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리 아낙네들


한국의 유명한 시인 고은 시인 께서 지으신 시로 만인보에 기재되어 있는 시들 중 하나이다.

1 내용

먹밤중 한밤중 새터 중뜸 개들이 시끌짝하게 짖어댄다.

이 개 짖으니 저 개도 짖어
들 건너 갈뫼[1] 개까지 덩달아 짖어댄다.
이런 개 짖는 소리 사이로
언뜻언뜻 까 여 다 여 따위 말끝이 들린다.
밤 기러기[2] 드높게 날며
추운 땅으로 떨어뜨리는 소리[3]하고 남이 아니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의좋은 그 소리하고 남이 아니다.
콩밭 김칫거리
아쉬울 때에 마늘 한 접 이고 가서
군산 묵은 장 가서 팔고 오는 선제리 아낙네들
팔다 못해 파장떨이로 넘기고 오는 아낙네들
시오릿길 한밤중이니
십릿길 더 가야지.
빈 광주리야 가볍지만
빈 배 요기도 못하고 오죽이나 가벼울까.[4]
그래도 이 고생 혼자 하는 게 아니라
못난 백성
못난 아낙네 끼리끼리 나누는 고생이라
얼마나 의좋은 한세상이더냐.
그들의 말소리에 익숙한지
어느새 개 짖는 소리 뜸해지고[5]
밤은 내가 밤이다 하고 말하려는 듯 어둠이 눈[6]을 멀뚱거리고 있다.

2 분석

고은 시인이 지은 선제리 아낙네들은 고단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선제리 아낙네들의 삶을 토속적, 향토적 시어를 사용해 생생하게 그려내면서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민중의 모습과 그 힘든 삶을 이겨내기 위해 보여주는 연대감, 유대감 같은 공동체 의식을 말하고 있다. 만인보에 들어있는 것으로 알 수 있듯이 고은 시인은 이렇게 역사속의 중요한 인물이 아닌 그 밑에서 역사를 변화시킨 힘없고 약한 민중들을 정겹게 그려내고 있다.

위 주제에서와 같이 이 시에서는 선제리 아낙네들의 고단한 삶에 대해 연민과 동정을 표현하면서 이들의 인정많고 의좋은 공동체 의식을 예찬하고 있다. 맨 마지막 시행인 밤은 내가 밤이다 하고 말하려는 듯 어둠이 눈을 멀뚱거리고 있다.에서 눈을 반짝이는 별로 해석, 이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까지를 전하고 있다고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1. 구체적인 지명을 제시, 시의 현장성을 높여주고 있다. 제목 역시 선제리 아낙네들로 하면서 시의 현장성을 높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선제리 아낙네들과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 대상이다.
  3. 소리가 떨어진다는 시각적 심상으로 표현되므로 공감각적 심상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4. 반어법이 사용되었다.
  5. 시간이 지났음을 나타내는 시구
  6. 이것이 밤하늘에 반짝거리는 별을 상징한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즉 눈이 멀뚱거리는 것은 밤하늘에 별이 반짝이는 것을 의인화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