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치

키치(Kitsch)

1 개요

미학 관련 독일어 단어. 캠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싸게 만들다라는 뜻을 가진 독일어 동사 verkitschen에서 유래. [1]

대량판매용으로 복제된, 혹은 기존의 것들을 짜깁기해서 만들어진 조악한 것이나 뒤떨어진 것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키치의 입장에서는 보통의 것이 오히려 미적으로 떨어진다고 여긴다. 이후 이것은 팝아트의 근간이 된다.

인터넷 세대에게 알기 쉽게 이야기하자면, 병맛과도 통하는 면이 있다. 키치를 향유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병맛'을 본격적으로 즐기는데, 현대인의 눈으로 봤을때 매우 유치하고 촌스럽게 느껴져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저질스러운 고전 B급 호러영화, 싸구려 고전 SF에서 볼수있는 쫄쫄이 우주복과 헤어드라이기 같은 광선총, (미국 한정으로)전형적인 클리셰의 구닥다리 소프 오페라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다만 키치를 단순하게 병맛으로 정의하는 것이 오히려 키치한 것일 수도 있다. 키치는 엄밀히 말하자면 고급문화를 흉내내려고 하는 저급문화다. 고급/저급 문화의 구분이 점점 무의미해지는 시대기는 하지만, 이는 계급적인 코드로서의 고급/저급이 아니라 작품의 저변에 깔린 사유의 깊이에 있어서의 고급과 저급을 뜻한다. 겉은 그럴듯하게 치장해 두었지만 실제로는 알멩이가 없는 것, 마치 중세의 성 모양으로 지어놓은 러브호텔과 같은 것이 키치의 본질이다.

드러내놓고 자신이 신파임을 보여주는 작품, 작가 스스로가 B급을 지향하는 작품들은 그런 의미에서 오히려 키치가 아닌 경우가 많다.[2] 앤디 워홀이 팝아트를 대표하는 작가이지만 그의 공장제 연작들은 현대의 철학적 화두, 이를테면 시뮬라크르와 같은 화두들에 대한 진지한 물음이며 현대성의 문제와 싸우려는 분명한 투쟁이었다. 그것은 예술을 위한 예술이었으며 단순한 키치라고 할 수 없다. 키치는 B급을 자처하는 예술이 아니라, 주류를 따르고 진지한 물음을 던지는 척 기만하면서 대중을 현혹하는 예술이다. 예시를 드는 것은 분쟁의 여지가 있지만 확실한 것은 예술작품의 절대 다수가 키치가 된 현대 사회에서 키치를 단순한 병맛 취급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2 밀란 쿤데라가 정의한 키치

키치는 두 가지 감동의 눈물을 흘러내리게 한다. 첫 번째 눈물이 말한다. 잔디밭 위를 달리는 아이들의 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두 번째 눈물이 말한다. 잔디밭 위를 달 리는 아이들의 모습에 전 인류와 함께 감동한다는 것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이 두 번째 눈물만이 키치를 키치로 만든다. 모든 인간의 우애는 키치를 바탕으로 해서만 성립될 수 있을 것이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中》

밀란 쿤데라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서 재해석한 개념으로, 현실의 이면을 부정하고 이상이나 감동적 이미지만을 신봉하는 태도를 비판한 것이다.
상대적이고 불완전한 현실을 아름답고 완벽한 환상으로 대신하려는 사람의 욕구에서 기인한다. 여기까진 상관 없는 데, 문제는 체험적 감정이나 이성 같은 건 무시하거나 왜곡해버리고 미적인 가치만 앞세우는데 있다. 즉, 실질적인 감동이 아닌 관념적인 감동에 호소하는 것이다. 짜요 짜요 눈물을 짜요 물론 감상 자체가 나쁘다는 게 아니라 맹목적인 감상을 비판하는 것이다.
거기서 집단 수준으로 발전하면 인류애나 미덕을 바탕으로 개인에게 정형적인 감상과 이미지에 공감하고 따를 것을 강요하는빼액 파시즘이나 전체주의가 된다. 작중에서 작가는 전술한 이유로 자본주의공산주의 둘 다 깐다. 성경도 깐다 [3]

다른 작품인 <불멸>에서는 이마골로기(imagology)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현대에 대중은 논리나 이성적인 생각보다 감성적인 이미지, 혹은 암시에 의거해 판단한다는 생각이다.

3 관련 문서

  1. 가장 보편적인 설은 이것이지만 신조어라 할 수 있다보니 어원에 대한 논란은 있다.
  2. 예를 들면 자기 스스로를 키치적이라고 표현하는 가수 이승환의 경우가 그렇다. 입으로는 키치적이라고 하지만 그의 가치관은 키치의 원래 뜻과는 거리가 멀다. 영화 킹스맨도 그렇다. 작품 자체가 가볍고 자극적인 오락 영화를 지향하며, 저속함에 대해 변명하기 바쁜 오락 영화들과는 달리 당당하게 오락성을 표방하기 때문에 더 높이 평가 받는다.
  3. 창세기 맨 처음에 나오는 '존재의 긍정'에 대해 비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