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음

有聲音 / Voiced consonant

자음의 분류
조음 방법비음파열음파찰음마찰음마찰접근음접근음
탄음전동음설측음내파음흡착음방출음
조음 위치양순음순치음설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
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인두음후두개음성문음
성대 울림유성음무성음
기식 유무유기음무기음

1 개요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울림소리, 탁음(濁音)이라고도 한다. 성대의 진동이 확연하게 느껴지는 소리이며, 성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조음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서양 언어에서 성대의 떨림 여부로 의미를 구별한다. 다만, 한국어[1]중국어[2], 태국어[3] 등은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으로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가 아니다 보니 그 차이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다만 서양 언어들에서도 덴마크어아이슬란드어 같은 예외가 있고 독일어에서도 남부 사투리들은 무기음-유기음 대립인 경우가 많다. 한술 더 떠서 스위스 독일어는 유기음도 유성음도 없고 에스토니아어처럼 겹자음 여부만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서구 언어학에서는 무성무기음이면서 유성음의 자질을 일부 갖고 있다고 여겨지는 음운을 약음(Lenis)이라고 부른다.

상세하게 분류하면 여러 단계로 나뉜다.
voiceless (full airstreams) 무성음으로 숨을 완전히 흘러 보내는 소리
[tʰ] strong aspirated 아주 강한 기음으로 숨을 완전히 흘려 보내는 소리, 강기음
[t'] moderate, mild aspirated 약한 기음으로 숨을 흘려 보내는 소리, 약기음, 일반적인 무성음
[t˭] tenuis 기음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소리, 무기음, 로망스어에서의 k, t, p 무성음, 한국어의 된소리
voiced 성대를 울리는 소리
[d̤] 또는 [dʱ] breathy voice <음성 등이> 기음(氣音)이 지나치게 섞인 유성음, 유성유기음
[d̥] slack voice 느슨한(loose); 약한(weak), 연약한(soft) 소리
[d] modal voice (maximum vibration) 최대의 진동 소리
[d̬] stiff voice 거센,격렬한 소리
[d̰] creaky voice 끽끽 대는 소리
[ʔ͡t] glottal closure (blocked airstream) 성문 안에 갇힌 소리

/ʡ/의 경우는 무성음도 되고 유성음도 된다. 그러므로 무성음 항목에서도 볼 수 있다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흡착음과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내기 힘든 무성음과는 달리, 거의 모든 조음 방법으로 낼 수 있는 소리이다. 특히 탄음은 유일하게 무성음이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마찰접근음(반찰음)이라는 특수한 조음 방법이 있는데, 마찰음이면서 접근음이다. 양순음, 치음, 구개수음, 인두음, 후두개음, 성문음에서만 발현된다.

2 유성음을 표기하는 IPA 기호

2.1 비음

/m/(양순음), /ɱ/(순치음), /n̪/(치음), /n/(치경음), /n̠/(후치경음), /ȵ/(치경구개음), /ɳ/(권설음), /ɲ/(경구개음), /ŋ/(연구개음), /ɴ/(구개수음)

2.2 파열음

/b/(양순음), /ɡb/(양순연구개음), /b̪/(순치음), /d̪/(치음), /d/(치경음), /ȡ/(치경구개음), /ɖ/(권설음), /ɟ/(경구개음), /ɡ/(연구개음), /ɢ/(구개수음), /ʡ/(후두개음)

2.3 파찰음

/b̪v/(순치음), /dz/(치경음), /dɮ/(설측치경음), /ʤ/(후치경음), /ʥ/(치경구개음), /ɖʐ/(권설음), /ɟʝ/(경구개음), /gɣ/(연구개음)

2.4 마찰음

/v/(순치음), /z/(치경음), /ɮ/(설측치경음), /ʒ/(후치경음), /ʑ/(치경구개음), /ʐ/(권설음), /ʝ/(경구개음), /ɣ/(연구개음), /ʟ̝/(설측연구개음)

2.5 마찰접근음

/β/(양순음), /ð/(치음), /ʁ/(구개수음), /ʕ/(인두음), /ʢ/(후두개음), /ɦ/(성문음)

2.6 접근음

/ʋ/(순치음), /ɹ/(치경음), /l/(설측치경음), /ȴ/(치경구개음), /ɻ/(권설음), /ɭ/(설측권설음), /j/(경구개음), /ʎ/(설측경구개음), /ɰ/(연구개음), /ʟ/(설측연구개음)

2.7 전동음

/ʙ/(양순음), /r/(치경음), /ɽr/(권설음), /ʀ/(구개수음), /я/(후두개음)

2.8 탄음

/ⱱ̟/(양순음), /ⱱ/(순치음), /ɾ/(치경음), /ɺ/(설측치경음), /ɽ/(권설음), //(설측권설음), /ʎ̯/(설측경구개음), /ʟ̆/(설측연구개음), /ɢ̆/(구개수음)
  1. 한국어에서는 발음법이 따로 제시되지 않는 이상 모음 뒤의 받침이 아닌 자음이나 받침 뒤 자음이 ㅇ, 파열음이 아닌 받침 다음의 자음인 경우에 발현된다.
  2. 단, 일부 방언의 성모 중 sh(/ʂ/)와 r(/ʐ/)는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경성(轻声)일때는 유성음화된다.
  3. 양순음, 치경음에 한해 유성음(ㅂ, ㄷ)-무성무기음(ㅃ, ㄸ)-무성유기음(ㅍ, ㅌ) 구별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