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305px

qMV1yE17CEDgO9kWS33J7IQS.jpg
삼라만상의 진리를 꿰뚫어보시는 분...

1 소개

알면 사랑한다.[1]

대한민국의 동물행동학자. 통섭학자.[2]

1954년 출생으로, 서울대 교수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현재는 이화여대 대학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이자 국립생태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개미학자로도 잘 알려져있다.

2007년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를 지내며 환경운동에도 관여한 바 있다.

책을 여러 권 쓰기도 했으며, 과학관련 도서의 번역도 여러권 했다. 과학 저술가치고는 글을 참 맛깔나게 잘 쓰는데 소싯적에 작가 하려고 한 그 필력 덕분인듯.[3] 에드워드 월슨의 《통섭》[4]을 번역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또한 개미제국의 발견은 중학교 2학년 국어교과서에 실려있었으나, 개편되면서 사라졌다. 다만 창비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그의 강의 내용이 실려있다. 또한 지학사 고등학교 1학년 국어 1 교과서 1단원에 과학자의 서재가 수록되어 있다.

제자로 장대익이 있다고 알고 있는 이들이 많으나, 박사논문 심사위원 중의 한 명이었을 뿐이다.

EBS 지식채널 e에도 나왔던 생물학자와 기자에 관한 이야기[5]의 당사자. 실제로 최 교수가 겪은 실화이며 그의 저서에도 나와있다.

스티븐 제이 굴드가 강의 도중 어떤 학생과 라틴어로 10분이 넘게 문답을 주고받은 적이 있다고 한다. 당시 수강생이었던 최재천 교수는 굴드와 그 학생이 자기들만 알아듣는 말로 시간을 끄는데 화가 나서 강의실을 박차고 나갔고, 굴드는 다시는 오지말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쳤다고 한다.[6]

수필인 '황소개구리와 우리말'이 고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실렸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로 호주제 폐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게 있다. 당시 최재천 교수는 헌법재판소에 "세포가 사용하는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미토콘드리아DNA는 온전히 암컷으로부터 온다. 생물의 계통을 밝히는 연구에서는 철저하게 암컷의 계보를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호주제의 근간으로 치부되는 부계혈통주의는 생물계에서는 있을 수 없는 주장이다."라는 성명문을 제출하여 호주제 폐지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이 공로로 최재천 교수는 2004년에 남자로서는 최초로 올해의 여성운동상을 수상하였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사실로부터 당위를 도출해내는 전형적인 자연주의의 오류라는 주장도 있다[7]. 최재천, 호주제 그리고 자연주의적 오류

민벌레사육에 최초로 성공했다.

2 이력

2005년 이전 약력은 이쪽 참조

3

3.1 저서

  • 개미제국의 발견 (1999)[8]
  •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2001)
  • 여성시대에는 남자도 화장을 한다 (2003)
  • 열대예찬 (2003)
  • 나의 생명 이야기 (2004, 황우석, 김병종 공저)
  • 대담 (2005, 도정일 공저)
  • 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 (2005)
  • 최재천의 인간과 동물 (2007)
  • 지식의 통섭 (2007, 주일우 공저)
  • 생태학자 최재천의 세상보기 알이 닭을 낳는다 (2007)
  • 21세기 다윈혁명 (2009, 강호정, 김상인, 김성한, 김용학 외 공저)
  • 상상 오디세이: 변화를 포착하는 미래 통찰력 (2009)
  • 과학자의 서재 (2011)
  • 통섭의 식탁 (2011)
  • 최재천스타일 (2012)
  • 통찰 (2012)
  • 다윈 지능 (2012)
  •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 (2014)

3.2 번역서

  •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 (1999)
  • 인간의 그늘에서 (2001)
  • 음악은 왜 우리를 사로잡는가 (2002)
  • 제인 구달의 생명 사랑 십계명 (2003)
  • 인간은 왜 늙는가 (2005)
  • 우리는 지금도 야생을 산다 (2005)
  • 통섭 (2005, 장대익 교수와 공역[9])
  • 무지개를 풀며 (2008, 김산하 공역)

4 어록

제발 학생들 인문계자연계로 나누지 마라.[10]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박탈하는 폭력이다. 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아이들을 바보로 만드나?
대학 1학년 들어오면 무조건 휴학시키자. 세상에 나가서 뭘 배워 왔는지, 그걸로 학점 주자.
제발 정자세로 앉지 좀 마라, 지겨워 죽겠다. 두 시간 넘게 앉아 있는데 좀 삐딱하게 앉으면 안 되나?
교수 말 잘 듣는 학생이 제일 싫다. 교수 좀 기분 나쁘게 하는 녀석 하나 없는 게 정말이지 굉장히 기분 나쁘다.
이룰 수 없는 꿈은 있을지 몰라도 쓸모 없는 꿈이란 건 없다. 그래서 젊음의 방황은 아름답다.
생명은 정녕 그 모습이 어떻든 아름다울 수밖에 없다.
아프면 청춘이라는 모 학자보다 훨씬 따뜻하고 공감되는건 기분 탓이 아니다.
  1. 그를 상징하는 말 그 자체. 그와 관련된 저서에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2. 본인이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서 사실 통섭학자라는 말은 '틀린 말'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3. 그의 저서 <과학자의 서재>에서는 본래 문과로 가려고 했다고 한다.
  4. 통섭이라는 말 역시 그가 최초로 사용했다.
  5. 생물학자는 탐사 도중 반딧불이들을 발견하고 서식지 보호를 위해 이 사실을 숨긴다. 반면 기자는 멸종위기종 호사도요의 발견지를 기사로 쓰고 알린다. 서식지 훼손이 염려된 학자는 기자에게 우려의 말을 전했는데, 기자는 그의 생각을 이미 알고 훼이크로 엉뚱한 곳을 알렸다는 이야기.
  6. 참고로 어느 강의에서 굴드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깐 적이 있다. 자기만 잘난 줄 아는 사람이라 같이 있으면 유쾌하지 않다나.
  7. 다만 해당 매체의 편집장이 변희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은 감안하고 읽어야 한다. 즉 정치적 입장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 링크
  8.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를 언급했다. '개미와 말한다' 부분이 중2 국어 교과서에 실렸다.
  9. 그러나 최재천 교수 본인이 워낙 유명해서 장대익 교수가 묻혀버렸다.
  10. 이는 실제로 최재천 교수 본인의 지론인 "통섭"과도 밀접하게 연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