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어(교과)

1 개요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아랍어. 그리고 갑툭튀해 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을 붕괴시킨 만악의 근원

중학교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과과정 중 하나. 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제2외국어시간에 선택할 수 있는 과목. 하지만 배우고 싶어도 학교에서는 배우기는 거의 불가능한 과목. 국내 최초로 제2외국어 과목으로 아랍어를 도입한 학교는 부산 알리고등학교(現 경원고등학교)로# 1986년의 일이었으나 1987년에 10월에 종교색이 없는 재단으로 바뀌면서 결국 제2외국어로써의 아랍어 과목은 한동안 국내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외고에서도 아랍어 과정이 생긴 건 극히 최근의 일이니[1] 말 다 했다. 2014년 기준으로 울산외고, 수원 권선고, 광주 광덕고, 일산 저동고, 총 4개 고등학교에서 아랍어를 가르친다고 한다. 출처 또한 2015년부터는, 동탄중앙고에서도 배울 수 있다.

생활 아랍어, 기초 아랍어, 아랍어 I, 아랍어 II, 아랍어 회화, 아랍어 문법, 아랍어 독해 등의 과목이 정식 교과로 등재되어 있으나 수능 시험의 출제 범위는 아랍어 I에 한한다.그런데 저 책 전부를 수능 출제위원들[2]이 쓴거라. 다른 교과의 비슷한 문장에서 문제가 나오는 경우가 빈번하다.

7차 교육과정에 제2외국어로 처음 도입되었다. 수능에서는 가르치는 학교는 거의 없는데, 응시자는 있는 괴이한 과목이 되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제2외국어의 아랍어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아직 아랍어에 능한 수험생들이 적어 이를 고려해 출제 난이도가 매우 쉬운 편이므로, 응시자 수가 매우 많다. 물론 그 중에는 찍기에 모든것을 건 수험생들도 많이 섞여 있다

일부 고등학교는 대학에 학생들을 위탁하여 가르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조선대학교 아랍어과.

혹시 아랍어를 배우기 위해 이 항목 구경을 온 위키러라면 1강에서 포기하지 말기를 바란다. 대부분 강의에서의 1강은 알파벳 가르치기를 하는데. 우리가 생전 처음본 꼬부랑 글씨 하나하나가 뜻이 있고 그걸 다 외우고 "빨리"읽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에 멘붕한다. 우선 알파벳만 어느정도 외워도 반은 먹고 들어가는 것이니 아랍어 공부를 하는 위키러들은 이를 열심히 해보자.

2 역사

2.1 태동

아랍어가 최초로 도입된 2005학년도 6월 모의고사(04년 6월 실시)에서는 출제위원은 8명이었지만 응시생은 1명이었다.[3] 물론 그 1명을 포함해 아랍어 응시생들 중 고득점은 아랍어권에 유학을 갔다 왔거나, 아버지 직업상 따라 갔다 온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05년 수능에서도 응시자 수는 안습이었다. 그런데 전부 다 찍었는데 1등급이 나오는 일이 생겼다. 게다가 인터넷에 올라온 사례를 보면 '사람 고르는 문제에서 아랍인이라서 터번 쓴 사람을 골랐더니 정답', '5번이라서 5번 찍었더니 정답' 등 괴이한 문제들이 많아 멀쩡한 수능 과목이 유머가 되었다.찍어서 1등급을 받은 것은 물론, 심지어 아랍 문자를 외우지 않아도 1등급을 받은 케이스가 생기자 로또를 노리는 엄청난 수의 수험생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굳이 운을 기대하고 선택하지 않아도 수능에서 아랍어를 제2외국어로 선택했을 때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모두 다 같은 출발점에서 시작한다는 것. 그러면서도 선택자는 많다.는 것이다. 학교에서 가장 많이 가르치며 선택자 또한 가장 많은 한문·일본어·중국어는 능력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목숨걸고 해야 1등급이 겨우 나온다. 이 세 과목은 학교에서 배우는 과목이다, 응시자가 많다는 등 이유로 선택자들이 많았을 때도 1등급 받기가 힘들었는데, 지금같이 개나소나 아랍어로 몰려가서 진짜 실력있는 괴수들만 남는 상황에서야 두말할 것도 없다. 특히 일본어는 고등학교 교육 과정을 넘어선 덕력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 어렵게 내도 등급컷이 비슷하다. 그리고 나머지 응시자가 적은 제2외국어 과목의 경우 일반적으로 외국어고등학교의 해당 언어과 학생들이 1등급을 쓸어간다. 이 때문에 다른 제2외국어에 비교했을 때 아랍어에 더 끌리는 것 또한 촉진제 역할을 했다.

2.2 절정

그 결과 2009년 이후 3년간 제2외국어 응시자 수 1위를 가볍게 차지하였다. 2010년 수능에서 51,141명(42.3%)의 응시생 수로 제2외국어 중 응시자 수 1위가 되었으며 원점수 기준으로 1등급 컷 23점, 2등급 컷 17점이다. 만점일 경우 백분위 99, 표준점수 100으로 표점이 백분위보다 높게 나오는 기괴한 과목(...)이 되었다. 참고로 2위는 일본어로 25,630명이 응시했으며 1등급 컷 46점, 2등급 컷 43점, 만점자 표준점수는 69점이 나오게 된다. 비교 불가능 수준의 엄청난 차이. 이는 표준점수제에 대한 비판의 주요 근거가 되기도 했다.

대학교에서는 조정 점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격차가 생각만큼 크지는 않다고 주장했으나, 문제는 응시자의 실력이 워낙 개판들이라 표준점수 100점이 만점 한참 밑부터 쏟아졌다는 것. 즉 조정을 해봤자 소용이 없는 상태였다. 이건 출제자 입장에서 봐서도 답이 없는 상황이었다. 난이도를 높이면 표준점수 100점이 더 늘어서 개판이 되고 그렇다고 낮추면 응시자가 더 늘어서 개판이 될 테고... 아랍어의 딜레마

결국 교육부가 2018년 대수능부터 제2외국어 영역에 절대평가제 도입을 검토중이라 한다.

다음은 응시자 수에 대한 통계. 초기에는 인구 자체가 적은 편이라 퍼센테이지로만 따지기는 무리가 있으나, 분명 증가세는 대단한 것이 맞고 이는 2010년까지 지속되었다. 이후로는 수능 응시인구 감소세와 대학의 수능 제2외국어 반영 기피 한마디로 아랍어로 인해 발생했으니 자업자득이라는 얘기다[4], 그리고 약간의 레드오션화로 인해 2013년까지 하락세를 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2014 수능의 베트남어 러시는 이후 추이를 보아야 일회성인지 지속성인지 판단이 가능할듯. 2015학년도까지 하락세가 이어졌으나, 2015수능의 1등급컷 점 23점사태로 2016 수능에서는 아랍어 응시생이 전체 제2외국어/한문 영역 응시생의 50%를 넘기며 기초 베트남어를 2위로 따돌리고 완전한 부동의 1위 자리를 차지하였다. 2017년 수능에선 아랍어가 무려 69%로 압도적 위치를 차지했고 베트남어는 일본어와 중국어에 밀려 4위로 떨어졌다.

아랍어Ⅰ일본어Ⅰ러시아어Ⅰ기초베트남어
200554152682423X
2006218442758566X
2007507238009826X
200813588313491283X
200929278[5]274651918X
201051141256303275X
201149116199313270X
201239678147203612X
201327844116613875X
201499697784174522865
201512356717497827509
아랍어Ⅰ일본어Ⅰ중국어 I베트남어 I
201646822 (51.6%)8260 (9.1%)5626(6.2%)16752 (18.4%)
201765153 (69%)7875 (8.3%)5200 (5.5%)5193 (5.5%)

아랍어도 어엿히 EBS 강좌가 개설되어있다. 17강짜리이며, 동봉된 PDF와 같이 들어도 쉽게 만점을 보장할 수 있단다. 로또 노리다가 피 보지 말고 EBS든 뭐든 듣자. 그리고 이렇게 아랍어 응시자가 폭증했기 때문에 메가스터디를 비롯한 인터넷 강의 사이트나 입시학원에서도 강의를 개설하고 있다. 2011학년도 즉 2010년도 수업에서는 강남대성학원에 제2외국어로 아랍어만 가르치는 학급이 따로 있었을 정도.(정원 200명) 당연하지만 원래 제2외국어는 당연히 분반이다.

2.3 2011 ~ 2014학년도 수능

그리고 2011학년도 수능 결과를 보아하니 변동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표준점수는 여전히 하늘을 찌르지만 최고점이 90점으로 떨어졌고, 1등급 컷은 43까지 올랐다. 2등급 이하는 여전히 난장판이지만...[6] 이제 손 놓고 1등급을 바랄 과목도 아니게 되었고, 상황이 안 좋아진다면 지금까지 아랍어의 미친 듯한 표준점수를 지탱하던 인구 수가 줄어들 수 있다. 게다가 이 결과가 나오기 전인 2011학년도 수능부터 감소세가 시작되었다는 것은 아랍어에 낀 거품을 학생들 스스로가 인지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미래에 대한 불투명한 전망의 또다른 근거가 된다.

그리고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7점 하락하여 83점이 되었다. 그와 동시에 제2외국어/한문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 자리를 러시아어에 넘겨줬다.

수능 아랍어의 가장 큰 문제는 응시자가 많아지면 당연히 문제 난이도를 올려야 하는데 1달 쪽집게 과외나 학원을 통해 배운 학생들 몇몇을 제외하고는 전부 찍는 수준이라 문제 난이도를 올렸다가는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문제 난이도를 낮추어서 고등학교 아랍어1 교과서를 한 장이라도 들추어본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점수가 높게 나오게 하기에는 문제 난이도 자체가 다른 제2외국어보다 형편없이 낮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아니라 기초지능시험 수준이 된다. 결국 문제는 다른 선택과목[7]과의 표준점수 문제(...). 한 번 수험생들이 쏠리고 나니 아랍어 응시자의 아랍어 수준만 전체적으로 떨어져 있는 셈이니, 다른 과목은 난이도가 올라가고 아랍어는 난이도를 못 올린다. 그리고 아랍어만 쉬우니 수험생들은 더더욱 아랍어로 몰려드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 도저히 해결책이 안 나온다. 이제 유일한 변수는 베트남어.

여하튼 한국 아랍학계에서는 한국에서는 불모지에 가까운 중동 인식 때문에 그나마 아랍에 관심을 갖게 하는 계기라서 다행으로 여기고 있다고 보는 분위기인데... 그런데 왜 눈에서는 눈물이 흐르고 있지?

결국 수능 제2외국어 파행 운영을 눈치챈 대학들이 주로 탐구과목의 대체제로 반영하던 제2외국어 자체를 입시에 반영하지 않는 대학이 발생하면서 제2외국어의 입지는 더 줄어들고 있다. 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 전체가 피해를 입고 있는 셈.

2.4 2014년 이후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숙명의 라이벌로 혜성같이 등장한 베트남어와 다시 대격돌을 벌인 결과...

막장의 제왕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비록 응시자수에서는 베트남어에 완벽히 발렸지만, 시험 결과로 놓고 보면 베트남어를 완벽히 발라버렸다.

먼저 표준점수 만점이 아랍어는 100점, 베트남어는 78점이다. 러시아어는 73점.

표준점수 등급컷은 베트남어가 높지만, 각 등급별 원점수 커트라인을 비교해보면

등급러시아어베트남어아랍어 (괄호는 표준점수)
147 (71)48 (76)23 (65)
242 (67)39 (69)18 (58)
332 (60)18 (51)15 (53)
416 (48)14 (48)13 (50)
512 (45)11 (45)11 (47)
68 (42)10 (44)9 (44)
76 (40)8 (43)7 (41)
86 (40)6 (41)5 (38)

이런 결과가 나올 수 밖에 없는 이유로 가장 유력한 가설은

  • 베트남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해서 왠지 만만해보이다보니
  • 그나마 공부를 조금이라도 해서 시험을 쳐보려는 학생들이 대거 베트남어로 넘어갔고
  • 베트남어는 막장성 자체는 높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약간의 의지가 있는 학생들이 몰려오며 점수가 급등
  • 반면 아랍어는 정말 찍자는 학생들만 남아버리는 바람에 다시 과거로 회귀...

답이 없다... 만약 베트남어가 아직 쯔놈을 썼다면 어땠을지 모르는 일.

2017학년도 6월 모의고사 국어 영역 유출 사건에 대해 평가원이 입장 표명을 했는데, 아랍어에 대한 언급도 같이 했다. 평가원도 당연히 이러한 막장 행태를 알고 있었고, 조만간 대응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일단 2017학년도 수능까지는 별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다. #

2.5 사족

파일:Attachment/arabic suneung.jpg
위와 같이 초1 산수문제스러운 문제가 나온 충격과 공포의 사태가 2009년 수능에 있었다고 하는데, 물론 이건 낚시고, 내용이 이런 내용일 뿐 숫자는 멀쩡한 아랍 숫자로 적혀 있었다.[8] 문제 파일에 아랍 숫자로 적혀 있지 않아 생긴 떡밥이다. 착각하진 말자. 저 문제의 원문은 아래와 같다.
파일:Attachment/arab.jpg
17 = ___ + 7
3 0 7 7 9 정답이 5번인데 숫자9니까 9처럼생긴걸 고르면 된다. 이게 무슨 소리야, 17 - 7은 10인데 답이 9라니
그러니까 우리로 치면 '십이 = __ + 삼' 같은 문제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런 식의 아랍 숫자 물어보는 문제들이 PDF 파일에서 우리가 흔히 쓰는 인도-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되는 바람에 졸지에 '수능사상 가장 쉬운 문제'로 거론되고 말았다. 수능 쉬운문제 top8(티비플)

2014학년도 아랍어 응시자 도수분포 그래프
파일:Attachment/14-arabic.png
왼쪽(낮은 점수)에 대부분의 수험생이 쏠려 있고 오른쪽으로 갈 수록 수험생이 급격하게 줄어든다. 딱 보자마자 알 수 있겠지만, 방학때 나름 진지하게 한 달 과외받은 학생들이 1등급이고, 나머지는 그냥 운빨이라는 소리다. 아랍 지역에서 살다 왔다 해도 아랍어를 할 줄 모르는 고등학생이 99%를 넘어간다. 그 이유는 부모가 자식을 아랍 현지학교에 보내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 학교에 보내기 때문. 이러니까 표준점수가 그러지 원래 표준점수 척도 자체가 모집단이 표준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는 것인데, 현실은 한 문장으로 정의한다면 매우 심각한 정적편포.

찍어서 6-7등급 맞느니 오히려 학교 다닐때 들은 게 조금이라도 남아있을 수 있는 한문이나 일본어가 더 잘 나올 것이라 생각할수도 있다. 선택지 5개중에 찍는 것이랑 2개중에 찍는 것은 확률이 다르기도 하고 말이다. 일리는 있다만, 이렇게 생각하면 당신은 함정에 빠진 거다. 위의 분포 그래프를 보면 알지만 기본적으로 아랍어는 1등급자들을 제외하면 다같이 못보기 때문에 온전히 찍어도 운이 따르면 3등급까지도 나오는 과목이다. 다른 과목은 난이도를 감안하면 조금 주워들은 수준으로는 아는 것 빼고 나머지를 아무리 잘 찍어도 3등급이 나올 리가 없다.

이는 기본적으로 응시자 수의 문제인데, 찍기를 작정한 하위권 학생들이 대거 아랍어로 몰리면서 다른 과목의 인구 대비 응시인원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런 상황에서 다른 과목은 다른 과목대로 표준점수를 맞춰야 하니 난이도를 더 올려버리는 말도 안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결국 다른 과목을 정직하게 공부하던 외고생이나 기타 상위권 문과생들도 본인의 원래 제2외국어를 버리고 대학을 가기 위해 한달 아랍어를 공부하는 상황이 발생, 다른 과목 응시 비율의 감소세가 더 확연해지고 말았다. 이렇게 되니 찍기로 마음먹은 학생들도 더더욱 응시자가 많고 백분위 획득에 유리한 아랍어밖에 선택할 과목이 없게 되었다. 전형적인 악순환의 고리라고 볼 수 있는 부분.

14수능부터 베트남어가 제2외국어에 추가되어 수능 제2외국어 영역에 새로운 지각변동을 일으킨 변수가 되었다. 위 표에서 보듯, 아랍어 수요 상당수를 베트남어가 흡수했다.

3 아랍어의 아성에 도전하는 경쟁자들(?)

이처럼 막장으로 돌아가고 있는 아랍어의 아성에 그나마 도전해볼만한 존재는 러시아어 정도다. 이쪽도 아랍어 못지 않게 막장도가 높은 편인데 이상하리만치 선택자가 없다. 이는 아무래도 시각적 효과에서 오는 차이가 아닌가 싶다. 키릴 문자는 얼핏 보면 그래도 왠지 라틴 알파벳 비슷하게 생겨서 될 듯 말 듯 한데, 아랍 문자는 처음 보는 사람에게 어디까지가 한 글자인지 구분조차 허락하지 않는다. 한편 단순히 수학능력시험에 한정하면, 수능 제2외국어 영역 도입 때 부터 러시아어를 가르치는 외국어고[9]가 있었기 때문에 찍어서 2등급을 받을 수는 있어도 1등급을 받을 수는 없었고, 아랍어와 달리 악순환이 발생할 여지가 처음부터 차단되었다는 해석 또한 설득력을 갖는다.

하지만 이렇게 굳건히 독보적 위치를 지키던 아랍어를 도전자의 위치로 끌어내린 것이 바로 베트남어. 2014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처음 실시된 베트남어는 9969 대 22865 라는 엄청난 응시자수 차이(!)로 아랍어를 무찌르고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제2외국어 영역 자리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것은 상술된 수능 아랍어 막장의 역사에 대한 학습효과로, 이후 어찌될 지는 지켜보아야 한다. 고교 제2외국어 과정으로써의 막장도만 놓고 보면 베트남어는 러시아어한테조차 밀린다.

2015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4.06. 실시)에서 아랍어는 베트남어를 느긋하게 제치고 다시 한 번 제2외국어 영역 막장의 제왕임을 입증했다.

아랍어 - 베트남어
평균 : 12.85 : 16.87
만점 표준점수 110 : 85
1등급컷 : 23(66) : 40(75)
2등급컷 : 18(58) : 29(63)
3등급컷 : 15(53) : 22(55)
4등급컷 : 13(50) : 16(49)
5등급컷 : 11(47) : 13(46)
6등급컷 : 9(44) : 10(43)
7등급컷 : 7(41) : 8(41)
8등급컷 : 6(39) : 6(38)

원점수 기준 베트남어 3등급 컷과 아랍어 1등급 컷이 맞먹는 아랍어의 위엄...
  1. 2011년부터 울산외고에 아랍어과가 생겼다.
  2. 실제로 아랍어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만 출제된다. 그 외의 교육청 모의고사에서는 출제되지 않는다. 이는 최근에 신설된 베트남어도 마찬가지.
  3. 결국 단일점수로 인하여 표준점수 산출이 불가능하여 등급을 제공하지 않았다.
  4. 예를 들자면 과거 고려대는 이과 과학탐구도 제2외국어로 대체 가능하도록 했었으나 소리소문없이 사라진 듯하다. 물론 과학탐구 선택과목 감소의 탓이 크겠지만 아랍어 때문에 대학입시에서 수능 제2외국어 1등급의 가치와 신뢰도가 폭락한 것 또한 맞다. 2014 수능에서 제2외국어를 수능에서 분리하겠다는 주장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다.
  5. 일본어를 제치고 제2외국어 최다 응시자 과목을 차지
  6. 2등급 컷이 무려 20점이다. ㅎㄷㄷ.. 뭐지 이 등급컷은
  7. 꼭 제2외국어뿐만이 아니라 사회탐구 대체과목으로서의 형평성까지 생각해야 한다.
  8. 그러고 보니까 저런 숫자를 말하는 이름이 바로 아라비아 숫자인데... 사실 아라비아 숫자의 발명자는 인도인이다. 아라비아인들은 단지 유럽으로 전파만 했을 뿐이고. 그래서 인도-아라비아 숫자로도 불린다.
  9. 대표적으로 명덕외국어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