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아

이름신지아 (본명: 신현수(申鉉洙))
이름(영문)Zia Hyunsu Shin
출생지전라북도 전주시
생몰년도1987년 7월 16일 ~ 현재

개인 홈페이지(영어)

1 개요

대한민국의 클래식 연주자. 임지영, 클라라 주미 강, 김봄소리, 김다미 등과 함께 대표적인 차세대 바이올리니스트로 손꼽힌다.

한국 출신으로 세계 무대에서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클래식 연주자는 여럿이지만, 그 가운데서도 해외 유학 경험이 전혀 없는 '순수 국내파'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는 인물이다. 클래식계의 최현석 셰프?

크라이슬러의 '사랑의 기쁨' 연주 모습

2 성장 과정

4살때 바이올린을 처음 시작하여 10세때인 1997년 한국일보 콩쿠르에서 우승했고, 14세가 된 2001년에는 대한민국 청소년 콩쿠르에서 1위 및 대상(문화관광부장관상)을 수상하여 어린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났다.

고향이 위치한 전주에서 전주예술중학교(2002년), 전수예술고등학교 입학(2003년)했는데 2004년 한국종합예술학교에 영재로 조기 입학했다. 한예종은 초등학교 때부터 영재과정 프로그램을 이수했으며 김남윤 교수를 사사했다.[1]

3 수상 경력

1999년 이화경향 콩쿠르 1위 [2]
2001년 대한민국 청소년 콩쿠르 1위, 대상
2001년 예후디 메뉴인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주니어부문 2위
2002년 제3회 요한슨 국제 청소년 현악 콩쿠르 1위
2004년 프레미오 파가니니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3위 [3]
2005년 티보바가 국제 콩쿠르 3위
2005년 제9회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3위
2006년 하노버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2위
2007년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 5위
2008년 프랑스 롱-티보 콩쿠르 1위 (2위 없는 우승) [4]
2009년 제1회 신한음악상 대상
2010년 대한민국 인재상
2012년 퀸 엘리자베스 국제바이올린 콩쿠르 3위

4 평가: '국내파 연주자'라는 점을 중심으로

순수 국내파로서 위의 경력을 쌓은 것은 매우 이례적이며 대단한 성과지만, 국제적인 뮤지션이 되는 데에는 여전히 많은 한계가 있는 듯하다. 위와 같은 훌륭한 경력에도 불구하고 해외에서 수학한 연주자들과 비교해볼 때 국내외 음악계에서의 스포트라이트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5] 한 보기로 2014-2015년 기간동안 일본에서 몇 차례 연주가 있었지만, 서양음악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유럽, 북미에서의 연주는 거의 없었다. 아무래도 서양에서 수학한 경험이 없어 음악계의 네트워크를 쌓지 못한 점, 세계적 명성을 얻은 한국출신 음악인들이 집안의 전폭적인 지원[6] 을 받았던 것에 비해, 신지아는 그런 배경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7]

이에 중남미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와의 크로스오버 연주, 방송 진행(KBS 음악프로그램 <더 콘서트>2015.01.07.~2016.04.06), 광고출연 등으로 꾸준히 음악 애호가,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활로를 모색하는 듯 하다. 흥미롭게도, 신지아라는 현재 이름으로 개명한 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의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물론 그동안 쌓은 콩쿨과 연주 커리어 덕분에 위키피디아에도 한글, 영어는 물론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로 신지아 문서가 작성되어 있다.

5 트리비아

  • 2013년부터 현재의 이름인 '지아'로 개명, 활동하고 있다. 본명인 '현수'는 남자들이 주로 쓰는 이름이고 해외에서 발음하기 어려운 편이어서 개명했다고 한다. 다만 영어 이름은 본명과 개명 이름이 모두 포함된 "Zia Hyunsu Shin"으로 표기하고 있다.
  • 1366870662120.jpg

4살 터울 언니 신아라(위 사진에서 오른쪽)도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 중이며, 동생처럼 해외 유학을 하지 않은 국내파 연주자다. 2016년 현재 서울시향 부악장

  • 2대의 바이올린을 사용하고 있다. 하나는 일본음악재단(Nippon Music Foundation)이 대여해준 1710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 다른 하나는 금호문화재단에서 내어준 과다니니.
  • AKR20150615176100005_02_i.jpg

2015년부터 1년여 동안 KBS1에서 방영된 <더 콘서트>의 진행을 맡았다. 연주자가 진행까지 맡는 사례는 TV 방송에서 이례적인 편.

  • 10630_16271_1755.jpg
2016년 배우 김성령, 한지민 등과 함께, 랑콤 화장품 광고에 출연하였다
  1. 김남윤 교수는 서울대교수로 재직하다 한예종 설립 초창기에 음악원에 부임하여 2014년 정년 퇴임할 때까지 후학들을 가르쳤고, 세계 유수의 국제 콩쿠르에서도 심사위원으로 초빙된 바 있는 '한국 바이올린계의 대모'다. 신지아 신아라 자매의 가정형편이 넉넉치 않아 레슨비 없이 가르쳤다고 한다.
  2. 초중등 레벨에서는 한국 최고 권위의 콩쿨이다
  3. 청소년콩쿨이 아닌 성인콩쿨 첫 도전으로 최연소 입상.
  4. 본인에게는 성인 무대에서의 첫 우승이었는데, 이를 계기로 음악계에서 본격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5. 동갑내기 클라라 주미 강의 예를 들면, 독일과 미국에서의 명문 음대에서 수학했다는 점, 부모가 각각 독일에서 활동한 음악가이자 서울대 음대 교수라는 후광 효과를 통해 비슷한 커리어에도 보다 활발한 국내외 연주 활동을 하고 있다.
  6.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김영욱, 정경화, 장영주, 클라라 주미 강 등이 연주 실력은 물론이요, 부모 및 학교 스승을 통해 세계무대로 활동의 폭을 넓힐 수 있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7. 전하는 말에 따르면 학창 시절에는 두 자매들 가운데 한명이 콩쿠르에서 입상하여 상금을 받으면, 그 돈으로 다른 한명이 콩쿠르 출전을 준비했을 정도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