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남

부모의 관점에서 본 자식 명칭
맏이외동딸장녀차녀3녀딸/4녀 이상고명딸막내
외동아들장남차남3남아들/4남 이상고명아들

1 개요

Car man
콩라인
次男
둘째 아들을 일컫는 말. 차남 이후부터는 3남, 4남 이런 식으로 순서를 나열하게 된다.

밑에 동생이 없어서 막내 포지션을 잡는다면 '귀여운 막둥이'로서 귀여움 받으며 모든게 주어진 형과는 달리 아부와 귀여움으로 얻어내는, 인간관계를 매끄럽게 만들 수 있는 온갖 스킬을 다 얻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밑에 동생이 있어서 막내 포지션을 빼앗기고 중간이 낑기는 경우 심히 골롬한 경우가 발생한다.(...) 장남은 집안 기둥으로서 장남이라고 나름의 위치가 있고, 막내는 귀여운 막내라는 위치를 차지하는 반면 그 사이에 끼인 차남은 상대적으로 뭐라 특징지을 만한 위치가 없기 때문에 소외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장남이나 막내가 사기적으로 능력이 뛰어나다면 부모님의 취급은 답이 없다하지만 부모가 아직 자식 키우기에 기력을 다쓴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괜찮은 편, 그러나 셋째나 넷째라면(...)...

한자어로는 버금 중(仲). 옛날 사람들 에 '중(仲)'자가 들어가면 대부분 둘째라고 생각하면 된다. 버금이란 단어 뜻 자체가 1등인 으뜸 다음이기에... 동탁이라든지(중영仲穎), 사마의라든지(중달仲達), 손권이라든지(중모仲謀), 하후패(중권仲權)라든지... 그런데 이름에 대(大)나 태(太)가 들어가면 위의 형이 해야 할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국내의 경우 항렬 잘 따지는 집안의 차남인 경우, 흔히 항렬자+ 민(敏), 아니면 현(鉉), 욱(昱), 그리고 중(仲) 등을 많이 쓴다고 한다.[1]그렇다고 다 그런것은 아니다...

일본에서는 차남의 경우 지로 또는 ●+지로라는 형태의 이름이 많다.[2]

유럽 중세시대에서는 가장 큰 억울함을 겪는 역할이기도 한다. 당시 유럽에서는 장남에게 모든 것을 물려주는 것을 전통으로 여겼기때문에, 둘째로 태어났단 이유로 유산을 한 푼도 못받았다. 그저 안습. 하지만 유산을 못받는건 나머지 형제들에게도 마찬가지.[3] (보통 차남은 군대를 지원하고 삼남은 성직자[4]가 되었다고 한다.) 영국의 왕가 차남에게는 '요크 공작'이라는 칭호가 주어진다.

2 차남인 인물

차남/인물 목록으로.
  1. ex) 유시민, 김민종, 송중기, 김대중(모르는 사람들도 많지만 그가 국회의원 되기 이전에는 中이 아닌 仲자를 썼다.) 등이 있다.
  2. 예외적인 사례로 다테 가에서 사용했던 이름인 토지로(藤次郎)는 '●+지로'의 형태이지만, 장남이 대대로 이 이름을 물려받았다.
  3. 물론 중세 초기에는 분할 상속이어서 유산을 받았다. 하지만 프랑크 왕국 분할 사건 등을 겪고 난 후 중세 유럽은 조선보다 더 철저한 장자 상속으로 돌아갔다. 고로 재산이 없으니 결혼도 못 했다. 결혼 하려면 자기가 돈을 모아 30대 후반쯤에 10대 중반 정도의 여인을 아내로 맞이해야 했다. 중세인 평균 수명이 40대 중반이었긴 한데 평균 수명의 함정을 생각해 보자.
  4. 주로 수도원장, 주교좌 자리가 돌아갔다. 못해도 영지 주임신부나 수도원 수련장 정도는 되었다. 물론 이는 교회 타락의 한 원인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