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

1 상인

장사하는 사람. 군밤 장수, 호떡 장수 개장수등이 이에 해당한다.

2 將帥

군사를 거느리는 우두머리. ≒군장(軍将)·장(将)·장관(将官)·장령(将領). 북한에서는 몸집이 크고 힘이 뛰어나게 센 사람이란 뜻으로도 쓰인다. 현대의 장군, 제독과는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뉘앙스다. 왠지 장수라고 하면 말을 타고 선두에서 '나를 따르라!' 라고 외치며 돌격할 것 같은 느낌이다.

앞장서서 잘 싸우는-사람 많이 죽이는 경우엔 맹장, 용장 등으로 표현한다. 또, 우수한 전략전술과 지용을 겸비한 장수를 명장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장수풍뎅이, 장수말벌, 장수도롱뇽 등 이름 앞에 붙이는 경우에는 다른 것보다 더 큰 경우가 많으며, 보통 곤충에 많이 붙는다. 그 외에는 사용례가 거의 없다.

3 長壽

우리의 연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도

- 시편 90:10[1]

오래 사는 것, 비슷한 단어로는 만수가 있다. 반대말은 요절. 모두 이것 하라고 말하지만 정작 오래 산 사람은 싫어하는 것처럼 보인다. 현실에서는 평균적으로 여성평균 수명이 더 높은 편.[2][3]

고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인간의 대표적인 숙원. 근대 이전까지만 해도 인간의 평균 수명이 50~60세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래 사는 것이 매우 복된 것으로 여겼으며, 60세가 되면 환갑잔치를 열어 친척이나 동네 주민들이 축하해줄 정도였다.

요 근래들어 현대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80에 이르면서 90세이상 노인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100세이상 인구는 2015년 기준으로 약 5,500명이다. 주민등록 인구통계집계로는 15,000명이지만 변수가 많은 것이 이건 그냥 신분상의 나이를 통계로 내본것이다. 그러니 요즘세대와는 다르게 실제나이와 신분나이가 급격하게 차이나는(일례로 8-90세 이후 노인들 중 본인들의 부모나 부모형제의 호적을 물려받아 실제보다 신분나이가 30살 이상 많고 통계상으로도 그대로 등록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일들이 비일비재하다. 예로 만 보아도 이해가 될 것이다. 이 기사를 보면 아예 행정자치부에서 15,000명은 확실한것이 아니다라고 못박아두었다. 실제나이와 신분나이가 다르기도 한데 여기다가 사망신고부재나 거주자불명에 대해 구체적인 조사조차 이뤄지지않으니 많은수의 사망한 사람들이 아직도 통계에서는 살아있는것으로 집계되는 것이다. 실제 확인되는 100세인구는 2014년기준으로 4000명이 안되는 것. 이웃국가 일본에서는 2014년 기준으로 100세 이상 인구가 5만 8,820명으로 한국에 비해 확실히 많다. 자료 출처 동아일보 한국(5,000만명)보다 일본(1억2,000만명)의 인구가 더 많겠지만 그걸 감안해도 몇 배나 더 많다.참고로 일본의 100세 이상 인구는 2000년 기준으로 이미 12,000명이었다. 출처 통계청.
이는 한국이 장수인들이 터무니없이 적다기보단 일본이 많다는것으로 한 나라에 백세인구가 5만이 넘는 나라는 미국, 인도, 중국, 일본, 브라질 정도다. 그래도 실질적인 확인통계에서 한국이 인구수대비 적은편이긴한데 우리와 인구가 비슷한 남아공이나 스페인에서는 백세인구가 2만명 안팍이고 영국, 프랑스, 독일, 태국과같은 나라에선 2만5천~3만명 정도된다.

농담 삼아 욕 먹으면 오래 산다는 속설이 있지만, 물론 욕 안 먹고 좋은 일 하고 오래 사는 사람도 많으니 판단은 알아서 할 것.

어느 장수 마을에 가면 봉변을 당할 수 있다 카더라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은 장수 노인들을 지원하기 위한 조례를 제정한 바 있다. 고양시는 아예 '고양시 100세 인(人) 복지지원 조례'라는 것까지 만들었다.

3.1 장수한 인물

장수/목록 항목으로.

3.2 관련 문서

4 수능 삼수 이상의 N수

장수생 문서 참고

5 삼국지의 인물들

장수(삼국지) 항목 참조.

6 전라북도 장수군

해당 항목으로.
  1. 그런데 정작 이 시의 작자인 모세 본인은 120세까지 살았다고(신명기 34:7)(...).
  2. 2013년 기준 대한민국 남성의 평균 수명은 75.7-77.9세, 여성의 평균 수명은 82.8~84.6세이다.
  3. 2016년 기준 남성은 1939~1941년생, 여성은 1931~1933년생에 해당한다. 2-30대들의 조부모 연령대 정도된다고 보면된다.(물론 몇몇 일부 가정은 조부모와 부모가 과속을 했다면 조부모가 50대인 경우도 있으며, 1980년대만 해도 여성이 일찍 결혼을 해서 첫째가 딸일경우 마찬가지로 딸도 결혼을 일찍해서 40대 후반에 외할머니가 되는 케이스도 아주 드물게 있다. 부모가 막내일 경우 손자는 10대인데 조부모가 90대인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