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初等學校/Elementary School, Primary School, Grade school

대한민국의 교육기관
유아교육기관초등교육기관중등교육기관고등교육기관평생교육기관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 / 특수대학대학원 / 전문대학원평생교육원
특수학교전문대학
초ㆍ중등교육법 제38조(목적) 초등학교는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개요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교육 체계에서 가장 기초적인 교육을 하는 초등교육기관이다. 한국은 한자문화권 국가에서 초등교육기관명이 '소학교(小學校)'가 아닌 유일한 경우이다.[1]

2 현황

2.1 한국

과거에는 일제강점기일제가 일본제국에 충성하는 국민을 만든다 하여 국민학교라고 불렸으나 1996년부터 초등학교라고 불리게 되었다. 공식적으로 명칭은 1995년에 폐지가 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1996년이 되어서야 완전히 폐지된다.[2] 참고로 최근의 아래아 한글에서 국민학교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초등학교로 변환된다. '초등학교'라는 명칭이 채택된 자세한 이유나 과정은 국민학교 문서를 참조할 것.

교육과정은 6년이며, 첫 의무교육 코스이다.(다만 특수교육대상자로 지정된 장애인은 유치원과 고등학교 과정도 의무교육이다.) 우리나라의 의무교육은 원래 초등학교 6년이다가 1989년생이 중학교에 입학할 무렵인 2002년부터 중학교의 3년 교육과정이 추가되어 현재의 의무교육 기간은 9년이다.[3]

한국에서는 간혹 초등학생을 초딩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비하의 이미지가 담겨있는 뜻이다. 몇몇 개념이 박힌 초등학생을 부를 경우, 이름을 아는 아이라면 이름으로 불러주든가 아니면 그냥 초등학생이라고 부르자. 그런데 가끔씩 이런 애들이 사춘기가 더 빨리온다.(...) 정신적인 성장이 빠른듯

여담으로 저학년 초등학생들도 그렇지만 초등학교 5학년부터는 성인이 되어서의 자아 형성에 가장 중요한 시기에 포함된다.[4] 따라서 이 시기부터는 초등학생이어도 다루는 데 주의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

공립초등학교는 지역 학군에 따라 무조건 배정받는 형식이지만[5] 국립초등학교와[6] 사립초등학교는 별도로 입학신청을 받아서 추첨제로 신입생을 선발하며, 사립 초등학교는 국공립 초등학교와는 달리, 학비를 받는다.[7]

한국의 초등학교는 대부분 그 특성상 공립인 경우가 절대 다수다. 사립초등학교는 대부분 서울이나 광역시 등 대도시에 몰려있고 그나마도 상기의 주석대로 여러 비용이 많이 들어가서 어느정도 여유가 있는 가정이 아니면 보낼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사립초등학교는 현재 국내에 76개 학교가 있다. 이 중 절반 이상인 39개교가 서울 한곳에 몰려있다.

당연하겠지만 공립초등학교의 학생은 많은 경우 다수가 같은 동네 애들이다. 그리고 동창회도 있다. 그런데 성인이 되어서는 계속 친한 사람들하고는 어차피 교류를 계속 하는데다가, 초등학교 중학교 나이는 너무 어릴 때기 때문에 고등학교나 대학 동창회에는 참석해도 초등학교 중학교의 동창회에는 참석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 특히 초등학교 동창회는 최근에 생긴 학교일수록 없어지는 추세다.

한국의 초등학교는 전부 남녀공학이다.[8] 다만 시골에는 학생 수 감소로 무늬만 남녀공학이고 실질적으로는 단성학교인 곳도 소수 존재한다.

그리고 북한의 초등학교는 정부수립 이래 60년 동안 인민학교란 호칭을 유지하고 있었고 또 이것이 초등학교에 대응하는 개념이라고 잘 알려져 있지만 2002년 9월부터[9] 9월 학기제를 4월 학기제로 개정하면서 인민학교는 소학교로, 고등중학교는 중학교로 개칭했다. 10년이 넘었는데 남한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심지어 정부 문건이나 언론사에서도 아직도 인민학교/고등중학교라고 쓴다. 북한에 대한 무관심의 증거 중 하나. 여타 초등교육기관과는 달리 교과과정이 4년밖에 되지 않는다. 대신 북한에서는 유치원 높은반이 의무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그래도 5년밖에 안된다. 그러다가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4년에서 5년으로 교과과정이 늘어났고 중학교도 초급중학교(중학교), 고급중학교(고등학교)로 분화되었다. 중국을 모방한 것일지도?[10]

2.2 외국

중화권일본 등에서는 모두 소학교라고 한다. 베트남에서는 장소학(場小學[11])이라고 하는데, 어찌됐든 "소학"자가 들어간다는건 똑같다.

한국의 초등학교는 위에서 말한대로 전부 남녀공학이지만 일본에는 드물게 남자/여자 사립 초등학교도 있는 모양이다.

뉴질랜드는 아이의 5세 생일날이 유치원 졸업식 날이며 그 다음날에 초등학교에 입학한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는 입학식이 없고 1년 내내 입학생을 받는다. 만약 초등학교 입학일이 주말이거나 공휴일이면 그 다음주에 하고 12월 말에서 2월 초까지는 여름방학인 탓에 12월 말이나 1월에 태어난 아이들은 2월에 입학을 한다.

미국은 지역마다 초등학교의 학년 수가 다르다. 5-3-4제를 채택한 지역은 5년, 6-3-3제나 6-6제를 채택한 지역은 6년, 8-4제를 채택한 지역은 8년 간 다닌다.

칠레는 중학교 없이 초등학교를 8년간 다닌다.

핀란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합친 종합학교가 초등학교 역할을 한다. 교육 기간은 9년이다.

3 초등학교 교사

초등학교 교사는 모든 과목을 한 교사가 다 가르칠수 있어야 하므로 초등교육과(특수교사는 초등특수교육과)를 나와야한다. 즉 교대를 나와야하며(사범대에는 초등교육과가 없다.) 한국교원대, 이화여대에도 초등교육과가 있다. 예전에는 담임이 모든 과목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일부 교과목은 교과 전담 교사를 배정해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4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목록

해당 문서를 참조.

5 초등학교를 무대로 한 작품

6 픽션의 초등학교

가상의 교육기관 문서를 참조.

7 관련 문서

  1. 4년제 고등교육기관명 역시 다른 한자문화권과 따로 간다. 모두 대학이란 명칭을 쓰는데 한국만 대학교라는 명칭이 존재한다. 한국에서 학교 이름에 '대학교'가 아닌 '대학'이라는 말이 붙는 유형으로 전문대학이 있었으나, 근래에 법이 개정되어 대학 또는 대학교의 명칭을 자유롭게 선택할수 있으며, 기존의 인식 때문에 대부분 '대학교'로 바뀌는 추세.
  2. 여담으로, 처음으로 초등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은 1991년 3월에 국민학교에 입학해서, 1997년 2월에 초등학교를 졸업한 1984년 3월~1985년 2월생,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민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이 1990년 3월에 국민학교에 입학해서, 1996년 2월에 졸업한 1983년 3월~1984년 2월생이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공식적으로 마지막으로 국민학교로 입학한것은 1988년 3월~1989년 2월생, 그래서 이들을 2002학번~2007학번 세대로 불리며 이해찬 세대라고 부르거나 중학교도 의무교육없이 돈내고 다니던 세대(1988년 3월생~1989년 2월생 출생자인 2007학번까지는 중학교가 의무교육이 아니어서 비싼 수업료를 내고 중학교에 다녔음) "국초딩 세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처음으로 초등학교에 입학을 한 사람들은 1989년 3월~1990년 2월생이다.
  3. 2004년에 1989년생들이 중학교 3학년 무렵에 중학교까지 의무교육이 확대되고, 7차 교육과정이 완료됨.
  4. 고등학교 때까지가 미성년자지만 큰 틀은 고등학교 2학년이 될 때쯤이면 대부분 완성된다. 고등학교 2학년(16~17) 때부터 20살 때까지는 마무리 단계.
  5. 이로 인해 타 시/도 접경지역에 사는 아이들의 경우 타 시/도에 있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일이 생긴다. 예를 들면 부산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에 사는 아이들이 경남 양산에 있는 영천초등학교에 배정된다던지 등. 다만 이 경우 부산시 거주 학생에 한해 부산교육청 관련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주어지는 경우가 있다.
  6. 모두 다 국립대학교 사범대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다.
  7. 이외에도 교복값이나 스쿨버스비 등 여러가지 돈이 많이 들어간다. 그래서인지 일명 귀족 초등학교라고도 부른다.
  8. 다만, 1980년대까지만 해도 형태만 남녀공학이고 4학년부터는 남녀를 분반하는 학교가 많았다.
  9. 중국과 북한은 새학기가 9월부터이다. 즉, 8월이 졸업할 시즌.
  10. 중화권에서 중학교는 초중학교, 고등학교는 고중학교라고 부른다.
  1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원어 발음은 쯔엉티에우혹(trường tiểu học).
  12. 시골이라 학생 수가 적어서 중학교까지 합쳐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