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미군/건물

상위항목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미군

1 개요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독일국방군의 티어건물과 야전 방어물을 설명하는 문서다.

2 티어 건물

동독은 1티어부터 4티어까지 티어를 업그레이드를 하고나서 올라가는 전투 수행 단계(Battle Phase) 시스템으로 초반부터 1티어를 지을수 있지만 2티어부터는 전투단 본부에서 티어를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건물을 지어야한다. 배틀 페이즈 시스템은 전작의 국방군의 이어받았다고 할수가 있는데 동독입장에서는 전선에서 열심히 활동하는 파이오니어(공병) 분대를 후방으로 빼내서 건물을 짓는 것도 부담스러운데 티어 업그레이드의 비용도 만만치 않아 동독의 치명적인 단점으로 꼽힌다.

동독의 건물들은 하나같이 동부전선의 열악함과 야전성을 보여주듯이 땅을 파서 지하를 만들고 나무로 이용해서 가건물을 만드는 형태를 쓰인다. 동부전선의 독일군 사진을 보면 꽤나 적절한 고증을 보여준다.

2.1 전투단 본부(Kampfgruppe Headquarters) (0티어)

파일:콯2 동독 0티어 전투단 본부.png
기본 초상화

동독의 핵심 건물로 기본적으로 건설 되어 있으며 보병들의 퇴각시 기본 집결 장소이다.
공병 분대와 MG42 중기관총 분대를 생산할수 있고 전투 수행 단계(Battle Phase) 업그레이드를 할수 있다.

2.1.1 유닛

공병 분대(Pioneer Squad) (0티어)

MG42 중기관총 운용반(MG42 Heavy Machine Gun Team) (0티어)

2.1.2 업그레이드

전투 수행 단계(Battle Phase) 1단계

전투 수행 단계(Battle Phase) 2단계

전투 수행 단계(Battle Phase) 3단계

2.2 보병 중대본부(Infanterie Kompanie) (1티어)

파일:콯2 동독 1티어 보병 중대본부.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80 파일:콯2 기름 이미지.png기름 10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동독의 1티어 건물로 기본 건설이 가능하다. 건설자원은 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80 파일:콯2 기름 이미지.png기름 10이 소모된다.

척탄병 분대와 GrW 34 8cm 박격포 분대, 저격수를 생산할 수 있다.

2.2.1 유닛

척탄병 분대(Grenadiers) (1티어)

8cm GrW 34 박격포 운용반(GrW 34 Mortar Team) (1티어)

저격수 (Sniper) (1티어)

2.3 경무장 기계화 중대본부(Leichte Mechanized Kompanie) (2티어)

파일:콯2 동독 2티어 경무장 기계화 중대본부.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200 파일:콯2 기름 이미지.png기름 20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전투 수행 1단계(Battle Phase) 업그레이드

동독의 2티어 건물로 전투 수행 1단계(Battle Phase) 업그레이드 후 건설 가능하다. 건설자원은 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200 파일:콯2 기름 이미지.png기름 20가 들어간다.

기갑척탄병 분대, 251형 반궤도 장갑차, 222형 정찰 장갑차, Pak 40 대전차포를 생산할 수 있다.

2.3.1 유닛

  • [[]]

기갑척탄병 분대 (Panzergrenadiers) (2티어)

  • [[]]

Sd.Kfz. 251 반궤도차량 (SdKfz 251 Half-track) (2티어)

  • [[]]

Sd.Kfz. 222 정찰차량 (SdKfz 221 Scout Car) (2티어)

  • [[]]

7.5cm PaK 40 대전차포 (Pak 40 7.5cm Anti-tank Gun) (2티어)

2.4 기갑 지원 군단 사령부 (Support Armor Korps) (3티어)

파일:콯2 동독 3티어 기갑 지원 군단 사령부.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240 파일:콯2 기름 이미지.png기름 60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전투 수행 2단계(Battle Phase) 업그레이드

동독의 3티어 건물로 전투 수행 2단계(Battle Phase) 업그레이드 후 건설 가능하다. 건설자원은 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240 파일:콯2 기름 이미지.png기름 60가 들어간다.

3호 돌격포 G형, 4호 대공전차 오스트빈트, 4호 전차를 생산할수 있다.

2.4.1 유닛

  • [[]]

스터그 3호 돌격포 G형 (StuG III Ausf. G Assault Gun) (3티어)

  • [[]]

오스트빈드 4호 대공전차 (Flakpanzer IV Ostwind) (3티어)

  • [[]]

4호 전차 (Panzer IV Medium Tank) (3티어)

2.5 중전차 군단 사령부 (Heavy Panzer Korps) (4티어)

파일:콯2 동독 4티어 중전차 군단 사령부.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200 파일:콯2 기름 이미지.png기름 50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전투 수행 3단계(Battle Phase) 업그레이드

동독의 4티어 건물로 전투 수행 3단계(Battle Phase) 업그레이드 후 건설 가능하다. 건설자원은 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200 파일:콯2 기름 이미지.png기름 50이 들어간다.

판처베르퍼 42, 4호 강습전차 브룸베어, 5호 전차 판터를 생산할수 있다.

2.5.1 유닛

  • [[]]

4호 돌격전차 브룸베어 (Sturmpanzer IV "Brummbär") (4티어)

  • [[]]

5호전차 판터 (Panther PzKpfw V Medium Tank) (4티어)

  • [[]]

판저베르퍼 42 다연장 로켓발사기 (Panzerwerfer 42 Multiple Rocket Launcher) (4티어)

3 야전 방어물

3.1 기본 야전 방어물

3.1.1 벙커(Bunker)

파일:콯2 동독 기본 야전 방어물 벙커 생산 버튼 초상화.png파일:콯2 동독 기본 야전 방어물 벙커 기본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150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공병 분대과 척탄병 분대, 강습척탄병 분대, 동방부대 분대로 건설 가능한 야전 건물로 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150이 소모된다.

보병 1분대가 배치 가능하고 자체적으로 기본 시야와 두꺼운 장갑을 가지고 있어 초중반 취약한 우회로나 부가적인 공격 방향에 배치하여 차단할 수 있다.

단점으로 사격 방향이 전방으로 한정이 되어 있어 우회 하면 막을 수 없고 보병들의 소화기에는 거의 피해를 없지만 박격포와 대전차포, 야포 같은 중화기에 쉽게 파괴당한다.

건설 할때 땅에 지정하고 마우스로 방향을 정할 수 있고 건설도중 공격을 받으면 데미지 2배 패널티에 소화기에 피해를 입는다.

기본 상태의 벙커는 3가지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업그레이드 이후 다른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하다. 모든 업그레이드시 기본시야가 확장한다.

MG 중기관총 (MG42 Heavy Machine Gun) (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 탄약 60) : 벙커안에 MG 중기관총 한정과 기관총 사수 한명을 배치 하여[1] 다가오는 적을 화력으로 제압시킨다. 다만 화력 방향이 전방으로 한정이 되어 있어서 벙커 옆쪽으로 우회하는 적을 사격할수가 없다. 적이 우회하기 어려운 우회로 쪽이나 중요한 거점의 후방에 지어놓으면 효율적이다.

의무병 구호소 (Medic Station) (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탄약 60) : 벙커 위쪽에 빨간색의 바탕에 하얀색 적십자가 그려지고 주위에 적십자 완장과 방탄모를 쓴 의무병 3명이 배치된다. 의무병은 조작이 불가능하고 죽어도 시간이 지나면 자동 충원되며 체력이 없는 보병 근처에 다가가 치료해주는 행위를 하면서 체력을 회복시킨다. 대기하는 보병을 치료하기 위해 본부 옆이나 지휘소 근처에 건설하여 충원과 치료를 동시에 할수 있다. [2]

지휘소 (Command Post) (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탄약 60) : 판자막이의 양옆쪽으로 판자막이가 추가로 생성되고 중앙의 판자막이에 철십자가 그려진다. 벙커의 범위내에 아군 보병을 충원이 가능하며 최전선의 후방이나 유닛 보정에 움직일 수 가 없는 PaK 43 중(重)대전차포이나 10,5cm leFH 18 곡사포 근처에 건설하여 충원을 할수 있다. 의무병 구호소와 상성이 좋다.

지휘소와 의무병 구호소를 같은 위치에 건설하면 충원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하고 업그레이드 이후에도 보병을 배치 가능하여 MG42 중기관총 분대를 배치를 해서 화력지원을 해줄 수 있다.

3.1.2 철조망(Razor Wire)

파일:콯2 동독 기본 야전 방어물 가시 철조망 생산 버튼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무료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공병 분대으로 건설 가능한 야전 구조물로 무료로 건설한다.

보병이 통과할 수 없는 원형 철조망으로 자원이 들지 않아 부담 없이 쓸수 있고 초중반 화기반의 우회기습을 막기 위해 우회로나 좁은 골목길이나 숲길을 봉쇄 할수 있다. [3]

하지만 철조망 한망씩 설치하는데 3초씩 걸려 기습당할시 건설 패널티로 공병 분대가 위험하고 공병의 철조망 제거 도구나 폭팔물로 해체가 가능하며 차량과 전차는 깔아뭉개면서 통과하니 주의하자.

건설 할때 땅에 지정하고 마우스로 길이을 정할 수 있고 건설도중 공격을 받으면 소화기에 파괴된다.

팁으로 철조망으로 건물 입구를 막아버리면 중립 건물에 생성하는 유닛이 나오자마자 막혀버려 쩔쩔매는걸 볼수 있다. 이때 수류탄과 중화기로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적 방향쪽의 엄폐물에 철조망을 해놓아 적 유닛이 엄폐 효과를 받을수 없게 하거나 철조망 근처에 지뢰를 설치해서 다가오면 폭팔하게 만들수 있다.

3.1.3 모래 주머니(Sandbags)

파일:콯2 동독 기본 야전 방어물 모래주머니 생산 버튼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무료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공병 분대으로 건설 가능한 야전 구조물로 무료로 건설한다.

보병이 엄폐 할수 있는 모래주머니으로 자원이 들지 않아 부담 없이 쓸수 있고 개활지나 기타 엄폐물이 없는 지역에 설치해서 엄폐 효과로 전투의 효율성을 높인다.

하지만 모래주머니 한블럭이 철조망 한망보다 작으면서 건설시간까지 길고 건설패널티까지 있어서 안전한 상황이 아니라면 짓기 힘든게 단점이다. 철조망과 마찬가지로 폭파물과 차량과 전차의 기동에 파괴된다.

건설 할때 땅에 지정하고 마우스 드래그로 길이를 정할 수 있으며 건설도중 공격을 받으면 소화기에도 파괴된다.

팁으로 길게 짓는거보다는 4블럭~5블럭만 건설해도 동독 분대 편제상 모두 엄폐효과 받을수 있기 때문에 짧게 많이 건설 하는게 효과적이다.

3.1.4 텔러 대전차 지뢰(Teller Mines)

파일:콯2 동독 기본 야전 방어물 텔러 지뢰 생산 버튼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탄약 50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공병분대으로 매설 가능한 대전차 지뢰로 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탄약 50이 소모된다.

보병에게는 반응하지 않고 차량이나 전차에만 반응하여 기폭하는 대전차 지뢰로 데미지가 막강해서 차량은 한방에 폭사하고 전차는 빈사상태에 엔진이 파손되어 파괴당하기 쉽게 만든다. 생각보다 빠른 시간에 매설할 수 있는게 장점이다.

다만 동독의 자원 특성상 탄약 50은 성능이 뛰어나지만 마구 매설하기 부담스럽고 우연찮게 날라온 폭팔물에 기폭할수 있다. 타 진영 공병 분대가 장애물 제거 도구를 쓰면 탐지 되어 해체 될 수 있다는게 치명적인 단점이다.

건설 할때 지면에 지정하면 공병 분대가 알아서 매설하지만 그후 자리를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미연의 방지로 쉬프트 키를 눌러 매설즉시 이동하게 만들수 있다.

팁으로 전차나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인 도로나 넓은 우회로에 매설 하는게 효과적이고 상대방의 지역에 매설 하는 것보다 자신의 지역에 매설하는게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패치로 지뢰 기폭시 분대의 2명이상 폭사가 불가능하지만 텔러 대전차 지뢰는 영향을 받지 않아 후술할 S- 대보병 지뢰와 연계해서 매설하면 효과적으로 분대를 섬멸할 수 있다.

3.1.5 S - 마인 대보병 지뢰 지대(S-Mine Field)

파일:콯2 동독 기본 야전 방어물 S-Mine 지뢰 지대 생산 버튼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한 군데당 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탄약 15, 총 네 군데 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탄약 60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공병분대으로 매설 가능한 대보병 지뢰들로 한 군데당 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탄약 15 씩 소모되고 네 군데 총 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탄약 60이 소모된다.

보병[4] 에 반응하여 기폭하는 대보병 지뢰로 독특하게 타 진영의 지뢰는 텔러 대전차 지뢰처럼 한군데에만 매설하고 한개로만 구별되지만 S - 대보병 지뢰는 동서남북 4군데에 각각 4개의 지뢰로 이루어져 있다는게 특징이다. 그리고 다른 지뢰와 다르게 매설하고 해골표식 말뚝을 박는게 특징.굉장히 귀엽게 그렸다.

이러한 특징은 거점이나 적 보병들이 몰려올수 있는 개활지 지역에 광범위적 매설이 가능하고 자신의 상황과 입맛에 따라 매설 범위를 설정 할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다만 다른 대보병 지뢰와 다르게 데미지가 적어 한번 기폭으로는 사살할 수 없고 기폭 즉시 안전한 반대편으로 나오면 적에게 해골표식 말뚝이 노출되어 지뢰 지역이란게 들켜 장애물 제거 도구를 쓰면 탐지 되어 해체 될 수 있다는게 단점이다.

건설 할때 지면에 지정하면 공병 분대가 알아서 매설하지만 그후 자리를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미연의 방지로 쉬프트 키를 눌러 매설즉시 이동하게 만들수 있다.

팁으로 동서남북 4군데에 지뢰를 매설 하는데 매설 도중 취소하면 이미 매설된 지뢰를 제외하고 나머지 탄약을 받을수 있으니 한군데에만 매설하고 싶다면 이런 방법도 추천한다. 다만 매설 조건이 지뢰를 4군데를 심는다는 가정하의 탄약 60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극초반부터 탄약 15로 매설할 수 없다.

패치로 지뢰 기폭시 분대의 2명이상 폭사가 불가능하지만 S - 대보병 지뢰는 영향을 받지 않아 텔러 대전차 지뢰와 연계해서 매설하면 S - 대보병 지뢰의 기폭 데미지로 텔러 대전차 지뢰가 기폭되어 주위 적 보병들을 몰살 시킬수 있다.

3.2 특정 교리 야전 방어물

3.2.1 참호 (Trench)

파일:콯2 동독 특정 교리 야전 방어물 참호 생산 버튼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무료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3.2.2 전차호 (Hull Down)

파일:콯2 동독 특정 교리 야전 방어물 전차호 생산 버튼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무료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3.2.3 전차 장애물 (Defensive Fortifications)

파일:콯2 동독 특정 교리 야전 방어물 전차 장애물 생산 버튼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무료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3.2.4 리겔 대전차 지뢰 (Riegel Anti-Tank Mine)

파일:콯2 동독 특정 교리 야전 방어물 리겔 대전차 지뢰 생산 버튼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파일:콯2 탄약 이미지.png탄약 50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3.2.5 PaK 43 88mm 대전차포 (Pak 43 88mm AT Gun)

파일:콯2 동독 Pak 43 8.8cm 대전차포 분대 생산 버튼 초상화.png파일:콯2 동독 Pak 43 8.8cm 대전차포 분대 기본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500 파일:콯2 인구수 이미지.png인구 10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특정 교리 선택시 공병분대으로 건설 가능한 고정식 대전차포로 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500 파일:콯2 인구수 이미지.png인구 10이 소모된다.

최고의 성능을 가진 대형 야포급의 크기를 갖춘 대전차포 답게 강력한 데미지와 높은 관통력, 긴 사거리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차량은 한방, 중형전차는 2~3방, 중전차는 4발으로 제거가 가능하고 기본적으로 모든 장애물들을 관통사격 가능하기에 안전한 장애물 뒤쪽에서 건설하여 쓰는것이 장점이다.

다만 연사력과 선회속도가 느려 후퇴하거나 우회하면 잡기 힘들고 적 보병으로 기습당해 운용인원이 사살되면 무력화 되기 싶다는게 단점이다.[5] 유닛판정이라 곡사포의 사격이나 포격 스킬에 운용인원들이 죽어나가고 파괴당하기 때문에 상황판단에 따라 쓰기 권한다.

건설 할때 지면에 선택후 마우스 드래그로 사격 각도를 조절한다. 건설시간이 길고 근접전에 취약하여 최전방의 후방지역에서 건설 하는 걸 추천한다. 그리고 주위에 보병과 벙커을 배치시켜 기습을 방지하자.[6] 사격 좌우각도가 존재하며 유닛 선택후 마우스 왼쪽을 원하는 사격각도에 누르면 선회한다.

이동이 불가능한 건물이면서 유닛판정이라 주위에 벙커나 하노마그를 투입해서 치료나 충원을 가능하게 해주면 생존률이 높아지니 배치해두자.

운용인원은 총 4명으로 2명이 대전차포를 조작하고 2명은 MP40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최소 운용인원이 2명이며 1명이 남으면 탈주하여 무력화 되므로 주의하자.

  • 약점타격 (Target Weak Point) - 탄약 45 -

대전차 고폭탄을 발사하여 관통력이 2배로 상승하고 피격시 적 전차는 스턴 상태로 잠시동안 이동할 수 없다. 기본 상태도 출중해서 자주 쓰이진 않지만 전선을 돌파할려는 적 중전차를 저지하기 위해 쓰인다. 관통력도 높아져 도탄 확률을 줄이고 스턴 상태에 빠져 이동할수 없기 때문에 그순간 화력을 집중해 파괴가 가능하다. 다만 발동시 장전 모션후 실행하는거라 그순간 적 전차가 사격범위에 나가게 되면 헛탕 치게 되니 상황에 맞춰서 쓰자.

3.2.6 10,5cm leFH 18 곡사포 (leFH 18 Artillery)

파일:콯2 동독 leFH 18 10.5cm 곡사포 생산 버튼 초상화.png파일:콯2 동독 leFH 18 10.5cm 곡사포 기본 초상화.png
생산 버튼 초상화기본 초상화
건설 자원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600 파일:콯2 인구수 이미지.png인구 15
건설 시간추가바람
요구 사항없음

특정 교리 선택시 공병분대으로 건설 가능한 고정식 곡사포로 파일:콯2 인력 이미지.png인력 600 파일:콯2 인구수 이미지.png인구 15가 소모된다.

게임내의 존재하는 곡사포와 자주포중 데미지 , 폭팔 범위 , 사거리 , 선회력 , 사격 발수등 적절한 능력을 가져 어떠한 상황에서도 적절하게 쓰일수 있다. 주로 적의 야전 집결지나 공격 대기선, 방어선 같은 병력 밀집지역에 포격하기 최적화 되어있어서 적절한 타이밍과 운이 있다면 적들에게 큰 피해를 주기 쉽다.

다만 고정식이라 적의 대포병사격에 취약하며 적 보병의 우회기습에 운용인원이 사살되면 무력화 되어버린다. 유닛판정이라 곡사포의 사격이나 포격 스킬에 운용인원들이 죽어나가고 파괴당하기 때문에 상황판단에 따라 쓰기 권한다.

건설 할때 지면에 선택후 마우스 드래그로 사격 각도를 조절한다. 건설시간이 길고 근접전에 취약하여 안전한 후방지역에서 건설 하는 걸 추천한다.[7] 사격 좌우각도가 존재하며 유닛 선택후 마우스 왼쪽을 원하는 사격각도에 누르면 선회한다.

그리고 주위에 보병와 벙커을 배치시켜 기습을 방지하자. 이동이 불가능한 건물이면서 유닛판정이라 주위에 벙커나 하노마그를 투입해서 치료나 충원을 가능하게 해주면 생존률이 높아지니 배치해두자.

운용인원은 총 4명으로 2명이 곡사포를 조작하고 2명은 MP40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최소 운용인원이 2명이며 1명이 남으면 탈주하여 무력화 되므로 주의하자.

  • 10.5cm 곡사 포격 (10.5cm Howitzer Barrage) - 무료 -

지정한 위치에 총 10발의 고폭탄을 발사한다. 자동 공격이 없는 곡사포의 시스템상 스킬로 쓰이고 쿨타임이 존재한다. 주로 적의 공세나 적 주력이 집결 할때 쓰인다. 패치전에는 6발이였지만 패치후 10발로 바뀌면서 효율적으로 변하였다.

  • 대포병 사격 (Counter Barrage) - 무료 -

사거리내에 적의 곡사무기의 사격에 반응하여 발포지점으로 선회후 총 6발의 고폭탄을 발사한다. 박격포 , 보병포 , 곡사포 , 경야포 , 다련장로켓 등 곡사무기를 타겟으로 발사하기 때문에 적이 재빨리 이동하지 않으면 곡사포의 화력에 피해를 입힐수 있어 좋은 스킬이다.

스킬은 쿨타임을 공유하며 곡사포 사격은 발사 즉시 쿨타임이 돌지만 대포병 사격은 토클 스킬로 선택후 자동으로 발동해서 사격즉시 쿨타임이 돈다. [8]
  1. 기관총 사수는 무적판정이고 MG42 중기관총 분대보다는 명중률과 데미지가 낮고 연사력과 제압력이 높다.
  2. 벙커에 배치되거나 전투중이나 이동중인 보병과 의무병 전원 사망시 충원 전까지 치료가 불가능 하다.
  3. 거기다가 전작은 철조망 제거가 기본이였지만 요번작은 탄약을 주고 도구를 받아야 하기 떄문에 훨씬 좋다고 볼수 있다.
  4. 차량과 전차에도 반응하지만 데미지와 관통력이 적어 미미하다.
  5. 방어선 근처에다가 건설하고 방어선 밀리면서 노획당하면 공세시 나와 아군들이 뒷골잡고 골때리는 상황이 나올수도 있다.
  6. 건설후 주위에 모래주머니가 생성되어 엄폐효과를 받을수 있지만 파괴 가능하니 주의하자.
  7. 패치전에는 진지 안에서 건설 가능했지만 패치후 진지 안에 건설 불가능하다.
  8. 즉 곡사포 사격하거나 하고 난 뒤 쿨타임 돌때 대포병 사격이 불가능 하고 대포병 사격은 선택하고 발동이 않될때는 곡사포 사격이 가능하지만 발동하거나 난 뒤 쿨타임 돌면 곡사포 사격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