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그리콜라/자원

1 개요

아그리콜라의 자원은 총 10가지가 있다. 나무, 흙, 갈대, 돌, 양, 멧돼지, 소, 곡식, 채소, 음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나무, 흙, 갈대, 돌을 통틀어 건축 자원이라 하며, 양, 멧돼지, 소를 통틀어 가축이라 한다.
곡식, 채소, 음식은? 음식자원이겠지

2 나무

나무로 된 진한 갈색 원반.나무가 나무로 되어 있다는 사실이 나무위키에 기록돼 있다. 고만해 미친놈들아
나무는 게임판에 기본적으로 인쇄되어 있는 '나무 3개'행동을 통해 매 라운드 3개씩 풀리는 아그리콜라에서 가장 흔한 자원이다. 심지어 5인용 게임에서는 '나무 4개'라는 사기급 행동 칸도 있다.(...) 나무가 넘쳐난다 사실 모자라다 4인플 기준, 나무는 1라운드당 6개가 풀린다. 즉 14라운드간 84나무. 그런데 한 플레이어마다 방 2개 늘리고, 울타리 14개씩 치고(14개가 4우리 만들기 위한 최소 비용이다), 설비에 3개정도 쓴다고 가정하면 1인당 27나무가 필요하다. 즉 모두가 풍족하게 나무를 쓰기에는 108-84=24나무나 모자란 셈이다.

나무는 주요 설비 10장 중 우물, 가구 제작소를 만드는 데 필요하다. 우물을 만들 때는 1개(+돌 3개), 가구 제작소를 만들 때는 2개(+돌 2개)가 필요하다.
가구 제작소를 이용하면 수확 때마다 나무 1개를 음식 2개로 바꿀 수 있고, 가구 제작소가 있으면 게임이 끝났을 때 나무 3/5/7개에 대해 추가점수 1/2/3점을 받는다. 보조 설비 제제소도 같은 효과이나, 두 추가 점수 효과는 중첩되지 않는다. 그 외에 울타리 치기, 방 만들기, 외양간 짓기에 필요하다. 울타리 치기를 할 때는 1개(울타리 하나당)가 필요하고, 방을 만들 때는 5개(+갈대 2개), 외양간을 지을 때는 2개(외양간 하나당)가 필요하다.

3

나무로 된 연한 갈색 원반.세상에 흙도 나무로 되어 있다 이건 아무것도 아니다 나중에는 곡식 채소 돌 가축마저 모두 나무이다
흙도 처음부터 게임판에 1개씩 쌓인다.[1]
흙은 주요 설비 중, 화로, 화덕, 흙가마, 돌가마, 그릇 제작소를 만드는 데 필요하다. 각 주요 설비를 만들 때 다음과 같은 비용이 들어간다.

화로2개[2]
화덕4개[3]
흙가마3개(+돌 1개)
돌가마1개(+돌 3개)
그릇 제작소2개(+돌 2개)

그릇 제작소를 이용하면 수확 때마다 1번씩 흙 1개를 음식 2개로 바꿀 수 있고, 그릇 제작소가 있다면 게임이 끝났을 때 흙 3/5/7개에 대해 추가점수 1/2/3점을 받는다. 그 외에는 방 만들기, 집 고치기에 필요하다. 방을 만들 때는 5개(+갈대 2개), 집을 고칠 때는 방 개수만큼 필요하다.(+갈대 1개)

게임에서 가장 가치가 떨어지는 자원 중 하나. 초반에 화로/화덕 전쟁을 한바탕 치르고 나면 집 고치고 설비 지을때나 쓰는 잉여한 자원이 된다. 14라운드때 보면 흙 1개씩 쌓이는 칸에 흙 4개 이상 쌓이는 경우가 허다하다!

4 갈대

나무로 된 흰색 원반[4] 갈대도 처음부터 게임판에 1개씩 쌓인다.없는 게 뭐냐

갈대는 주요 설비 중 바구니 제작소를 만드는 데만 필요하다.잉여 바구니 제작소를 이용하면 수확 때마다 1번씩 갈대 1개를 음식 3개로 바꿀 수 있고, 바구니 제작소가 있다면 게임이 끝났을 때 갈대 2/4/5개에 대해 추가점수 1/2/3점을 받는다. 어째 나무나 흙보다 조건이 좋다. 잉여라 그런가

그 외에 방 만들기와 집 고치기에 필요하다. 방 만들기에는 2개(+집 종류에 따른 자원 5개[5]), 집 고치기에는 1개'(+집 종류에 따른 자원 방 개수만큼)가 필요하다.

5

나무로 된 검은색 원반.
돌은 처음에 행동 칸에 인쇄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후 1~ 14라운드까지의 행동 칸 중 2번이나 '돌 1개' 행동이 나온다.문제는 그걸 다 쓸어가도 돌 양이 그렇게 많지 않다는 거... 다만, 4인용 게임에서는 갈대, 돌, 음식 가져가기라는 사기스러운 칸이 처음부터 있고, 5인용 게임에서는 갈대, 돌, 나무 가져가기 칸이 있다. 나무는 심지어 1라운드당 1개씩 쌓인다!
돌은 주요 설비 중 우물, 흙가마, 돌가마, 가구 제작소, 바구니 제작소, 그릇 제작소에 필요하다.의외의 먼치킨
각 주요 설비를 만들 때 다음과 같은 비용이 들어간다.

우물3개(+나무 1개)
흙가마1개(+흙 3개)
돌가마3개(+흙 1개)
가구 제작소/바구니 제작소/그릇 제작소2개(+?? 2개)[6]

그 외에 방 만들기, 집 고치기에 필요하다.
방 만들기에는 5개(+갈대 2개)
집 고치기에는 방 개수만큼(+갈대 1개)이 필요하다.
돌 하나에 1점이라고 할 만큼 돌의 가치는 높다. 우물은 돌 3개에 4점, 흙가마는 돌 1개에 2점, 돌가마는 돌 3개에 3점... 돌을 이용하는 설비는 돌 1개당 1점, 또는 그 이상의 가치를 보여준다. 하지만 돌 챙기느라 나무같이 항상 중요한 자원 놓쳐서 게임을 말아먹지 않도록 하자.

6

나무로 양 모양을 깎아 만들었다. 흰색.
양은 1~4라운드 중에 '양 1마리' 행동 칸을 통해 게임에 등장한다.
양은 가축 중의 하나로 우리가 완성되면 그 안에 2마리를 넣을 수 있다.[7]
화로를 이용하면 아무 때나 양 1마리를 음식 2개로,화덕을 이용해도 양 1마리를 음식 2개로 바꿀 수 있다.[8]
양은 점수 계산 때 그 수에 따라 점수를 받는데, 없으면 1점 감점이고 최고 점수인 4점은 8마리 이상이다.

7 멧돼지

나무로 멧돼지 모양을 깎아 만들었다. 검은색.
멧돼지는 8~9라운드 중에 '멧돼지 1마리' 행동 칸을 통해 게임에 등장한다.왜 그냥 돼지가 아니고 멧돼지인지는 굳이 물어보지 않도록 하자.
화로를 이용하면 아무 때나 멧돼지 1마리를 음식 2개로, 화덕을 이용하면 3개로 바꿀 수 있다.
멧돼지의 점수는 없으면 1점 감점이고 4점은 7마리 이상이다.

8

나무로 소 모양을 깎아 만들었다. 갈색.[9]
소는 10~11라운드 중에 '소 1마리' 행동 칸을 통해 게임에 등장한다.
그리고 역시 우리 하나당 2마리씩을 넣을 수 있다.세상에 우리 하나에 양을 넣든 멧돼지를 넣든 소를 넣든 2마리씩이라니
화로를 이용하면 아무 때나 소 1마리를 음식 3개로[10], 화덕을 이용하면 음식 4개로(!)바꿀 수 있다.
소의 점수는 없으면 1점 감점이고 4점은 6마리 이상이다.

9 곡식

나무로 된 노란색 원반. 금?
곡식은 게임판에 처음부터 인쇄되어 있는 '곡식 1개 가져가기'[11]행동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곡식은 '씨 뿌리기' 행동을 통해 밭에 심을 수 있는데, 이때 곡식 2개를 추가로 가져와 그 위에 놓는다.[12]곡식 3배 뻥튀기 그리고 수확 때마다 이 밭에서 곡식 1개씩을 개인창고로 가져올 수 있다. 곡식을 음식으로 바꿀 때는 어떤 설비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비율이 달라진다. 단, 곡식은 무조건 '빵 굽기' 행동을 이용해야만 음식으로 바꿀 수 있다. ?! 각주랑 반댄데?

일반곡식 1개->음식 1개[13]
화로곡식 1개->음식 2개
화덕곡식 1개->음식 3개
돌가마곡식 1개->음식 4개[14]
흙가마곡식 1개->음식 5개

곡식도 점수를 받는다. 없으면 1점 감점이고 4점은 8개 이상이다.

10 채소

나무로 된 주황색 원반.
채소는 8~9라운드 사이에 나오는 '채소 1개 가져가기' 행동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채소도 씨 뿌리기 행동을 통해 밭에 심을 수 있는데 이때는 2개가 아닌 1개를 추가로 놓는다.
3배 뻥튀기에 이은 2배 뻥튀기
그리고 역시 수확 때마다 이 밭에서 채소 1개씩을 개인창고로 가져올 수 있다.
채소를 음식으로 바꿀 때는 그냥 바꿀 때 1:1, 화로는 1:2, 화덕은 1:3 비율로 음식으로 바꿀 수 있다.
왠지 곡식보다 한참 딸리는 기분 뻥튀기 비율도 그렇고 음식으로 바꿀 때 비용도 그렇고
하지만, 채소가 곡식보다 좋은 점도 있다. 언제든지 음식으로 바꿀 수 있다는 편의성, 즉 턴 하나를 음식 만드는데 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고 무엇보다도 점수가 개당 1점이다! 물론 0개면 -1점, 4개 이상이면 그냥 다 4점이다.

11 음식

"1"이라고 표시된 타일.
사실상 아그리콜라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 다른 걸 아무리 많이 보유하고 있더라도 이게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수확 중 2번째 단계인 '가족 먹여살리기 단계' 에서 가족 1명당 음식 2개[15]를 내야 하는데 이걸 못 내면 부족한 음식 1개당 구걸 카드 1장을 가져가야 하는데[16] 1장당 무려 -3점이다.(...) 이것이 아그리콜라에서 음식이 가장 중요한 이유.
중요한 만큼 얻는 방법도 많은데, 그것을 정리해 보자면

얻는 방법
낚시 행동을 통해 얻는다.라운드당 음식 1개[17]
창고 행동을 통해 얻는다.라운드당 음식 1개[18]
유랑극단 행동 칸을 통해 얻는다.라운드당 음식 1개[19]
양, 멧돼지, 소를 음식으로 바꾼다.화로의 경우 각각 2/2/3개, 화덕의 경우 2/3/4개.[20]
채소를 음식으로 바꾼다.화로의 경우 2개, 화덕의 경우 3개.[21]
빵 굽기 행동으로 곡식을 음식으로 바꾼다.화로 2개, 화덕 3개, 돌가마 4개[22], 흙가마 5개, 제빵소 5개[* 가마 1개를 반납하고도 돌 3개를 더 내야 되는 보조 설비다. 최대 2개까지
가구 제작소, 그릇 제작소, 바구니 제작소를 통해 나무, 흙, 갈대를 음식으로 바꾼다.나무, 흙의 경우 2개, 갈대의 경우 3개.[23]
더럽게 많다.
  1. 흙도 나무와 비슷하게 5인용 게임에서 쓰는 레어급 행동칸인 흙 3개 행동칸이 있다.
  2. 화로는 흙 2개짜리 화로와 흙 3개짜리 화로가 있다.
  3. 화덕도 흙 4개짜리 화덕과 흙 5개짜리 화덕이 있으며, 화로를 반납하는 것으로 공짜로 만들 수도 있다.
  4. 2013년 개정판에는 갈대에 약간의 색깔이 들어갔다.
  5. 나무집이라면 나무 5개, 흙집이라면 흙 5개, 돌집이라면 돌 5개.
  6. 가구 제작소의 경우 나무 2개, 바구니 제작소의 경우 갈대 2개, 그릇 제작소의 경우 흙 2개가 추가로 들어간다.
  7. 이는 모든 가축에 해당되는 이야기이다.
  8. 화덕은 원래 채소와 가축, 곡식 중 무엇을 음식으로 바꾸더라도 화로보다 하나씩 더 받는데, 양만 그대로다.
  9. 양과 멧돼지와 비교하면 크기가 확실히 차이가 난다.
  10. 큰 의미는 없지만 화로를 이용했을 때 음식 3개를 받을 수 있는 유일한 품목.
  11. 일반 'XX 1개' 처럼 라운드마다 곡식이 1개씩 쌓이는 게 아니고 그냥 곡식 1개를 가져가는 것이다. 이는 'XX X개 가져가기'라고 표시되어 있는 모든 행동 칸에도 적용되는 이야기이다.
  12.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곡식을 놓는 것이 아니고 공동창고에서 가져와 놓는 것이다.
  13. 곡식과 채소는 기본적으로 아무 설비를 이용하지 않아도 1:1비율로 음식으로 바꿀 수 있다.
  14. 최대 2개까지
  15. 혼자 플레이할 때는 1명당 음식 3개, 이번 라운드에 새로 태어난 가족은 1명당 음식 1개. 참고로 직업 '요리사'를 이용하면 태어난 라운드에 관계없이 2명을 제외하고 모두 음식 1개씩만 먹게 된다.
  16. 부족할 때마다 1장이 아니라 부족한 음식 개수만큼 가져가는 것이다. 즉 음식 8개가 필요한데 음식 5개밖에 없다면 "이번 라운드에 먹이지 못했으니 구걸 카드 1장"이 아니라 음식 3개가 부족하니 구걸 카드 3장이다.(...)
  17. 낚시 행동 칸에는 매 라운드 음식이 1개씩 쌓이며 그 행동 칸을 선택하면 그 행동 칸에 있는 음식을 전부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밑에 있는 창고 행동과 유랑극단 행동도 모두 라운드당 음식 1개인데 낚시 행동과 같은 형식.
  18. 창고 행동은 가족용 게임에만 있다. 일반 게임에는 시작 플레이어 되기/보조 설비 1개 놓기 행동이 있지만 가족용 게임은 보조 설비가 없기 때문에 대신 창고 행동이 있다. 마찬가지로 직업 1개 놓기 행동 칸 대신 외양간 짓기/빵 굽기 행동이 있다.
  19. 무조건 이렇지는 않다. 직업 '무용수'의 경우 유랑극단을 이용할 때 최소한 음식 4개를 가져오며 직업 '광대'의 경우 유랑극단을 이용할 때 그 칸에 있는 음식의 2배(!)를 가져올 수 있다. 물론 그렇게 할 경우 유랑극단과 관련된 직업들에게 음식 1개씩을 줘야 한다.
  20. 보조 설비인 '작은 화로'의 경우 1/2/3개.
  21. 작은 화로의 경우 2개.
  22. 최대 2개까지.
  23. 다만 수확 때마다 1번씩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