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의원 통상선거

参議院議員通常選挙

1 개요


극우정치인 아카오 빈(赤尾 敏, 1899년~1990년, 대일본애국당)의 골때리는 마지막 입후보 연설(1989)

일본에서 치러지는 선거 중 하나. 일본 국회상원에 해당하는 참의원을 뽑는 선거이다. 주로 7월의 세번째나 네번째 일요일에 치르게 된다.

2 상세

6년 임기의 참의원 의원을 3년에 한번씩 뽑게 된다. 그래서 총선이 아니라 통상선거라고 부르는 것이다. 즉 2007년에 뽑힌 사람들은 2013년에 선거를 하고, 2010년에 뽑힌 사람들은 2016년에 선거를 치르는 식.

참의원은 총리의회해산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중의원과 달리 6년 임기가 보장된다. 물론 공직선거법 위반 등으로 짤리면 재보궐선거를 하긴 한다. 3년에 한번씩 절반의 의원만 선거를 치르기 때문에 해당 선거로 새로 뽑히는 자리를 개선, 그렇지 않은 자리를 비개선 의석이라고 부른다.

3 선거방식

도도부현을 1개의 선거구로 하는 지역구 참의원 73석과 총 48석을 뽑는 비례대표 참의원으로 갈린다.

3.1 지역구

도도부현을 1개의 지역구로 하고, 인구에 따라 1명 소선거구제에서 2명~6명 중선거구제 선거로 나뉜다. 그래서 지지율이 높은 정당은 3인선거구에서부터는 2명 당선을 노리고 후보를 2명 내는 선거구가 많다.

지지율에 따른 참의원 선거 전략의 변화는 일본 민주당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집권정당으로 전성기를 달리던 시절의 민주당[1]2010년 7월 제22회 일본 참의원 통상선거에서 2인 선거구에서조차 후보를 2명 내긴 했었다. 2인 선거구에서 후보를 1명만 내면 자민당이 나머지 1석을 먹으면 본전이 되므로 후보를 2명으로 쪼개서, 기본정당표 17%+후보 각각 인물표 @라면 20%를 넘기면서 2인 전원 당선을 노린 것이다. 결과적으로 2명 싹쓸이 시도는 모두 실패했다.

민주당이 참패하고 정권을 내준 2012년 12월 제46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이후로 정치지형은 다시 자민당 극도 우위의 상황이 되었다. 자민당, 공명당이 연합공천한 후보의 지지율이 기본 35% 이상을 달리는 반면 민주당 정당 지지율은 7~15%로 역전되었다. 다만 실제 선거 결과를 보면 자민당을 제외하곤 다들 여론조사 지지율보단 정당비례득표를 좀 더 많이 받는 편이다. 여기도 여론조사가...

2013년 제23회 일본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43개 현 가운데 31개 현이 소선거구인 가운데 도쿄도(都)는 유일하게 5명을 뽑고, 오사카부(府)와 가나가와현은 4명씩 뽑았다. 3명 뽑는 곳이 간토사이타마, 치바주부아이치 세 곳이며, 나머지 10곳(홋카이도, 도호쿠미야기, 간토이바라키, 주부의 니이가카, 나가노, 시즈오카, 긴키교토부와 효고, 주고쿠히로시마, 규슈후쿠오카 현)이 2인 선거구였다. 즉, 소선거구제에서 31명, 중선거구제에서 42명을 뽑았다.

2016년 제24회 일본 참의원 통상선거에는 의석이 늘어나면서 지역구 73곳이 아래와 같이 개편되었다.

[6인 선거구] 도쿄 (+1)
[4인 선거구] 가나가와, 아이치(+1), 오사카
[3인 선거구] 홋카이도(+1), 사이타마, 치바, 효고(+1), 후쿠오카(+1)
[2인 선거구] 이바라키, 시즈오카, 교토, 히로시마
[1인 선거구] (소선거구제 지역) 나머지 32곳(기존의 31현과 미야기, 니이가카, 나가노 현(각각 -1). 31현 가운데 돗토리 현+시마네 현, 도쿠시마 현+고치 현은 선거구를 합쳤다.)

3.2 비례대표

석패율제가 시행되고 있지 않아 지역구 참의원 후보는 비례대표 참의원 후보로 나설 수 없다. 그리고 한국비례대표제와는 방식이 약간 달라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선거는 같지만 이 정당명부에 올라있는 비례대표 각 후보의 순위가 미리 정해져있지 않다. 중의원 총선거는 구속명부식이라 미리 다 정해져있지만, 참의원 선거는 정해져있지 않다. 그래서 어떻게 정하느냐로 넘어가면 좀 복잡해진다.

3.2.1 비례대표 후보 당선방식

일본 참의원 선거의 비례대표 선거는 불구속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이다. 이 선거제도 하에서는 사람들이 투표를 할 때 각 정당에 투표(투표용지에 당이름 적기)를 할 수도 있고, 당이 공천한 비례대표 후보 개인에게도 투표(개인이름 적기)를 할 수 있다. 그래서 정당이름 적힌 표와 정당의 후보 이름이 적힌 표를 합산한게 그 정당의 비례대표 득표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합산 수치로 비례대표에서 몇석을 얻을 것인가를 정한다.

그리고 이렇게 정해진 비례대표 의석 수에 들어갈 후보들을 정하는게 바로 후보 개인에 던져진 표다. 정당 이름을 적어서 낸 사람은 영향을 끼칠 수 없고, 각 후보 개인 이름을 적은 사람들의 표를 모아서 많이 받은 순서대로 순위를 정해 당선시킨다. 그런데 어떤 후보가 엄청 유명인이라 표를 엄청나게 받아서 1명 당선분의 정당득표보다 더 많다면? 그러면 그 사람의 유명세를 이용해 다음 사람이 비례대표 의원에 당선되기도 한다. 2013년 기준으론 일본 참의원 선거 역사에서 딱 세 번 나왔지만 있긴 있었다.

그래서 이렇게 사람을 뽑는 일본 참의원 비례대표 선거제도 하에서는 인기인을 데려와서 얼굴마담으로 내세워 비례대표 표를 늘리려는 선거전략이 작동한다. 일본 유신회가 떨어지는 인기를 붙잡아보려고 안토니오 이노키를 데려온 것이 대표적인 사례.

4 목록

5 참고항목

  1. 선거 직전인 2010년 6월 NHK 정당 지지율 조사 기준 민주당 34.3% 자민당 15.8% 였다. 지금과 비교하면 격세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