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복

1 개요

download?fid=64224c8d9a9ea0e85f784ca2363a49cd&name=%C1%A6%B8%F1%20%BE%F8%C0%BD.jpg
문무백관들이 종묘사직에 제사지낼 때, 이나 신하가 천자에게 나아갈 때, 조회에 참여 할때, 혹은 경축일에 입던의복에서 후대로 갈수록 점차 입는 빈도가 줄어들었다. 시작은 이미 주대 유물에서 보여지는것에서 기원을 찾을수있으며 나라마다 특색이 있으나 공통적으로 규와 폐슬 패옥을 착용하였다. 이는 제왕이 입던 면복과 함깨 동양의 최대 예복이었다. 조복을 입을때 쓰는 모자를 조선에서는 금관이라고 불렀다.

1.1 춘추전국

download?fid=642244aa96924fae1e4645a36c66719e&name=136859029846912.jpg

(당대의 그림이 아닌 후대의 그림)

1.2

download?fid=642241b84448b5b8ec1241bab74441d4&name=1.jpg
고구려가 현도군에서 매년 조복을 받아갔다는 기록으로 볼때 고구려의 조복도 같은 양식이라 생각된다

1.3

144830612412017.jpg
당대 객사도

2 고려

download?fid=642241b84448b5b82ed341bab7446cd4&name=25_1-marry1992.jpg
고려의 경우 문헌에 세부 자료가 자료가 남아 있지 않으나(송의 영향을 받았지만), 불화등의 그림을 통해 복원

3

download?fid=642241b84448b5b8309241c7e06326e7&name=123a.jpg


144830322647082.jpg

4 명과 조선

download?fid=642241b84448b5b8d32541bab74468d4&name=2.jpg
명의 조복, 엄밀히 말하면 본 그림은 조복이 아닌 제복이다 하지만 색을 제외한 양식은 같다, 조복의 경우는 삼이 적색이다

금관과 조복 차림의 흥선대원군
윗 그림의 조선 조복들은 후기 복식으로 조선초기의 조복은 명나라와 유사하다[1]

5 일본?

download?fid=642241b84448b5b8615441bab744a2d4&name=DSCF0582121.jpg

일본의 경우 조복에 대한 자료가 좀 애매한데, 나라 시절 중국에서 전해진 복식에 기원을 두고 있다.

기록에 남은 양식에서 보듯이 상의의 모양세와 패옥등은 당나라의 영향[2]을 받았으며 바지의 모양새는 백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즉, 여러 양식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에다 독자적으로 예법과 의식을 제대로 소화해내지 못해, 점차 쇠퇴하여 후대로 갈수록 조복이 조잡하고 단순해졌으며 헤이안 시대 중반쯤가면 당에서 온사람이 일본의 조복을 보고 "당나라의 일상복을 입고 예의를 갖춘 조복이라고 한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1. http://p-pb.tistory.com/104 이곳에 들어가면 사이트 하단쪽에서 조선 초기의 조복을 볼수있다
  2. 후한대 양식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