 참조.

5 902-2 (대원여객)

운행구간 : 양주(덕정리) - 덕정주공 4.5단지 - 옥정동 - T.S푸른솔아파트(고주내) - 광사동 - 양주시청 - 주내역 - 가능동 - 의정부북부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역 - 길음역 - 미아삼거리역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성교.한성대입구 - 혜화역(대학로) - 한국방송통신대 → 이화동 → 동대문 이대병원 → 종로5가역(회차) → 효제초등학교 → 한국방송통신대

2002년 4월 중순에 도시형 13-3번으로 형간전환 되었다. 2004년 대개편 이후 내용은 양주 버스 118 참조.

6 902-3 (대원여객)

운행구간 : 양주(덕정리) - 덕정사거리 - 덕계동 - 양주시청 - 주내역 (현.양주역)- 가능동 - 의정부북부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역 - 길음역 - 미아삼거리역 - 길음역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입구 - 혜화역 - 한국방송통신대 → 이화동 → 충신동 → 동대문(이화여대병원) → 종로5가역 → 효제초등학교 → 방송통신대 이 후 역순..

2002년 1월에 신설되었다.

2002년 3월에 도시형버스로 전환된 후에도 902-3번을 달고 다니다가, 번호가 13-2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 문서에서 13-2번 항목을 참조.

7 903 (동해운수, 범양여객 → 동해운수)

위 차량은 개편 후 771번에서 운행하다가 대차되었다. 출처

1992년에 신설되었다. 이 때는 동해운수와 범양여객이 공동 배차로 운행했으며, 기점이 백석동이었다.

1996년에 '대화역 - 백석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당시 중앙로(당시 398번 지방도)는 티스푼 공사 중이었기 때문에 지금처럼 일직선으로 쭉 가지 않고 현 706번처럼 돌아서 갔다. 사실 706번이 중앙로가 개통한 후에도 노선을 펴지 않은 거지만. 참고로, 중앙로는 1999년에 개통했다.

1998년 무렵부터 동해운수가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대신 903번처럼 공동 배차로 운행하던 914번에서 철수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9708번으로 번호만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7 문서를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7727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8 903-1 (신촌교통)

1999년 7월 12일에 신설되었으며, 903번처럼 심야좌석버스였다. 이미 신촌교통은 탄현에서 신촌으로 가는 921번을 운행하고 있었지만 명성운수의 견제가 심했던지라 굴곡을 조금 줄여서 만들었다.

다른 노선에 비해 일산신도시 구간의 선형이 좋아 소요시간 면에서 다른 노선을 앞섰지만, 대체 노선이 많았고 심야좌석버스라는 특성 상 단거리 수요를 잡기는 어려웠다. 출퇴근시간대에 심야에만 수요가 있던 노선.

심야좌석버스로 다니던 시절에는 전중비형 BH115H로 운행했다.

2001년 3월 초에 921번에서 철수하면서 일산에 남아 있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역시 심야좌석버스로는 어려웠는지 2002년 4월 12일에 도시형버스로 전환했으며, 항공대 앞 큰도로에서 구도로 경유로 변경했다. 관련 게시물 그리고 저가 정책을 내면서 본격적으로 승객이 늘기 시작했다.

이 때 다른 일산신도시 좌석버스들처럼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으로 교체했는데, 특이하게도 일부 차량은 로얄미디 NGV 좌석버스로 교체했다. 로얄시티도 아니고 로얄미디라니

2003년 4월 경에는 8353호 차량이 신호위반을 하던 마을버스를 피하다가 능곡지하차도 아래로 추락하는 큰 사고를 냈다. 차량은 당연히 폐차 처리 되었으며[1], 이 사고가 신촌교통이 현재 친절과 서행운전 이미지로 바꾸게 된 계기가 되었다. 명신성은 이후로도 날아다녔다.

2004년 버스체계 개편을 앞두고 부도 위기가 찾아왔다. 심야버스 운행도 중단했고, 임대료가 밀렸는지 탄현동차고지도 사용하지 못하고 일신자동차학원 앞에 차량을 세워놨을 정도. 이 때 일부 차량들과 8353호 면허를 김포교통에 매각했다. 현재 8353호는 6712번에 운행 중인 저상버스가 사용하고 있다.

2004년 7월 1일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7727번으로 바꾸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727 문서를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7727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9 905 (세풍운수, 신인운수) (★)

부천 버스 83 참조.

10 906 (동성교통)

출처
1992년 12월 14일, 심야좌석이 처음 생겼을 때 신설된 노선이다. 서울 버스 9403 참조.

11 907 (신성교통 → 제일여객)

출처
운행구간 : 다율리 - 월드메르디앙 - 현대아파트 - 운정삼거리 - 송산동 - 월마트 - 농수산물센터 - 장성중학교 - 쌍용/삼익아파트 - 태영프라자 - 정발산역/일산구청 - 강촌마을 - 일산병원 - 백석역 - 대곡역 - 화정역 - 덕양구청 - 원당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독립문 → 경찰청 → 서울역 → 시청앞 → 한국통신/교보문고 → 적선동 → 이하 역순

서울시 시내버스 중 노선길이로는 최상위권이었던 노선. 구간요금도 당시 '교하 - 서울역'이 1300원으로 최상위권이었다. 물론 광탄 - 서울역의 158-1보단 덜했다. 향양리 지선은 1600원이었으니 말 다했다

1993년에 신설된 심야좌석버스 노선으로, 당시에는 월마트 일산점(현 이마트 덕이점)이 기점이었다.

일산선이 개통하기 전에는 총 54대로 운행했고, 차종도 RB520이나 에어로시티 등 다양했다. 수요도 매우 많았는데,
3분 간격 = 만석 혹은 입석
4분 간격 = 만차 흔히들 말하는 콩나물 시루
5분 간격 = 무정차 통과라는 공식을 세웠다.

일산선이 개통하면서 직격탄을 맞고 몰락했다가 2001년 2월 초에 전국 최초의 심야 도시형버스라는 타이틀을 달고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번뜩번뜩한 슈퍼 에어로시티와 함께

2002년 4월에 노선이 제일여객으로 이관되었다.

2002년 10월에 CNG버스로 교체되었고,[2] 교하신도시로 연장했다. 이 때 왕복 운행거리가 89.9km로 늘어나면서 서울시 최장거리 노선이 되었다.

2003년 8월에 907-1번을 분리신설하면서 7대가 차출되었다. 907-1번은 907번과 달리 중앙로를 쭉 따라 가면서 대화역과 마두역을 거쳐 갔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광역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9711번으로 바뀌었다.[3] 당시 902번과 더불어서 도시형버스 노선이 왜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는지 알 수 없는 사례다. 이 때문에 기존 가스차량은 경기신성(90, 150, 773)과 자사 소속 다른 노선으로 보내버리고 거기서 다니던 좌석버스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6 문서를 참조.

12 907-1 (제일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07-1.jpg
출처
운행구간 : 파주(다율리) - 월드메르디앙 - 현대아파트 - 운정삼거리 - 송산동 - 월마트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주엽역 - 정발산역/일산구청 - 마두역/뉴코아/고양지원, 고양지청 - 백석역 - 대곡역 - 화정역 - 덕양구청 - 원당 - 구파발 - 불광동 - 홍제역 - 독립문 → 경찰청 → 서울역 → 시청 → 한국통신, 교보문고 → 적선동 → 이하 역순

2003년 8월에 907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차량은 당시 인가대수가 22대였던 907번에서 7대를 가지고 왔다. 9701번의 전신노선인 72-2번을 이기려고 신설했지만, 적은 인가대수로 인해 참패하였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광역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9712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12월에 9711번이 간선버스로 전환될 때 같이 전환되면서 번호도 707번으로 바뀌었다.

706번과 거의 대부분 동일했으나 일산신도시에서 706번과 달리 중앙로 직통(대화역, 주엽역, 마두역 경유)이었다. 하지만 수요가 부족했던 데다 배차간격마저 엉망진창이어서 2006년 12월 1일에 706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쓰고 보니 유독 이 회사는 노선을 분리하면, 다시 형님 품으로 돌아가는 일이 잦다. 158-5번도 그렇고.

13 908 (우신버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08.jpg
출처
운행구간 : 군포공영차고지 - 도장중 - 산본공고 - 산본2동주민센터 - 금정역 - 명학역 - 서안양우체국 - 비산사거리 - 안양종합운동장 - 관양동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과천성당 - 관문사거리 - 남태령역 - 사당역 - 이수역 - 고속터미널역 - 강남성모병원

원래는 군포산본에서 뉴코아아울렛으로 가던 심야좌석버스였으나(심야좌석 이전에는 90-1번 좌석버스), 2003년 6월 2일부로 일반 도시형버스로 전환하였고, 회차지점도 서울성모병원으로 변경했다. 우신버스 공지사항

2003년 6월 24일에 군포공영차고지에 입주하게 되면서 기점이 변경되었으며, 산본4단지[4]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우신버스 공지사항

대개편 때 4425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고, 이후 541번으로 변경되었다.

골라 타는 재미가 있다 카더라

14 908-1 (우신버스) (★)

운행구간 : 산본4단지 - 금당터널 - 당동지구 - 군포역 - 금정역 - 비산동 - 과천 - 사당역 - 반포본동 - 고속터미널역

당동지구와 군포역을 경유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908번과 동일한 노선이었다. 908번에서 차량 절반 가량을 차출해서 만들었지만, 얼마 못 가 다시 합쳐졌다.

15 909 (대성운수 → 동성교통)

출처
운행구간 : 수지벽산아파트 - 무지개마을 - 하얀마을 - 미금초교 - 까치마을 - 한국가스토지개발공사 - 계원예고 - 정든마을(우성아파트) - 한솔5단지 - 내정중 - 양지마을 - 샛별마을 - 효자촌 - 서현중 - 연수원 - 이매촌한신아파트 - 금강동부코오롱아파트 - 이매촌청구진흥아파트 - 동신삼성아파트 - 아름마을 - 경향아파트 - 차병원 - 장미마을 - 여수동사거리 - 동아다리 - 시흥동사무소 - 샘마을 - 내곡동 - 탑성마을 - 언남초교 - 양재동사무소 - 언남고교 - 양재역 - 영동중학교 - 역삼동 - 강남역 - 신사역 - 압구정역

본디 강남역까지만 운행했던 노선이었으나, 동성교통에서 인수한 후 압구정으로 연장되었다.
개편 후 서울 버스 9405번으로 재편했으나 얼마 못 가, 9401번과 같은 경로로 변경한 후 흡수되었다.

한때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를 경유해 광화문까지 연장하는 초강수를 뒀지만, 다른 업체의 반발로 인해 얼마 못 가 무산되었다.관련 게시물

16 910 (대성운수 → 남성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10.jpg
출처
운행구간 : 성남(분당 구미동) - 미금역 - 한국토지/가스공사 - 푸른마을 - 효자촌 - 서현역 - 차병원 - 내곡 고속화도로 - 샘마을 - 양재역 - 강남역

739-1번으로 운행하다가 심야좌석 910으로 변경. 초기엔 신사역, 한남동, 약수동, 장충체육관 경유 동대문운동장까지 운행. 이후 강남역 - 동대문운동장 구간 단축.버스 개편 후 9406번으로 재편했으나 2005년 7월에 폐선.

17 911 (신성교통) (★)

운행구간 : 일산 덕이동 - 일산시장 - 애니골입구 - 식사동 - 고양시청 - 원당역 - 삼송역 - 구파발 - 연신내 - 불광동 - 녹번역 - 독립문 - 서대문 - 서울역 - 시청앞 - 광화문

1997년에 도시형 158번과 통합되었다.

18 912 (신성교통)

서울 버스 9709 참조.

19 913 (신장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13.jpg
뒤에 있는 BS105 차량이 913번이다. 앞에 있는 59번은 이후 심야좌석이 도입되면서 959번으로 노선번호 변경(출처 : 서울교통연감)
운행구간 : 동부주유소(덕보교오거리) - 신장사거리 - 하남전화국 - 덕풍2동 - 덕풍파출소 - 방아다리 - 공영사 - 황산 - 길동사거리 - 천호동 - 어린이대공원(후문) - 용마초교 - 군자교 - 장안평 - 신답역 - 동대문구청 - 동대문 → 청계5가 → 종로5가 → 종로6가 → 동대문 → 이하 역순

2001년 9월 회사 부도로 폐선. 동부주유소 - 덕풍파출소 구간은 서울승합 1007번 적색노선으로 넘어갔다.

20 914 (동해운수, 범양여객 → 범양여객 → 선진여객 →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14.jpg
출처

1994년 11월 21일에 심야좌석버스로 신설되었다. 이 때는 동해운수와 범양여객이 공동 배차로 운행했다.

이후 동해운수가 철수했고, 범양여객은 사명을 선진여객으로 바꾸었다.

1998년 8월 28일에 914-1번을 분리했다.

2000년 1월 경에 섬말다리와 호수로를 잇는 연결도로가 완공되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 - 일산병원'이 백석역 경유로 바뀌었다.

2000년 5월 경에 선진운수가 선진여객을 합병하면서 운수업체가 선진운수로 바뀌었다.

2002년 12월 6일에 '가좌동 - 대화동' 구간이 연장되었다.

2004년 3월 15일에 문촌초등학교, 유화프라자, 강선초교 구간을 주엽역 직통으로 바꾸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9707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9707 문서를 참조.

2000년대 초까지 운행했던 차량 중에 알루미늄 창틀이 달린 전문형 BS106 차량(5693호)이 있었다. 일반 시내버스에서는 보기 힘든 선반에 TV, 안전벨트 등 시내버스에서는 보기 드문 장비들이 많았으며, BS106으로 넘어온 직후의 차량이라 딱 말 그대로 BS105에서 전장만 늘리고 엔진도 BS105에 달리던 D1146 엔진이었다. 선진운수가 자체적으로 출고한 것이 아닌 다른 곳에서 가지고 온 중고차였는데, 대전 출신이라는 둥[5] 자가용 출신이라는 둥[6] 여러 가설이 있었으나 진실이 드러나지 않은 채 대차되어 사라져버렸다. 그리고 면허는 말소.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9707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21 914-1 (선진여객 → 선진운수) (★)

운행구간 : 탄현진로아파트 - 경남아파트 - 일산동중학교 - 황룡초등학교 - 홀트 - 중산사거리 - 중산근린공원 - 중산마을입구 - 신일/발산중학교 - 정발산역 - 마두역 - 강촌마을 - 장항나들목 - 당산역 - 영등포시장역 - 영등포역

선진운수의 사상 최악의 실수이자, 후에 명성운수83번을 신설하게 된 계기.

1998년 8월 28일에 914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일산신도시 구간이 순환로 위주였던 명성운수 87-1번과 공동운행하였다. 당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탄현진로아파트 - 경남아파트 - 부영아파트 - 한신아파트 - 현대아파트 - 홀트 - 일신자동차학원 - 중산사거리 - 삼성아파트 - 동신아파트 - 중산마을입구 - 고봉로 - 일산경찰서 - 마두역 - 이마트 - 강촌마을 - 법원지하차도 - 장항IC - 자유로 - 강변북로 - 당산역 - 영등포시장역 - 영등포역

탄현2지구에 입주가 시작되면서 2001년 1월에 노선이 살짝 바뀌었다.

2001년 5월 1일에 폐선되었다.

폐선 직전까지 BS105를 마지막으로 운행했던 노선이다. 당시 차량번호는 서울 74사 5754였고, 폐선 후 슈퍼 에어로 시티로 대차되어 개편 전까지 806번(현 7720번)에서 운행하였다. 2004년 개편 후에는 752번에서 운행하다가 여러 노선으로 이동한 후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2015년 현재 753번에서 운행 중에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9707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22 915 (동해운수)

출처

748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다.

일산신도시 조성으로 원당 - 광화문(적색), 일산신도시 - 광화문(청색)으로 분리운행했으며 이후 1994년에 심야좌석이 생기면서 748번 적색노선은 915번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개편을 거치면서 9713번 → 771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71 문서를 참조.

23 915-1 (동해운수)

출처

748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다.

일산신도시 조성으로 원당 - 광화문(적색), 일산신도시 - 광화문(청색)으로 분리운행했으며 이후 1994년에 심야좌석이 생기면서 748번 청색노선은 915-1번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개편을 거치면서 9706 → 700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0 문서를 참조.

24 916 (남성교통)

출처
운행구간 : 성남시(남한산성입구) - 세곡동 - 양재역 - 강남역 - 고속터미널 - 반포동 - 흑석동 - 노량진 - 대방동 - 영등포

서울 버스 462번 참조.

25 917 (대성운수)

출처
본래는 성남시 - 동대문운동장 구간을 운행하던 739번 좌석버스였다가 고급(심야)좌석버스로 개편되었다. 2000년 5월경에 혜화동 수요를 위해 연장했다. 수 년 간 상습정체를 겪다가 이후 동대문 - 혜화동 구간을 다시 단축했다.
개편 이후는 서울 버스 407 참고.

참고로 안양시 면허의 1917번 버스가 고급좌석으로 운영되었는데, 위 917번과 버스 디자인(고급좌석)이 같았기 때문에 1917번이라는 번호를 받았다.[7] 버스개편 후 917번이 없어지면서 안양시 면허 버스는 안양 버스 917로 변경.

26 917-1 (대성운수) (★)

917번의 지선격 노선으로 다른 대성운수 노선들이 단대쇼핑 앞을 지나가는 것과 달리 오복슈퍼 앞을 지나간다는 것과 강남역까지만 운행한다는 것 빼곤 차이가 없었다. 2000년경에 폐선.

27 918 (우신버스)

출처
구 좌석 90번으로, 심야좌석 정책이 생기면서 이 번호가 되었다. 이후 개편 때 광역버스 9504번으로 전환했다가, 2005년 7월에 간선버스 540번으로 형간전환했다. 서울 버스 540 참조.

28 921 (신촌교통) (★)

운행구간 : 탄현동(일신자동차학원) - 홀트 - 탄현5단지 - 현산초등학교 - 일신자동차학원 - 중산사거리 - 중산중학교 - 중산마을입구 - 왕국회관 - 마두1동사무소 - 이마트 - 백신중학교 - 백석역 - 화정역 - 능곡병원 - 능곡전화국 - 행주산성입구 - 자유로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서강대 → 신촌로터리 → 이하 역순

일산신도시 외곽택지지구인 탄현.중산지구 개발과 함께 신설했다. 본래는 771번이었으나, 서울시 심야좌석 정책에 따라 번호가 변경되었다.

이후 명성운수가 참여하게 되었지만, 명성운수의 견제가 심해 2001년 3월 초부터 명성운수가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고, 기존 면허는 모두 말소되었다. 밥상은 신촌교통이 차려놓고 그 밥을 모두 먹어버리고 배만 채우는 명성운수 이후 내용은 고양 버스 921 문서를 참고.

29 922 (신성교통)

DSCF6270.jpg
출처

출처

  • 운행구간 : 운행구간 : 문산시외버스터미널 - 문산역 - 봉암리 - 파주역 - 월롱역 - PX마을 - 봉일천사거리 - 내유동 - 벽제주유소삼거리 - 관산동 - 삼송역 - 구파발역 - 박석고개 - 연신내역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울역사박물관 → 종로1가 → 해운센터.롯데영프라자 → 숭례문 → 서대문경찰서 → 영천시장 → 이후 역순

문산과 서울역, 미도파(명동롯데)를 잇던 노선이다. 1998년 문산침수 때 포착된 버스가 이 버스이며, 봉일천 구도로에서 신도로 변경 이외는 큰 변경이 없었다.

2004년 개편 때 9710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5 문서를 참조.

30 933 (삼선버스) (★)

운행구간 : 명일동 - 강동역 - 천호역 - 올림픽회관 - 성내역 - 잠실역 - 종합운동장 - 삼성역 - 강남구청 - 영동사거리 - 고속터미널 - 흑석동 - 노량진 - 대방역 - 영등포역/시장

중부운수 64번과 유사한 노선이었으나, 2000년 8월 이후 7호선 강남구간 개통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폐선되었다.

31 959 (서울승합)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59.jpg
출처
운행구간 : 상일동역 - 고덕2단지 - 고덕도서관 - 한양아파트 - 주공9단지 - 명일여고 - 명일우체국 - 명일역 - 강동아파트 - 신암중 - 암사동 - 천호동공원 - 천호역 - 광나루역 - 어린이대공원후문 - 용마초교 - 군자교 - 장한평역 - 동대문구청 - 신설동 - 숭인동 - 동대문 - 종로1~6가 - 광화문 - 경향신문사 - 씨티은행앞

고덕동에서 천호대로를 거쳐 종로, 서대문을 잇는 노선으로 본래 59번 좌석버스였다. 2004년에 폐선되어, 차량은 340번, 3412번 등으로 넘어가고 현재는 천호역 이후로 370번, 9301번 등이 비슷하게 다니고 있다.

서울시 시내버스 중 RB520이 가장 마지막까지 활약했던 노선이자,(~2001년) 대표적인 사기좌석 노선 중 하나였다.

32 960 (흥안운수)

출처
운행구간 : 노원교차고지(현 도심공항리무진 터미널) - 수락산역 - 노원역 - 동1로 - 중화역 - 동2로 - 화양사거리 - 영동대교 - 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 - 논현 역(유턴하여 회차)

1997년 12월 1일에 고급좌석버스로 신설되었다. 운행 초기에는 1001번 직행좌석 → 10번 좌석에 쓰던 BH115H 차량이 투입되었고, 당고개역 근처 흥안운수 차고지가 기종점이었다. BH115H 차량으로 영신약국 앞 좁은 길을 경유했던 점이 인상적이었던 노선. 후에 노원교차고지로 기종점이 변경되면서 일부 구간이 변경되었다.

대개편 때 서울 버스 146으로 번호가 바뀌고, 강남대로에 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면서 논현역 유턴이 불가하게 됨에 따라 강남역 → 진흥아파트 → 서초동 삼호아파트 → 교보타워사거리 → 강남역 → 이후 역순으로 변경되었다.

이전 문서로
(800번대)
다음 문서로
(1000번대 이후)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새로 차량을 구매해서 기존 면허를 부여하는 게 보통이지만, 그냥 면허만 유지시켰다.
  2. 우선 동글이램프 차량이 먼저 도입되었고, 2주 후 다른 업체(영인운수 취소분이라는 소문이 있다.)의 주문 취소분으로 공장에 남아있던 사각램프 차량이 도입되었다. 기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버스는 파주 신성교통으로 넘어갔다.
  3. 현 9711번과는 무관한 노선이다.
  4. 한라2차주공아파트 뒷쪽에 공터가 있는데, 여기가 차고지였다. 이후 2008년 말까지 4425번 등이 차고지로 쓰다가 현재는 아예 공터가 된 상태.
  5. 당시 대전에는 알루미늄 창틀이 달린 전문형 패널바디 좌석버스가 꽤 흔했다. 특히 1990년대 초중반에 운행했던 직행좌석버스 출신이라고 하면 저런 호화옵션도 무리는 아니다.
  6. 이게 와전되어서 영구차 출신이라는 말도 있었다.
  7. 두 버스는 양재역-염곡사거리 구간에서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