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1 개관

2011년까지 대한민국에는 국무총리 41명과 임시 총리 1명, 총리 서리[1] 5명(이윤영 4회), 내각 수반 4명, 권한대행 5명(한덕수 당시 경제부총리 포함)이 있었지만 임기가 1년을 넘긴 사람은 19명 뿐이었다. (평균 재임일 수는 공식 총리는 450일, 서리로 인준받는 기간을 더하면 469일.)

제6공화국에 들어오면 정확히 평균 366일=1년의 재임기간, 서리로 인준 기간을 더하면 380일이 된다. 지난 5개 정부 24년의 기간 동안 22명의 총리가 있었다. 이 가운데 1년을 넘긴 인물은 8명이고, 이홍구 총리는 정확히 1년만에 사임했다.

이 가운데 대통령이 된 인물은 권한대행으로서 바로 계승한 최규하 한 명뿐. 대통령 후보가 된 인물은 허정, 김종필, 이수성, 이회창, 이한동이며, 경선 과정에서 있었던 인물은 박태준, 이해찬, 한명숙, 대통령 후보로 거론된 인물은 장면, 노신영, 고건, 정운찬이다.

장상 서리는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였으나 경선에서 탈락. 이헌재 재정경제부 장관은 2000~01, 04~05로서 2차례의 권한대행과 부총리 등으로 여러 차례 총리로 거론되었으나 부인의 위장전입 의혹으로 끝내 총리가 되지 못했다. 이윤영 총리서리는 무려 네 번에 걸쳐서 한국민주당에 의해 총리 인준이 부결되었다.

역대 총리는 백두진, 김종필, 고건 총리가 2회 했기 때문에 38명의 총리가 있었다. 출신은 관료, 그 가운데서도 경제관료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그외 법관, 장군, 대학 총장 출신이 있다. 출신대학은 현재의 명칭 기준으로 서울대(전신 포함)가 19명으로 압도적으로 많고[2], 육군사관학교 5명[3], 와세다대학 3명, 연세대 2명[4], 이화여대[5], 국민대, 고려대[6], 성균관대, 도쿄대학[7], 히토쓰바시대학[8], 쓰쿠바대학[9], 구 만주건국대학 등 1명이다.

2 제1 ~ 5공화국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비고
제1공화국(이승만 정부)
서리이윤영(李允榮)1948.7.221948.7.319일독립운동가.
1대이범석(李範奭)[10]1948.7.311950.4.201년 263일독립운동가.
서리이윤영(李允榮)1950.4.31950.4.63일
서리신성모(申性模)[11]1950.4.211950.11.22215일독립운동가.[12]
서리백낙준(白樂濬)1950.11.31950.11.1512일
2대장면(張勉)1950.11.231952.4.231년 152일
서리허정(許政)1951.11.61952.4.9155일
서리이윤영(李允榮)1952.4.241952.5.511일
3대장택상(張澤相)1952.5.61952.10.5152일독립운동가.
서리이윤영(李允榮)1952.10.51952.10.1712일[13]
서리백두진(白斗鎭)1952.10.91953.4.23196일
임시이갑성(李甲成)1952.10.91953.7.27291일전시내각의 임시 총리.
4대백두진(白斗鎭)1953.4.241954.6.171년 54일
5대변영태(卞榮泰)1954.6.271954.11.28154일수주 변영로의 형. 외무부 장관 역임.
임시서리백한성(白漢成)1954.11.181954.11.2911일
헌법 개정으로 직제 일시 폐지 (1954.11.30 ~ 1960.4.26, 5년 150일)
제2공화국(윤보선 정부)
내각수반허정(許政)1960.4.271960.6.1549일대통령 권한대행[14],
4.19 혁명 후 선거무효로 인한 내각수반.
6대1960.6.151960.8.1864일대한민국 역대 국무총리 최단 재임 기간[15]
서리김도연(金度演)1960.8.161960.8.171일[16]
7대장면(張勉)1960.8.191961.5.18272일[17]
내각수반장도영(張都暎)1961.5.201961.7.243일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쫓겨남.
내각수반송요찬(宋堯讚)1961.7.31962.6.15347일군인 출신. [18]
내각수반박정희(朴正熙)1962.6.181962.7.921일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김현철(金顯哲)1962.7.101963.12.161년 159일관료출신.
제3공화국(박정희 정부)
8대최두선(崔斗善)1963.12.171964.5.9144일육당 최남선의 동생. 동아일보 사장
9대정일권(丁一權)1964.5.101970.12.206년 225일역대 최장 재임 국무총리[19]
군인 출신. 6.25 전쟁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자
박정희의 만주군관학교, 일본 육사 선배
10대백두진(白斗鎭)1970.12.211971.6.3164일경제관료 출신.[20]
11대김종필(金鍾泌)1971.6.41975.12.184년 198일前 국회의원[21]
제4공화국(박정희 정권 → 최규하 정권 → 전두환 정권)
11대김종필(金鍾泌)1971.6.41975.12.184년 198일前 국회의원
서리최규하(崔圭夏)1975.12.191976.3.1284일
12대1976.3.131979.12.123년 274일외교 관료 출신. 10.26 사건 이후 대통령 권한대행.
(1979.10.26~1979.12.8)[22]
13대신현확(申鉉碻)1979.12.131980.5.21160일경제관료 출신. 최규하 국무총리가 대통령이 되면서
부총리였다가 승진.[23]
서리박충훈(朴忠勳)1980.5.221980.9.1102일8월 22일 이후 일시적으로
대통령 권한대행을 겸임.[24]
서리남덕우(南悳祐)1980.9.21980.9.2119일경제관료 출신.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14대1980.9.221982.1.31년 103일
제5공화국(전두환 정권)
14대남덕우(南悳祐)1980.9.221982.1.31년 103일
서리유창순(劉彰順)1982.1.41982.1.2218일한은 총재 지낸 경제관료 출신.
15대1982.1.231982.6.24152일
서리김상협(金相浹)1982.6.251982.9.2087일
16대1982.9.211983.10.141년 23일인촌 김성수의 조카.
동아일보 사장, 고려대학교 총장 출신
서리진의종(陳懿鍾)1983.10.151983.10.161일국회의원 출신, 뇌일혈로 쓰러짐.
17대1983.10.171985.2.181년 125일
직무대행신병현(申秉鉉)1984.11.71985.2.18103일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서리노신영(盧信永)1985.2.191985.5.1585일외무 관료 출신. 국가안전기획부장.
18대1985.5.161987.5.252년 9일[25]
서리이한기(李漢基)1987.5.261987.7.1348일서울대 법대 학장출신.
서리김정렬(金貞烈)1987.7.141987.8.623일
19대1987.8.71988.2.24201일군인 출신. 공군 창건의 주역.
최규하의 하야를 설득한 인물.[26]

3 제6공화국 이후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비고
노태우 정부(제6공화국)
서리이현재(李賢宰)1988.2.251988.3.15일서울대 총장 역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20대1988.3.21988.12.4277일
서리강영훈(姜英勳)1988.12.51988.12.1510일군인 출신
21대1988.12.161990.12.262년 10일
서리노재봉(盧在鳳)1990.12.271991.1.2226일
22대1991.1.231991.5.23120일서울대 외교학과 교수.[27]
서리정원식(鄭元植)1991.5.241991.7.744일교수 출신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문교부 장관[28]
서울시장 후보, 브니엘학원 이사장 등
23대1991.7.81992.10.71년 92일
24대현승종(玄勝鍾)1992.10.81993.2.24139일교수 출신. 고려대 법대 교수, 성균관대 총장 역임.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중립내각의 총리
김영삼 정부(문민 정부)
25대황인성(黃寅性)1993.2.251993.12.16294일前 국회의원
26대이회창(李會昌)1993.12.171994.4.21125일대통령과 마찰을 빚어 사퇴.
법조인 출신. 대법관 역임, 97/02/07년 대선 출마
27대이영덕(李榮德)1994.4.301994.12.16230일교수 출신.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28대이홍구(李洪九)1994.12.171995.12.171년교수 출신.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29대이수성(李壽成)1995.12.181997.3.41년 77일서울대 총장 역임. 서울대 법대 교수. 2007년 대선 출마
30대고건(高建)1997.3.51998.3.2362일내무 관료 출신
김대중 정부(국민의 정부)
서리김종필(金鍾泌)1998.3.31998.8.17167일[29]
제31대1998.8.182000.1.121년 147일
제32대박태준(朴泰俊)2000.1.132000.5.18126일前 국회의원. 자유민주연합 출신. 포항제철 전 회장. 군 경력
직무대행이헌재(李憲宰)2000.5.182000.5.235일
서리이한동(李漢東)2000.5.232000.6.2836일前 국회의원. 자유민주연합 출신.[30]
2002년 대통령 출마.[31]
제33대2000.6.292002.7.102년 11일
서리장상(張裳)2002.7.112002.7.3120일최초의 여성 총리가 될 뻔했으나 국회 인준에 실패.[32]
서리장대환(張大煥)2002.8.92002.8.2819일청문회 두 번째 낙마자. 매일경제신문 회장.
서리김석수(金碩洙)2002.9.102002.10.424일법조인(대법관) 출신.
제34대2002.10.52003.2.26144일
노무현 정부(참여 정부)
제35대고건(高建)2003.2.272004.5.241년 87일내무 관료 출신. 임기 중 대통령 권한대행.[33]
직무대행이헌재(李憲宰)2004.5.242004.6.2936일[34]
제36대이해찬(李海瓚)2004.6.302006.3.151년 258일현직 국회의원. 참여정부 최장 재임.
직무대행한덕수(韓悳洙)2006.3.162006.4.1934일
제37대한명숙(韓明淑)2006.4.202007.3.7321일최초의 여성 총리
직무대행권오규(權五奎)2007.3.72007.4.226일
제38대한덕수(韓悳洙)2007.4.32008.2.28333일경제 관료 출신
이명박 정부
39대한승수(韓昇洙)[35]2008.2.292009.9.281년 212일외무 관료 출신.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역임
40대정운찬(鄭雲燦)2009.9.292010.8.10315일서울대 총장 출신.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역임
직무대행윤증현(尹増鉉)2010.8.112010.9.3050일기획재정부 장관[36]
41대김황식(金滉植)2010.10.12013.2.262년 148일직선제 이후 최장기간 총리 역임.
법조인 출신(대법관, 감사원장 역임)
박근혜 정부
42대정홍원(鄭烘原)2013.2.262015.2.161년 356일법조인 출신,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의 책임을 지고 사임했으나 총리 지명 후보들의 사퇴로 유임
43대이완구(李完九)2015.2.162015.4.27.70일허정을 제외한 최단기간 재임 총리.[37]
관료 출신, 충청남도 도지사, 새누리당 원내대표 역임
직무대행최경환(崔炅煥)2015.4.272015.6.1853일경제부총리 역임.
44대황교안(黃敎安)2015.6.18현직법무부장관 역임.
  1.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 이전에 임명하는 총리. 최근에는 동의를 받은 후에야 임명하는 형식을 취한다. 이 제도가 변화, 정착되는 과정의 대표적인 사례가 2002년 장상, 장대환의 경우로 부결된 후에도 얼마든지 서리로 있을 수 있다는 식의 논리가 나오기도 했다.맙소사 사실 이 부결이 된 게 1960년 이래 42년 만인지라 그럴 만도 했다.
  2. 사범대학 사회교육과를 중퇴한 김종필 포함
  3. 전신인 군사영어학교 출신 포함
  4. 임시 총리를 지낸 이갑성 포함 시 3명
  5. 총리 서리 포함시 2명
  6. 전신교인 보성전문 출신만이 있다.
  7. 5공 때 서리를 지낸 이한기 포함시 2명. 김상협, 이한기 둘 다 전신교인 도쿄제국대학 출신.
  8. 백두진. 전신교인 도쿄상대 출신.
  9. 최규하. 전신교인 도쿄고등사범 출신.
  10. 국방부 장관 겸임.
  11. 국방부 장관 겸임
  12. ...이자 그 유명한 "우리 국군이 북진하면 아침은 서울, 점심은 평양, 저녁은 의주에서 먹게 될 것이라는 희대의 개드립을 쳤다가 6.25 전쟁 때 개털리고는 이승만과 함께 다리 끊고 피난을 떠난 바로 그 인물. 이승만의 지시를 들을 때면 눈물을 흘리고, 전방을 순시하면서 이승만에 대해 이야기할 때면 또 눈물을 흘려 낙루장관(落淚長官) 혹은 눈물의 장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해방 전 임시 정부 시절엔 이승만의 불합리한 행태에 반기를 들던 비교적 개념인이었는데 어쩌다 이렇게 변질되었는지는 미스터리. 그 외에도 보도연맹 학살사건과 각종 비리의 흑막으로 의혹을 받았다. 눈물의 장관 답게 가히 안습한 인물. 근데 이 인간이 최장기간 총리서리...(이갑성의 경우는 임시 총리였다) 웬만한 단임 총리보다도 오래 해먹은 셈이다.
  13. 4차례나 총리서리로 지목되었으나 한국민주당, 민주당의 부결로 총리가 되지 못한 비운의 인물. 제헌국회와 무임소 장관으로 복무. 제3,4대 부통령 선거 낙선자;; 여하간 그만큼 자주 서리가 되었다는 것은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었다는 것인데, 북한에 기반을 두고 있던 조선민주당의 부위원장으로 남북통합의 의미에서 지명되었다고 한다. 이기붕의 부통령 후보 사퇴 검은돈을 뿌리치기도 했던 인물. 여하튼 총리 서리로 있던 기간은 모두 더해보야 35일밖에 되지 않는다. 가히 콩라인의 전설급 인물.
  14. 1960년 4월 27일부터 6월 16일까지, 6월 22일부터 8월 12일까지.(대통령 권한대행이던 민의원 의장 곽상훈이 6일만에 사퇴하고 물려줌.)
  15. 3차 헌법개정과 제2공화국 출범(1960.06.15)부터 6대 국무총리 재임 시작.윤보선 대통령 당선(1960.08.12) 후 장면 국무총리 지명일(1960.08.18) 다음날 장면 국무총리 선출(1960.08.19)까지.
  16. 윤보선이 자신과 같은 민주당 구파라고 지명했으나, 바로 신파들의 대거 반대 몰표로 망했다. 역대 최단 총리서리.
  17. 합산 2년 58일로 역대 여섯 번째 장기재임 총리이자 내각책임제 하의 정부 수반.
  18. 4.19 혁명에서 군의 중립을 지켜 평화적으로 해결했으며, 김종필의 주도로 시작된 용퇴운동에 잠시 육군참모총장에서 물러났다가, 5.16 군사정변 이후 축출된 장도영의 뒤를 이어 다시 내각 수반으로 복귀. 통화개혁에 반대하여 사퇴.
  19. 현재 대통령 임기가 5년 단임인 지금은 물론이고, 더 늘어난다고 하더라도 사실상 정일권의 재임 기록을 경신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말 그대로 넘사벽(...)
  20. 제4대 총리이기도 했다. 경제관료 출신. 총합 재임 2년 49일로 역대 일곱 번째 장기재임 총리이자 총리가 된 인물 중 역대 최장 총리서리. 원인은 전쟁 때문;;
  21. 1960년대 중반과 후반 박정희에게 숙청되었으나 이 때 다시 돌아왔다. 이것만으로도 역대 두 번째로 길게 재임한 총리. 김대중 정부 때의 1년 214일을 더하면 6년 47일. 서리기간 167일 더하면 6년 214일. 정일권의 최장기간 재임 기록에 딱 11일 모자랐다.
  22. 역대 세 번째 장기 재임 총리.
  23. 경제부 인물로 꼬장꼬장한 인물로 이름이 높았고 12.12 이후 전두환에게 호통도 쳤지만 정작 5.17 내란에서는 무력화.
  24. 9월 1일 전두환 취임.
  25. 한때 전두환의 후계자로 거론되기도 했다. 안기부 항목 참조. 총선에서 대패하여 안기부장에서 사의를 표했더니 도리어 총리가 되어버린 기묘한 케이스. 전두환 정부 최장 재임 총리이자 역대 네 번째 장기 재임 총리.
  26. 5.17 내란 항목 참조.
  27. 대통령 비서실장을 거쳐서 국무총리가 되었다. 사실 듣보잡이었지만, "광주 사태는 김대중 씨의 외곽을 때리는 노련한 정치기술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라는 정치성 발언 및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 추진 등의 배경으로 노태우 정부에 발탁되었다. 위 표현에서 나타나듯이 강경 우익 성향으로 그가 비서실장에서 국무총리가 되자 야당에서 '싸우자!'는 거냐면서 격렬하게 반발하였다. 결국 야당의 반대로 비밀회동 후 사임한다. 최근에도 극우 성향 단체에 단골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28. 문교부 장관 재임 당시 전국교직원노동조합(당시는 불법조직)을 탄압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총리서리로 내정된 이후인 1991년 6월 3일 한국외대에서 진행한 마지막 강의(당시 외대 대학원 강사) 직후 외대 학생들로부터 밀가루와 날계란 테러를 당했다. 사건 피해자인 정 총리는 가해자들에 대해 선처 의사를 밝혔지만 학교 측과 공안당국은 가해 학생에게 징계와 형사처벌을 단행했다. 이 사건 이후 운동권 학생들의 도덕성 문제가 이슈화됐고 5년 뒤 한총련 사태 이후 학생 운동권 세력은 사실상 종말을 고하게 된다.
  29. 총리 인준에 성공한 인물 중 서리로 있었던 기간이 두 번째로 긴 인물. (최장은 백두진인데 원인은 전시내각.) 새정치국민회의-자유민주연합 공동정권의 두 번째 주주. 의원 내각제 개헌 시 초대 총리가 된다는 공약을 내세운 상황이었다.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의 반대표가 원인. 여하간 서리기간 포함하면 679일로 그것만으로도 역대 7번째 긴 임기고, 서리기간을 빼도 10위권;;
  30. 역대 총리 재임기간 5위.
  31. 74,027표, 0.3% 득표.
  32. 2000년 6월 인사청문회법 이후 최초의 낙마자.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출신.
  33. 제30대 총리이기도 했기에, 성격이 다른 두 정부에서 모두 총리를 지낸 전형적인 성공한 관료로 인정받았다. 두 재임을 합치면 2년 84일이나 되어 역대 다섯 번째 장기 재임 총리.
  34. 경제부총리로 두 번이나 직무대행을 맡았던 인물. 진의종 전 국무총리의 사위이다. 직무대행 완료 이후 처조카의 땅문제로 사임한다.
  35. 한명숙, 한덕수, 한승수는 모두 청주 한씨로, 한 가문에서 연달아 세 명의 총리가 나왔다.
  36. 여담으로 8월 8일 내정되었다가 29일 자진 사퇴한 김태호 총리 후보는 서리가 아니다.
  37. 사의 표명은 4월 21일에 했지만, 대통령의 사표 수리는 4월 27일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