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

(지리학과에서 넘어옴)
학과
(학과 이름순 목록 보기)
인문사회자연공학의학교육예술기타
학과 - 사회과학
일반사회계열국제학과문헌정보학과사회복지학과사회학과심리학과
커뮤니케이션학과(신문방송학과/광고홍보학과)경찰행정학과소방행정학과
법학과북한학과행정학과정치외교학과지리학과
상경계열경제학과(농업경제학과/금융보험학과)통계학과관광학과
경영학과(경영정보학과)무역학과세무학과회계학과
* 교육계열 학과 목록은 링크를 참조할 것
학과 - 자연과학
자연계열대기과학과물리학과생명과학과수학과지리학과
지질학과천문학과통계학과해양학과화학과
가정계열가정학과식품영양학과아동소비자학과의류의상학과식품조리학과
농업계열산림자원학과수산생명의학과조경학과축산학과
* 교육계열 학과 목록은 링크를 참조할 것

6145921_orig.jpg
Geography,[1] 地理學

1 개요

지리는 학문
인간과의 상호관계하에서 지상현상의 변화하는 공간적 관계를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과 관련된 학문[2]

한국 중등교육에서는 일반사회, 윤리, 역사와 함께 사회과의 한 과목을 구성하고 있으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중고등학교에서 지리학의 기본에 대해 접하게 된다. 수능에서는 사회탐구에서 한국지리, 세계지리의 두 과목을 선택하여 볼 수 있다.

보통 역사는 시간을 연구하는 학문이고, 지리는 공간을 연구하는 학문이라 하며, 왠지 추상적이지만 멋진 표현이 아닌가 시간과 공간은 떼려야 뗄 수가 없는 관계인지라 역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당시의 정황을 이해하는데 지리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된다. 실제로 일본의 교육과정에서는 지리과와 역사과가 지력과의 한 교과로 묶어서 다뤄지며[3] 프랑스의 고등학교 졸업시험인 바칼로레아도 지리와 역사를 한 과목으로 묶어서 시험을 치룬다.

미국지리교육학회(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NCGE)와 미국지리학회(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AAG)가 공동으로 특별위원회를 설립하여 여러가지 업적을 이뤘는데 여기서 그 자료 중 지리에 대한 기본 개념과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것을 보면 다음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1. 입지(Location) - 지표상의 위치(절대적(Absolute location), 상대적 위치(relative location))

2. 장소(Place) - 자연 및 인문적 특성들(자연적, 인문적 특성)
3. 장소들 내에서의 연관성(Human Environment Interaction) - 인류와 환경(환경에 따른 인간의 적응과 개발)
4. 이동(Movement) - 지구상에서의 인간의 상호작용(교통과 통신)
5. 지역(Region) - 어떻게 형성되며 변하는가(지리학 연구의 최소 단위는 지역이다)

정치학, 사회학 등과 같은 다른 사회과학 분야의 학문들과 다르게 지리학은 가치판단적인 분석보다는 객관적인 분석에 비중을 더 두는 경향이라 이 때문에 지리학이 자연과학(특히 지질학)에 가깝다고 평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2 주요 분과학문

대학 수준에서 지리학 전공을 하게 되면 여태 듣도 보도 못한 엄청난 수의 지리 과목들을 보게 될 것이다.
크게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으로 나누며, 인문지리학의 주요 분과 학문으로는 도시지리학, 경제지리학, 문화지리학, 인구지리학, 촌락지리학, 사회지리학, 역사지리학 등이 있으며, 자연지리학의 주요 분과 학문으로는 지형학, 기후학, 환경지리학 등이 있다. 또한 현대에 들어와 분석 방법으로 지리정보시스템 GIS가 주목 받는데, 구글 맵, 자동차 네비게이션과 같이 공간정보를 전산화하여 가공하고 분석하는 분야를 말한다. 이외에도 수많은 분과학문이 존재한다.

지리학은 지역지리와 계통지리로 나눌 수 있다. 지역지리는 고대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지리학의 전통분야로서, 이름 그대로 특정한 지역과 관련된 지리적 내용을 기술하는 분과이다. 계통지리는 지역지리에 대한 비판과 함께 찾아온 지리학의 위기에 나타는 분과로서, 특정한 지역의 지리적 내용을 기술하고 지역을 이해하는데 그치던 지역지리에서 벗어나, 기타 학문처럼 과학적 검증과 이론에 기반한 연구를 진행한다. 사실상 현재 대한민국의 지리학 관련 학과에서 가르치는 모든 강의가 계통지리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3 위상과 현황

학술지 사이언스에서 공간정보 분야를 바이오, 나노 테크놀로지와 함께 미래에 유망한 3가지 분야 중 하나로 꼽은 것처럼, 미국, 영국 등 서구 선진국에서 지리학은 주요 학문으로 학계와 사회에서 위상을 떨치고 있다. 대항해시대제국주의 시대, 유럽 열강에서 지리학은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새로운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필수적인 학문이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굉장히 위상이 높은 학문이었고, 그 전통이 아직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제국주의의 피해자였고 순수학문을 천대하는 분위기가 강한 한국에서의 위상은 그다지 높지 않으며, 문사철 분야의 학과 대부분이 그렇듯 전공을 살려 취업하기도 쉽지 않다. 물론 지금도 일선에서 많은 지리학자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지리학과가 개설된 대학이 달랑 9개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 한국에서는 여전히 마이너한 학문이다. 하지만 지리학 자체가 종합학문으로서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융합과 통섭이라는 현대 사회과학의 흐름에서 그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PS 등의 공간정보 기술이 발달하고 대중화 되고 있는데 이들 기술과의 연계성이 큰 지리학에서도 주목하고 연구하는 분야이다.

3.1 지리학 관련 학과가 있는 대학

지리학과/지리교육과가 모두 개설된 대학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지리학과가 개설된 대학

지리교육과가 개설된 대학

4 자연지리

5 인문지리/지역지리

6 기타

  1. 땅,지구를 뜻하는 어근 Geo와 기술하다, 묘사하다를 뜻하는 어근 Graph가 합쳐진 단어
  2. 사회학사전, 2000, 사회문화연구소
  3. 한국의 교육과정에서는 지리과, 역사과, 일반사회과가 '사회과'로 묶인다. (도덕과는 수능에서는 사회탐구 영역에 속하지만 교육과정에서는 엄연히 사회과와 분리된다) 최근 역사교육 강화 움직임과 맞물려 역사과는 사실상 단일 교과화 되고 있다
  4. 이과대학에 속해 있으나 문과생만 뽑는다.
  5. 모집단위가 문과와 이과로 나뉘어져 있다. 정원 중 반은 문과, 반은 이과에서 뽑는다.
  6. 15학년도 학부개편으로 폐과.
  7. 16학년도 학과 개편으로 모집중단.
  8. 2013학년도 수능을 끝으로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