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직

관련항목: 경술국치, 3.1운동

1 개요

李容稙

1852년(철종 3) ∼ 1932년

한줄 평: 친일은 하되 매국은 하지않다.

구한말의 문신. 경술국치 당시 학부대신의 직위에 있으면서 병합조약에 소극적으로나마 저항하였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치만(稚萬), 호는 강암(剛庵). 사과 승조(承祖)의 아들이며, 을사조약 때 분사(憤死)한 조병세(趙秉世)의 사위이다.

경술국치 당시 내각 회의에서 유일하게 반대 의견을 견지하다가 일본의 수해를 위문하는 특파사절 명목으로 파견되어 사실상 쫓겨났던 전력이 있으며, 한일합병이 결정된 어전 회의 당일에는 자택에 칩거하였다.[1] 내각 회의 당시 자리를 박차며 이완용에게 "칼침을 맞으려면 당신만 맞으시오. 난 그러고 싶지 않소."라고 했다.(참고로 이완용은 인력거를 타고 가다 이재명 의사에게 칼빵을 맞았다. 죽지는 않았지만 폐렴으로 죽을때까지 고생했다.)

하지만 그가 조약을 반대한 것만을 가지고 그가 반일주의자였다거나 독립운동가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는 일본이 조직한 친일 어용 유림조직인 공자교회(孔子敎會)[2]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며, 경술국치 이후에도 적극적으로 일본에 통치에 저항하지 않고 오히려 일제가 내려준 자작 작위를 받아들였고 성균관 부제학의 자리를 수락한 경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소극적으로 한국의 독립을 지지했던 것은 확실하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났을 때에는 김윤식과 함께 일본에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청원서를 제출했다가 작위를 박탈당했다. 덕분에 “선항일 후친일은 처벌하나 선친일 후항일은 처벌하지 않는다”라는 이유로 친일인명사전에서 김윤식[3] 함께 제외된다. 사실상 친일파이긴 하지만 매국노는 아닌 경우.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서의 서술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이용직 [李容稙]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용직
[ 李容稙 ]

이칭별칭
자 치만(稚萬), 호 강암(剛庵)

유형
인물

시대
근대

출생 - 사망
1852년(철종 3) ~ 1932년

성격
문신

성별

본관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대표관직(경력)
황해도관찰사, 학부대신, 경학원부제학


목차
정의
내용

정의

1852(철종 3)∼1932.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치만(稚萬), 호는 강암(剛庵). 사과 승조(承祖)의 아들이며, 을사조약 때 분사(憤死)한 조병세(趙秉世)의 사위이다. 1875년(고종 12)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설서·검열·정언·응교를 거쳐 사간·승지를 지낸 뒤 1890년 이조참의에 올랐다.

1892년 이조참판에 이어 대사성에 보임되고, 1894년 내무협판에 전임되었다가 송도유수로 나갔다. 이듬해 춘천부사로 전임되었다가 1897년 학부협판의 내직으로 전보되고, 다음해 참찬으로 승임되었다.

1900년 찬정(贊政)을 거쳐 1902년 비서경으로 보임되었다가 이어 황해도관찰사로 나갔으며, 이듬해 전라북도관찰사로 전임되었다. 1904년과 1909년 학부대신을 역임하였다.

1910년 한국이 일본에 강점된 뒤 일본정부로부터 자작의 작위를 받았으나, 1919년 3·1운동 때 경학원부제학 재직시 대제학 김윤식(金允植)과 함께 조선독립청원서사건으로 작위를 박탈당하였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청선고(淸選考)』
『독립운동사』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이용직 [李容稙]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 이완용이 그에게 어전회의가 있다는 걸 일부러 알리지 않았다는 말도 있다.
  2. “反儒매국의 공자교 - 이토가 뒷돈 대주며 親日전위부대로 이용”, 《종교신문》, 2004년 3월 18일 작성. 2008년 5월 29일 확인.
  3. 근데 김윤식은 그 이후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의장에 임명되기도 하였고 민족운동 분열에도 기여하여 문제가 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