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어송라이터

1 개요

singer-songwriter.

싱어-송라이터(singer-songwriter)지만 한국에서는 싱어송-라이터(sing-a-song-writer)[1]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노래하는 라이터

작곡가가수를 겸하는 사람을 말한다. 보통 자기가 부를 곡을 직접 작사,작곡하는 가수들을 싱어송라이터라 부른다. 이런 사람들은 보통 음악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고 자신의 음악적 성향에 잘 맞는 곡을 작곡하므로 명곡들을 많이 만들어낸다. 다만 실제로 작사, 작곡에 더해 편곡까지 스스로 하는 경우는 정말로 드물다. 대개 본인이 작사, 작곡한 곡을 다른 아티스트와 함께 편곡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작사, 작곡, 편곡, 악기 연주, 믹싱, 프로듀싱까지 스스로 하는 스티비 원더같은 아티스트도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작곡, 편곡은 물론 프로그래밍, 악기 연주에 레코딩, 믹싱에 프로듀싱까지 하는 싱어송라이터로 서태지가 대표적이다.

한국에선 작사 작곡 능력에 대한 평가를 제쳐두고 작사 작곡하는 가수라고 하면 좋게보는 편이다. 또한 커리어 전체에 걸쳐서 작곡한 곡의 수가 소수인데도 싱어송라이터 취급을 해주는 경우가 많다[2]. 반면 미국, 유럽, 일본의 경우 인디 시장 자체가 저변이 꽤 넓고 인디를 거친 프로가 많다보니 싱어송라이터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대신 이 동네들(특히 미국)에서는 '기본도 안된 게 작곡이랍시고 허접한 거 가져오는' 케이스가 너무 많다고 지적받기도 한다.

특히 일본의 경우 가요계에서의 싱어송라이터의 비중이 매우 큰 편이다. 오자키 유타카, 우타다 히카루가 대표적인 예. 실제로 일본 연예계에서 싱어송라이터들은 최상급의 대우를 받으며 인기도 많다. 일본 싱어송라이터들의 작사 작곡 능력은 세계적으로 상당한 편. 그런데 일본 가요계는 가수들의 가창력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하향평준화 되어있기 때문에 그 단점을 메꿀 수 있는 싱어송라이터들 위주로 가요계가 발전했다고 보는 이도 많다. 무조건적인 일까가 아니라, 일본어의 경우 발음의 종류 자체의 수가 적고, 종성의 개념이 거의 없으며, 그나마 있는 발음 자체도 닫힌 발음과 비음의 비율이 높아서 가창, 정확히는 팝 음악으로 대표되는 서양식의 가창을 하기에 매우 좋지 못하다. 문화에 서열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주류 음악이 서양에서 발전한 것이기 때문. 미국 교포 출신들이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높은 순위에 올라가는 것이 좋은 예.

사실 레전드의 반열에 올라가려면 싱어송라이터로의 능력은 거의 필수라고 봐도 좋을 정도지만[3], 막상 데뷔부터 싱어송라이터인 경우는 보통 보컬로의 능력은 좀 부족하고 음악적 지식, 센스, 미디어 전략에 탁월한 경우가 꽤 있다. 그만큼 보컬 능력에 대한 컴플렉스가 강한 경우 역시 많다.[4]

특히 인디즈도 이미 확고한 시장의 지위를 확보한 미국, 일본의 신인 싱어송라이터들은 가진 재능에 비해서 목소리가 좀 부족해서[5] 소속사에서 의도적으로 일찍부터 음악 작업에 참여시키는 케이스가 많다. 그래도 대중은 울 가수는 자기가 써서 노래하는 정상적인 가수캐괴수임식으로 받아들이게 되고 이건 좋은 세일즈 포인트가 된다.[6]

하지만 스티비 원더엘튼 존같이 결국 역사에 남는 위대한 가수, 위대한 싱어송라이터들은 대부분 보컬로도 작곡가로도 대단한 업적을 남긴다. 단지 이런 가수들은 극히 일부고 싱어송라이터 중에서 이런 반열에 올라갈만한 경우 역시 아주 드물다. 특히 아이돌로 대표되는 기획형 가수가 많아지고 기획형 가수가 아니더라도 작곡/편곡에 수 명에서 수 십 명씩 달라붙는게 일반적인 현재 상황에서는 보컬로 뛰어나다면 활동 초반에는 그쪽에 집중시키는게 일반적이다. 시간이 갈수록 평균적인 질은 올라갈지언정 위대한 싱어송라이터는 나오기 어려워질듯하다.

2 싱어송라이터의 분류

국내의 싱어송라이터인 유영석은 국내의 싱어송라이터를 두가지로 분류했다.

2.1 노래하는 작곡가

첫번째는 작곡가로 출발해서 '자신이 만든 노래는 자신이 가장 잘 표현한다'는 생각으로 가수를 겸하게 된 경우. 유영석, 유재하, 유희열, 윤상, 정재일, 정재형 등이 이 경우이다.

이 경우 보컬 능력이 비교적 평이한 경우가 많다. 즉 살짝 부족한 보컬로서의 가창력을 뛰어난 음악적 센스로 커버하는 경우. 윤상의 경우 고음이 안올라가져서, 녹음도중에 곡을 고치는 해프닝도 있었다. 자신의 정확한 음역대를 몰랐다고. 특히 유희열은 자유로 가요제에서 환관 창법에 너덜너덜한 가창력을 보여 멤버들과 파트너 재석에게 맹 디스 당했다.

2.2 작곡하는 가수

두번째는 가수로 활동하면서 '나도 노래 한번 써보자'는 생각으로 작곡까지 하게된 경우이다. 김건모, 성시경, 신승훈, 아이유, 윤종신, 이상은, 이승환, 이선희, 임창정, 종현 [7], 정엽, 조용필[8] 등이 이 경우이다.

이런 경우엔 본인이 작곡을 하고 편곡이나 작사는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작곡하는 가수' 계열의 아티스트가 쓴 곡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노래하는 작곡가' 계열보다 음악적으로는 다소 단순하지만 반대로 가창에서의 난이도가 높은 곡이 많다는 것. 이영현의 '체념'이 대표적인 예. 그냥 하면 되는데, 왜 못해? 아이러니하게 윤종신의 경우 현재 가수보단 작곡가, 프로듀서로 훨씬 인정받는다. 이승철이 라디오스타에 나와서 윤종신보고 '가수 아니잖아. 프로듀서지' 라고 농담할 정도.

2.3 난 두 가지 다 한다

마지막은 가수 데뷔 후 처음부터 두 가지 모두 도맡았고 결과가 성공적인 경우다. 이 분야가 사람들이 생각하는 소위 예술가 싱어송라이터의 이미지에 가장 잘 들어맞는 듯. 김광진, 김동률, 김윤아, 김창완, 서태지, 신해철, 이적, 장범준, 조규찬, 타블로, 지코, LE (EXID), G.DRAGON 등이 이 경우이다.

이 분류의 싱어송라이터들이 공유하는 특징은 단순히 곡의 가사를 쓰고 메인 멜로디를 만드는 것을 벗어나서 편곡 작업을 스스로 하는 프로듀서라는 점이다. 주로 밴드 음악을 기반으로 한 재즈 싱어송라이터[9], 그리고 미디 음악을 기반으로 하는 힙합일렉트로니카의 싱어송라이터들이 여기 해당하게 된다. (컨템포러리 R&B의 경우도 더 이상 힙합과 작업 방식을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주로 이쪽에 속한다.) 밴드 음악, 힙합, 일렉트로니카의 경우 당연히 작곡 작업과 편곡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따로 생각할 수 없다.

위에서 언급한 장르인 힙합 → 밴드 → 일렉트로니카 음악에 다 손댔고 모두 성공했으며 이제 세 가지를 신나게 뒤섞고 있는 서태지가 이 분야 끝판왕이며, 2010년대 이후의 아티스트로는 권지용장범준이 대표적이다. LE의 경우 EXID의 히트곡(<위아래>, <Ah Yeah>, <Hot Pink>, <LIE>)에 모두 프로듀서로 참여해 상당히 주목받고 있다.

세 번째 분류의 아티스트들도 살짝 나눠볼 수 있는데, '데뷔 이후로 자신의 곡 작업에 집중한 싱어송라이터'와 '다른 가수에게 곡을 주어, 작곡가로도 유명한 싱어송라이터'로 볼 수 있다. 김윤아의 경우 정말 자우림앨범과 본인의 솔로 앨범에만 곡을 실을 뿐 다른 가수에게 곡을 주지 않기로 유명한데, 데뷔 이후 20년 동안의 경력 동안 장나라슈퍼주니어에게 각각 한 곡씩, 두 곡을 써 주었을 뿐이다. 서태지의 경우도 원미연양현석에게 한 곡씩 주었을 뿐. 반면 김동률의 경우 이승환에게 준 <천일동안>, 김원준에게 준 <Show>(쇼 끝은 없는 거야~), 장혜진에게 준 <1994년 어느 늦은 밤>이 각각의 가수들의 앨범 타이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예 대표곡이 될 정도로 작곡가로도 상당히 유명하다.

3 목록

싱어송라이터의 목록에 대해서는 음악 관련 정보를 참조.
  1. 이것은 틀린 표현이다. a는 임의의 하나를 뜻하는 부정관사인데 싱어송라이터가 노래를 단 한 곡만 부를 리는 없기 때문.
  2. 이승철이 대표적이다.
  3. 송라이팅은 몰라도 편곡, 프로듀싱에 대한 센스는 필수적이다.
  4. 꼭 맞는 사례는 아니다. 보컬 능력에 대한 컴플렉스를 굳이 예를 들자면 밴드의 리더 역할을 맡는 기타리스트들을 생각하면 좋을 듯 하다. 뭐 노래 잘하는 보컬이 밴드에서 작곡을 맡는 경우는 이야기가 달라진다.(비틀즈이 대표적인 예)
  5. 음역대가 낮거나 좁은 경우가 많고 탁 트인 소리를 내는 힘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6. 한국의 모 아이돌 그룹리더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7. 본래 꿈이 작곡가 였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진행형이다. 실제로 작곡작사 모두 참여하고있고, 직접 작사작곡한 곡을 다른 가수에게 준 적도 많다. 대표적으로 이하이의 한숨, 아이유의 우울시계 등
  8. 사실 가왕은 가수로 데뷔하기 전에 이미 앨범을 발매했을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은 기타리스트였다. 그러니까, 세 번째 경우에도 해당한다.
  9. 비틀스에서 가장 무시당하는 링고스타 조차 빌보드 차트 1위를 차지한 곡이 있는 싱어송라이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