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몽학의 난

임진왜란정유재란 사이에 일어난 반란.

전주 이씨 서얼 출신의 이몽학이 일으킨 반란으로 당시 조선 민심이 어땠는지 알 수 있다. 이몽학의 아버지는 이몽학을 집에서 내쫓았다. 집에서 쫓겨나서 떠돌이로 살던 이몽학은 한현의 부하로 들어가 그곳에서 반란 계획을 생각한다. 이후 의병을 모집한다는 명분으로 동갑회라는 조직을 만드나, 실은 이곳에서 오히려 반란을 위해 군사 훈련을 했다.

1596년부터 시작한 반란은 왜적의 침입을 허용한 무능한 정부 대신 왜적을 몰아낸다는 기치를 내세운 덕에 초기에는 홍경래의 난처럼 잘 나갔지만 이후 부하들의 배신으로 목이 잘리면서 끝났다. 무엇보다 홍주성을 지키던 목사 홍가신과 홍주성을 구하러 온 의병들(임득의 같이 가노들을 이끌고 온 사람들도 있었다) 때문이었다.

이 사건으로 선조의 의심병으로 인해 의병장들이 숙청당했다는 인식이 있으며 그 주장으로 아래와 같은 근거가 나온다.

  • 송유진의 난 때는 의병장 이산겸이 반란군과 무관함을 뻔히 알면서도 그대로 때려 죽이더니 이몽학의 난 때는 이몽학이 반란군을 결성 당시 했던 "김덕령을 비롯한 몇몇 의병들, 도원수와 수사들이 나와 함께 한다"는 거짓말을 빌미로 김덕령을 모진 고문 끝에 죽게 만들었다.
  • 또한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이순신을 경계하면서 동시에 원균을 추켜세우기 시작한다. 그 똑똑한 머리로 두 사람의 차이를 정말 몰랐을 리는 없고 순전히 무장들에 건 견제와 의심 때문이었다. 그리고 끝내 이순신의 파직, 이어서 칠천량 해전, 그리고 선조의 무슨 말을 하리오, 무슨 말을 하리오...[1]

그러나 이러한 세간의 인식과 달리 선조와 조정은 김덕령을 제외한 의병들은 대부분 불문에 붙여 풀어줬다. 김덕령이 죽음을 당한 건 그가 그 이전에 벌어진 송유진의 난에도 이름이 언급된 데다 공적은 없는데 살인 문제로 탄핵을 받던 상황에서 이몽학의 난 때 또 다시 이름이 언급되어 당시 법도로는 도저히 빠져나올 길이 없었기 때문이다. 김덕령은 당파를 가리지 않고 조정 중신들 다수가 구명을 하지 않았던 것도 선조의 의심병과는 상관없이 이미 운명이 결정되었음을 반증한다. 이는 송유진의 난 때 처형당한 이산겸도 마찬가지인데 이산겸은 군대를 일으키고도 싸움을 거의 벌이지 않아 류성룡을 비롯한 조정 중신들도 이산겸이 다른 꿍꿍이가 있는 것 아니냐고 강하게 의심하던 상황이어서 죽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몽학이 이 난을 일으킨 해가 공교롭게도 1596년, 병신이었다. 이몽학 丙申의 난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작품은 만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과 이를 원작으로 한 이준익 감독의 영화가 있다.[2]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에서는 본래 역사와 다르게 더 기괴하고 극적인 최후를 맞는데, 도성까지 반란군을 이끌고 올라가나, 임금이란 작자는 자기를 막던 선비들까지 베어죽이며 도성을 버리고 도망가고, 막상 도착해보니 쓰레기만 널린 버려진 도성 뿐인 상황에서, 일본군이 도성까지 치달아와서 도리어 ""반란군이 도성을 지키기 위해 왜구와 싸운다""라는 기괴한 상황이 벌여져 왜구를 막다가 전멸하고, 이몽학 자신은 반란을 막기 위해 자신이 베어죽인 장님 검객의 제자와 빈 도성에서 싸우다 베여 죽는 것으로 끝난다.
  1. 사실 이몽학의 난 이전까지만 해도 선조는 이순신의 후원자에 가까웠다. 애시당초 북방에서 이일의 장계를 받고도 백의종군으로 처벌을 낮췄고, 평소대로라면 수군절도사로 진급할 수 없는 낮은 계급이였던 이순신을 고집을 피우면서 까지 전라좌수사로 임명한게 선조였다.
  2. 영화판에선 정여립의 난과도 연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