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 버스 8

1 개요

모두 금강고속에서 운행 중인 농어촌버스로, 서종면 쪽으로 가는 노선들이다.

아래에는 8번대 노선을 기재하였다. 예전에는 고정운행으로 다녔던 본선만 작성됐으나 지금은 문호리 출발 노선의 전산번호에 대한 문서로 변경.

시간표는 양평군청 시간표를 참조할 것. 아래 첫/막차/배차간격은 2015년 8월 1일 기준이다.

파일:문호리종점.jpg
모든 8번대 노선이 기점으로 삼고 있는 문호리종점.

2 노선 목록

2.1 8번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파일:Attachment/P508636.jpg

위 차량은 2000-1번으로 이동하였다.

양평군 농어촌버스 8번
기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문호리종점)종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청량리역)
종점행첫차11:30기점행첫차13:00
막차16:30막차18:00
운수사명금강고속배차간격1일 2회
노선문호리종점 - 문호1리 - 양수리삼거리 - 운길산역 - 진중리 - 조안면사무소 - 구.능내역 - 봉안마을 - 팔당댐 - 팔당역 - 덕소역 - 도농역 - 구리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망우역 - 상봉역 - 삼육서울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개통 당시에는 명진운수에서 농어촌버스로 운행했다.

이후 노선 변경없이 운행업체가 금강고속으로 바뀌었다.

이후 1일 6회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10월 18일에 8-8번이 신설되면서 1대가 차출되어 1일 3회 운행으로 감회되었다.

2014년 5월 1일에 금강고속 시내사업부 코스표가 개정되면서 문호리에서 12시 50분에 출발하던 시간대가 사라졌고, 8번과 8-2번이 한 번씩만 다니게 되었다.

2014년 8월에 폐선되었다.

2.2 8-1번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양평군 농어촌버스 8-1번
기점[출발]경기도 양평군 양서면(고현리종점)
[도착]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문호리종점)
종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청량리역)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7:20
막차06:00막차07:20
운수사명금강고속배차간격1일 1회
노선고현리종점 → 증동3리마을회관 → 증동1리마을회관 → 대아초교 → 진개울 → 국수역.양평전자과학고 → 신원리 → 양수리 → 양수리삼거리 - 운길산역 - 진중리 - 조안면사무소 - 구.능내역 - 봉안마을 - 팔당댐 - 팔당역 - 덕소역 - 도농역 - 구리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망우역 - 상봉역 - 삼육서울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이후 문호리종점으로 복귀)

2008년 12월 29일 중앙선 전철이 용문역까지 연장하면서 폐선되었다.

2.3 8-2번

양평군 농어촌버스 8-2번
기점[출발]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서후2리종점)
[도착]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문호리종점)
종점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양수역)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07:15
막차06:40막차07:15
운수사명금강고속배차간격1일 1회
노선(서후2리종점 → 서후2리마을회관 → 서후1리마을회관 → 수능2리마을회관 → 수능삼거리 → 수능1리마을회관 → 황순원문학촌(소나기마을) → 수능/도장리입구삼거리 →) - 문호리종점 - 문호1리 - 양수리삼거리 - 양수리 - 양서면사무소 - 양수역

전체 정류장 목록

과거에는 서후2리에서 7시에 출발했으며, 8번이 있을 당시에는 8번 차량으로 운행했다.

2014년 8월에 서종면사무소 구간이 단축되었고, 양수역 앞에서 바로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2.4 8-3번

900px
문호리에 도착한 후라 보조행선판에 '문호리'밖에 없는데, 출발할 때는 '목왕리'와 '양수역'도 끼워져 있다.

양평군 농어촌버스 8-3번
기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문호리종점)종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목왕1리종점)
종점행첫차09:30기점행첫차10:00
막차17:15막차17:45
운수사명금강고속배차간격1일 3회
노선문호리종점 → 문호1리 → 양수리삼거리 → 양수리 → 양서면사무소 → 양수역 → 부용2리 → 부용1리마을회관 → 목왕삼거리 → 목왕2리마을회관 → 양수리수양관 → 목왕2리마을회관 → 목왕삼거리 → 목왕1리마을회관 → 목왕1리종점 → 목왕1리마을회관 → 목왕삼거리 → 부용1리마을회관 → 부용2리 → 양수역 → 양서면사무소 → 양수리 → 양수리삼거리 → 문호1리 → 문호리종점

전체 정류장 목록

'문호리 → 양수역 → 목왕삼거리 → 목왕2리 → 목왕삼거리 → 목왕1리 → 목왕삼거리 → 양수역 → 문호리' 순으로 운행한다.

2.5 8-4번

900px

양평군 농어촌버스 8-4번
기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문호리종점)종점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양수역)
종점행첫차07:55기점행첫차08:10
막차21:50막차22:05
운수사명금강고속배차간격30~60분(1일 19회)
노선문호리종점 - 문호1리 - 양수리삼거리 - 양수리 - 양서면사무소 - 양수역

전체 정류장 목록

2015년 8월 1일(?)부터 양수역 앞에서 바로 회차하게 되었다.

문호리와 양수리를 오가는 단거리 노선이다. 카운티가 꽉 찰 정도로 수요가 많아 자주 다니는 편이다.

2.6 8-5, 8-6번

900px
8-5번.

양평군 농어촌버스 8-5번
기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문호리종점)종점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양수역)
종점행첫차07:00기점행첫차07:45
막차19:55막차20:45
운수사명금강고속배차간격1일 4회
노선문호리종점 → 수능/도장리입구삼거리 → 황순원문학촌(소나기마을) → 수능1리마을회관 → 수능삼거리 → 수능2리마을회관 → 서후1리마을회관 → 서후2리마을회관 → 서후2리종점 → 서후2리마을회관 → 서후1리마을회관 → 수능2리마을회관 → 수능삼거리 → 벗고개터널 → 목왕1리종점 → 목왕1리마을회관 → 목왕삼거리 → 목왕2리마을회관 → 양수리수양관 → 목왕2리마을회관 → 목왕삼거리 → 부용1리마을회관 → 부용2리 → 양수역 → 양서면사무소 → 양수리 → 양수리삼거리 → 문호1리 → 문호리종점
양평군 농어촌버스 8-6번
기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문호리종점)종점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양수역)
종점행첫차11:25기점행첫차11:45
막차20:20막차20:40
운수사명금강고속배차간격1일 3회
노선8-5번과 역순으로 운행.

전체 정류장 목록(8-5번) 전체 정류장 목록(8-6번)

서종면를 한 바퀴 빙 도는 편도 순환노선이다. 시계방향이 8-5번, 반시계방향이 8-6번이다.

8-5번 첫차는 목왕2리와 양수리수양관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8-6번 첫차는 서후리로 들어가지 않으니 주의.

2.7 8-7번

양평군 농어촌버스 8-7번
기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문호리종점)종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수입3리마을회관)
종점행첫차15:40기점행첫차16:30
막차15:40막차16:30
운수사명금강고속배차간격1일 1회
노선문호리종점 → 문호1리 → 양수리삼거리 → 양수리 → 양서면사무소 → 양수역 → (이후 문호리종점까지 역순으로 운행) → 문호1리 → 서종면사무소 → 수입1리마을회관 → 수입리나루터 → 수입3리마을회관 → 수입1리마을회관 → (이후 문호리종점까지 역순으로 운행) → (양수역까지 운행한 뒤 문호리종점으로 복귀)

전체 정류장 목록

2015년 8월 1일(?)에 수입3리마을회관까지 연장되었고, 양수역 앞에서 바로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또한 아침에 운행하던 시간대가 8-9번으로 분리되었다.

'문호리 → 양수역 → 문호리 → 수입리 → 문호리 → 양수역 → 문호리' 순으로 운행한다.

2.8 8-8번

양평 버스 8-8 문서를 참조.

2.9 8-9번

양평군 농어촌버스 8-9번
기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문호리종점)종점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수입3리마을회관)
종점행첫차08:30기점행첫차08:45
막차08:30막차08:45
운수사명금강고속배차간격1일 1회
노선문호리종점 → 문호1리 → 서종면사무소 → 수입1리마을회관 → 수입리나루터 → 수입3리마을회관 → 수입1리마을회관 → (이후 문호리종점까지 역순으로 운행) → 문호1리 → 양수리삼거리 → 양수리 → 양서면사무소 → 양수역 → (이후 문호리종점까지 역순으로 운행)

2015년 8월 1일(?)에 8-8번의 아침 시간대가 8-9번으로 분리되었다. 노선은 분리 이전과 동일하다.

3 연계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