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캠리

파일:HHUkftg.jpg
2015년형 북미 토요타 캠리 Hybrid XLE 모델

Toyota Camry / トヨタ・カムリ

1 개요

중형차의 교과서

토요타에서 생산, 판매 중인 전륜구동 중형 승용차. 1980년 토요타에서 팔던 스포츠형 승용차인 셀리카에서 파생된 4도어 FR 세단인 셀리카 캠리[1]로 출시되었고, 불과 2년 만에 모델 체인지를 하여 셀리카로부터 독립형 모델이 되었다.[2] 구동계도 전륜구동으로 바뀌었다. 후륜구동 스텔라 소나타가 전륜구동 쏘나타로 바뀌는 것과 비슷한 테크트리

캠리라는 이름은 왕관이라는 뜻의 일본어 '칸무리'(かんむり)에서 따왔다. [3]

일본에서는 규격초과 소형차와 하이브리드카에 밀려 인기가 예전같지 않지만 자동차 관세가 높은 동남아 시장에선 고급차로, 현지공장 생산으로 인해 저렴한 값을 유지할 수 있는 미국에서는 패밀리카로 인기가 많다. 미국에선 1997년부터 2013년까지 2001년 딱 한 해를 제외하고 승용차 부문 베스트셀러의 자리를 지켜왔다.

캠리의 전륜구동 플랫폼은 토요타 아발론, 토요타 시에나, 렉서스 ES 등과 공유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시장에선 북미형 캠리 2.5를 캠리로, 동아시아형 캠리 3.5를 오리온(AURION)라는 별도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아슬란?

2 역사

생산별 테크트리가 복잡해져 "/"로 삽입하고 구분하였으니 왼쪽이 내수형, 오른쪽은 수출형이다.

2.1 1세대 (A40/50 계통, 1979~1982)

450px

처음 출시 당시에 동사의 카리나 2세대 A40 차체로 이용하여 셀리카 캠리라는 이름으로 출시하였고, 급하게 출시했던터라 전륜구동이 아닌 후륜구동으로 판매되어 2년간 생산하다 단종되었다.

2.2 2세대 / 1세대 (V10 계통, 1982~1986)

2세대 전기형(일본 내수형)2세대 전기형(북미형)
2세대 후기형(일본 내수형)2세대 후기형(북미형)

1982년에는 더 이상 셀리카의 서브네임을 버리고 당당하게 캠리의 이름을 올릴 수 있게 된 2세대가 출시하였다. 이때부터 수출형 모델까지 생산하여 수출형은 1세대가 되었으니 전륜구동 중형차 간의 춘추전국시대[4]가 열리게 되고 4년간 생산되다 1986년에 단종되었다.

2.3 3세대 / 2세대 (V20 계통, 1986~1990)

295012.jpg
3세대 4도어 하드톱버전 프로미넌트(일본 내수형)

3세대 (일본 내수형)3세대 (북미형)

1986년 토요타가 야심차게 캠리 3세대를 내놓게 되자, 당시 첨단장비를 탑재하여 고급화로 무장된 미쓰비시 갤랑 시그마와 미쓰비시 에테르나 시그마[5] 맞짱뜨기 위해 캠리 프로미넌트까지 출시한 것도 덤이었고, 과열경쟁에 그칠 줄 모르다 1990년에 단종되었다.

2.4 4세대 (V30, 1990~1994) / 3세대 (XV10, 1991~1996)

600px

원래 글로벌 공통 모델이었으나, 더 큰 차를 희망하던 수출시장 수요에 맞춰 199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캠리가 작은 일본내수형과 큼직한 수출형으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일본 시장에선 5넘버라고 불리우는 크기규격에 맞추다보니[6] 2003년까지 준중형 사이즈의 차가 캠리라는 이름으로 팔려야만 했다.

2.5 5세대 (V40 계통, 1994~1998)

2.6 6세대 / 4세대 (XV20 계통, 1996~2001)

북미형일본 내수형 캠리 그라시아

1996년부터는 4도어 세단과 병행생산해왔던 4도어 하드톱과 캠리 프로미넌트를 없애고 4도어 세단으로만 생산했다. 일본 내수형 한정으로 캠리 그라시아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하지만 뒷태의 디자인이 못봐줄정도로 극혐수준인지라 아무리 페이스리프트해봐도 빼도박도못한 흑역사가 되어 내수시장은 경쟁회사인 닛산 세피로를 선택하였으니, 오죽하면 학을 뗄 정도로 북미에선 렉서스 ES를 선택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서, 안습을 자랑하다 2001년에 단종되었다.

1998년에는 "캠리 솔라라"라는 쿠페와 컨버터블이 나왔고 이후 세대에도 이어져 2008년까지 판매되었다.

대한민국에는 1996년에 진세무역에서 아발론 1세대를 들여왔을 때 4세대 캠리가 함께 수입되어 판매했으나, 아발론에 비해 인기가 적었다. 당시 정부의 수입선 다변화 정책이 시행되던 시절이라서, 둘 다 미국 생산분이었다.

2.7 7세대 / 5세대 (XV30 계통, 2001~2006)

600px
보수적 디자인의 북미형, 크롬 장식이 많은 아시아형의 디자인이 분화되었다.

2.8 8세대 / 6세대 (XV40 계통, 2006~2011)

600px
이 때부터 북미형과 아시아형이 같은 금형을 쓰되 앞뒤 디자인을 다르게 해서 내놓았다. 엔진은 2.4 / 2.5 / 3.5L 가솔린 엔진이 있었고 변속기는 5단/6단 수동과 4단/5단/6단 자동, CVT가 있었다. 물론 지역에 따라 적용되지 않은 라인업도 있다.

대한민국에는 2009년 11월부터 북미형 8세대(XV40) 후기형 모델이 수입 판매되었다. 2,494cc 가솔린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린 사양이 수입되었고 3천만원 중반대의 가격으로 나름대로 잘 팔렸다. 또한 2,362cc 가솔린 엔진+전기모터를 조합하고 CVT 변속기를 맞물린 하이브리드 사양도 판매되었다. 그쪽은 가격이 4천만원 중반대이다. 이 때 팔린 한국 사양 캠리는 일본 생산분이었고, 뒤쪽에 가로가 긴 번호판을 지원하지 않았다.

부가적으로 정발할 당시에는 세단임에도 불구하고 아발론과 함께 2열 등받이 각도조절(리클라이닝)이 가능한 차량이다.[7]

2.9 9세대 / 7세대 (XV50 계통, 2011~현재)

450px450px
전기형후기형

캠리는 일본에서 규격에 의한 파생모델 까지 모두 합하면 XV50이 9번째 모델이지만, 일본파생 모델은 일본에서만 판매되었기 때문에 보통 미국에서 출시된 모델을 가지고 세대구분을 한다. 토요타 공식 역사 사이트[8]에서는 XV40을 8세대, XV50을 9세대로 지정했지만, 정작 미국 및 한국의 캠리 오너 및 대리점들은 XV40을 6세대, XV50 7세대, XV50페이스리프트 7.5세대로 흔히 부르고 있다.

2011년부터 판매된 XV50 캠리는 2.5L / 3.5L 엔진 외에도 2.0L 엔진이 추가되었다. 북미형은 2.0L 라인업이 없고, 그걸 들려온 대한민국 판매사양도 2.0L 엔진을 지원하지 않게 되었다. 변속기는 4단과 6단 자동이 있고 하이브리드는 이전 세대처럼 CVT가 적용된다.

대한민국에는 2012년 1월에 북미형 9세대(XV50) 모델이 판매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는 한-미 FTA 효과를 업고 다시 켄터키 주 조지타운 현지공장 생산분이 수입되고 있다. 또한 후면에 가로가 긴 번호판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캠리가 경쟁 모델 대비 너무 밋밋한 내외부가 지적을 많이 받아 2014년에 파격적인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외모에 있어서는 캠리 페이스리프트 역사상 가장 큰 변화폭을 갖는다. 단, 이 바뀐 디자인이 호평만 얻는 것은 아니라서 디자인이 완전히 산으로 가버렸다거나 코롤라 11세대하고 구별이 안 간다는등 새로운 디자인이 싫다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다. 무난한 디자인은 밋밋하다고 까고, 파격적으로 바꾸고 나니 디자인이 산으로 간다고 까고. 어쩌라는거냐 즉, 디자인은 개인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듯 하다. 대한민국에는 2014년 11월부터 후기형이 판매되었다.[9]

왠지는 모르겠지만 전기형에는 랠리버전이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토요타 캠리/시대별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3 대한민국 판매

토요타의 대표 모델이고 굉장히 유명한 차종이지만, 대한민국에서의 인기는 조금 애매하다. 1996년에 4세대가 잠시 들어왔지만 인기가 없었고 토요타 대한민국 법인이 출범한 후 렉서스만 팔다가 2009년 토요타 브랜드의 판매를 결정하면서 대한민국에 재상륙했다. 2012년 수입차 판매량 2위를 차지하며 기대를 끌어모았으나, 폭스바겐 파사트같은 독일 디젤 승용차의 공세와 현대 쏘나타, 쉐보레 말리부 등 국산 중형차들의 경쟁력 강화로 매력을 잃어 2014년 이후 판매량은 10위권 후반대에도 들지 못할 정도로 몰락했다. 심지어 1억 3천만원부터 2억 6천만원 사이의 가격대의 최고급차인 S클래스가 캠리보다 4배나 잘 팔리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캠리가 얼마나 망했는지 알 수 있겠다. 안습... 이거 만든 사람 지금쯤 폭풍 이불킥 중일 듯 쏘나타를 견제하긴 커녕 2억원대 고급차에도 발리고 있는 캠리

이유는 몇 가지로 압축될 수 있는데, 첫 번째 이유는 바로 한국의 외제차 구매는 대부분 기업가들의 세금 감면 혜택을 통한 구매이기 때문이다. 비싸면 비쌀 수록 세금 감면 폭이 크고, 실질적으로 업체용으로 구매를 해도 업체 주인이 개인용으로 사용해도 되는 허점 덕분에 기왕이면 비싼 차를 사야 도리어 세금 감면액이 커서 이득이 되기 때문에 도리어 비싼 프리미엄 브랜드의 외제차가 더 많이 팔리는 것이다. 참고로 한국만이 BMW 3시리즈보다 5시리즈가 더 많이 팔리는 요상한 상황이 벌어진 것도 이러한 이유. 게다가 한국에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토요타에서도 저렴한 모델인 LE 모델이 들어오지 않고 무조건 XLE 혹은 하이브리드 XLE가 들어오기 때문에 동급의 현대 기아 차량들과 비교하면 가격 경쟁력이 없게 된다. 한편, 이러한 소비자(?)들은 기왕 세금 감면 받아서 구입하는 거 돈을 더 비싸게 주더라도 벤츠BMW같은 프리미엄 브랜드의 고급 독일차를 사는 게 당연지사. 또 하나는 역시나 워런티 서비스다. 현대 기아의 수리업소 점포 숫자와 저렴한 부품값은 전 세계 어떤 수입차가 들어와도(중국제는 아직 미지수이긴 하지만) 경쟁이 안 된다. 물론, 토요타 차량은 보통 10년 이상(북미는 이렇다) 고장 없이 타는 차량이지만 운 없게 레몬이 걸린 경우도 배재할 수 없으므로 당연히 워런티 서비스를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 이렇게 수리가 힘들고 부품가격이 현대 기아에 비해 비싸다보니 보험료도 올라가는 등 불이익이 많다. 그러니 돈 있는 사람들은 그냥 독일제 프리미엄 브랜드의 차량으로 넘어가는 것. 마지막으로 엔진이 2.5 리터 뿐이 없다는 것이다.[10] 한국의 세금 구조상 2.5 리터의 세금은 높으며, 이 덕분에 가뜩이나 동급 중형 차량들보다 비싼 유지비가 동급의 차량들보다 비싸지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워낙에 어중간한 차량이라 안 팔리는 상황인 것. 북미처럼 서민용 중형 세단 모델(LE)이 들어온 것도 아니고, 고급차로 인식하기에는 토요타 자체가 고급차 브랜드가 아니며 동급인 현대 쏘나타쉐보레 말리부같은 국산 중형차들과 비교해도 기본적인 내장재의 품질이나 옵션등이 부족하다는 평이 있다.


여담이지만 전라북도 전주시의 한 택시 회사에서는 9세대 캠리를 택시로 굴리고 있다. 캠리 택시는 북미에도 상당히 많다. 보통 택시는 승차감 좋고 (승객을 태우므로) 내구성과 연비 좋은 차량을 채택하므로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니다. 한국에서 택시를 평가절하하는 이상한 풍조가 있으나, 실상 한국 택시도 현대 쏘나타기아 K5가 대다수다.[11] 외산 세단 중에서는 토러스가 택시로 꽤 보이는 편.

4 북미 시장

Jun 2015% Chg from Jun '14YTD 2015% Chg from YTD 2014
Ford F - Series PU55,171-8.9357,180-2.4
Chevrolet Silverado PU51,54818.4275,82214.6
Toyota Camry37,408-8.0215,816-3.0
Dodge Ram PU33,3320.6212,7164.3
Toyota Corolla / Matrix30,645-1.0190,1319.0
Nissan Altima29,41812.7172,031-2.5
Honda Civic28,727-11.1158,301-5.3
Honda CR-V28,3498.5163,0185.4
Honda Accord27,477-15.0155,746-15.9
Hyundai Elantra26,61355.0128,69814.4
Ford Fusion25,409-8.0153,158-7.5
Toyota RAV424,84315.1143,57522.8
Ford Escape24,126-3.9146,416-4.2
Nissan Rogue23,24354.3135,39736.3
Chevrolet Cruze22,647-12.9127,938-12.0
Ford Explorer22,54930.4122,40417.2
Ford Focus22,051-16.0117,079-3.2
Chevrolet Equinox21,7600.1145,68520.6
Jeep Wrangler19,15916.5102,45019.5
GMC Sierra PU18,61820.8100,8508.2

출처: [1]
1위, 2위가 각종 기관 및 농장에서 사용하는 Pick Up Truck 임을 감안하면 세단으로 1위를 차지했다. 4위는 다시 Pick Up Truck이고....

도요타 급발진 사태 덕분에 잠시 세단 판매 1위를 놓친 적이 있으나, 엔화 약세와 2015년의 페이스리프트, 그리고 도요타 전통이 된 신뢰성으로 그야말로 다시 1위로 뛰어올랐다. 미국 길거리를 보면 그야말로 캠리가 각종 연식과 트림들이 줄지어 가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을 정도이다. 고속도로 3차선에 색깔만 다른 동일 모델 캠리 3대가 나란히 가고 있는건 그다지 특별할 것도 없는 광경이며, 마트 주차장에 가보면 가끔 여기가 도요타 딜러샵인지 마트 주차장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캠리 천국에 나머지 자리는 코롤라, 프리우스가 채운 경우도 있다. 그야말로 가장 많이 팔린 세단이라는 것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고속도로 들어서면 앞 단락에 나열된 연식들은 거의 다 볼 수 있다. 보통 4개 트림으로 나누어 지는데, 엔진에 따라 따로 트림이 붙어서 2015년 현재는 결국 9개 트림이다.

  1. LE 2.5 - 가장 기본적인 베이스 모델로, 한국에 들어오는 캠리와 비교하면 그야말로 원시적인 느낌이 들 정도로 간단한 옵션만 구비했다. 심지어 휠도 철제 휠에 캡을 씌워놓은 형태. 연비는 도심 25 MPG/고속도로 35 MPG다. 2.5리터 엔진을 사용하는 타 모델은 전부 동일.
  2. XLE 2.5 - 한국에 팔리는 모델. LE를 기반으로 각종 고급형 옵션을 추가했다. 네비게이션, 전화기 무선 충전, 등등. 북미에서는 주로 나이 지긋한 아저씨들이나 할머니들이 타시는 차량이다.
  3. LE Hybrid - LE를 기반으로 엔진을 2.5하이브리드로 바꾼 것. 프리우스를 만든 도요타 답게 저속 토크가 우수하여 저속 가속력이 쓸만하고 연비가 좋다. 연비는 도시 41MPG/고속도로 38 MPG다. 프리우스보다는 떨어지지만 북미 판매되는 모델인 프리우스v 와 근접한다. 역시나 하이브리드 엔진을 장착한 모델은 전부 연비가 동일하다.
  4. XLE Hybrid - 한국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모델. XLE에다 하이브리드 엔진을 장착한 모델이다.
  5. SE - LE와는 다르다 LE를 기반으로 한 차량이지만 약간 전면부 그릴이 다른 모습이다. 서스펜션이 더 단단하고, 차고가 조금 낮으며, ECU매핑이 조금 다른 모델. 스포츠형으로 취급되며, LE 시리즈에는 없는 패들 쉬프터가 존재한다. 다만, FT-86과는 달리 패들 쉬프터의 반응이 좀 느리다는 것은 단점. 공인 연비는 LE와 동일하다. 또한, 스포일러가 달려 있다. 기존에는 V6엔진을 장착할 수 있었지만 2015년에는 빠졌다.
  6. XSE - SE를 그야말로 각종 옵션을 추가하여 X급으로 만든 차량. XLE의 모든 옵션이 SE모델에 적용되었다 보면 된다.
  7. SE Hybrid - 역시나 SE에다 하이브리드 엔진을 장착한 모델.
  8. XLE V6 - XLE에 3.5 리터의 V6엔진을 얹은 차량.
  9. XSE V6 - XSE에 3.5 리터의 V6엔진을 장착했다. 0-100 km/h 가 6초 이내가 나온다.

캠리의 연비는 보통 공인 연비보다 좋게 나온다. 연료가 가득 차 있으면 공인 연비가 나오지만 3/4정도면 공인 연비보다 보통 1 MPG 정도는 오버해서 나오는 게 보통이다. 고속 도로에서 공인 연비가 35 MPG인데, 바람이 거의 안 불고 길 상태가 좋고 오르막길이 거의 없는 고속도로를 주행할 경우 40 MPG를 넘기는 경우도 가끔 있다. 하이브리드는 이 특성이 더 심해서 조금 심한 경우는 10 MPG 가 더 나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퍼포먼스는 2.5는 별로, 3.5는 되어야 몰만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2.5리터 모델도 0 - 100 km/h가 8초 초반이 나오는 수준이다. 가속이 안 되서 차선을 못 바꾸거나 고속도로 교통을 따라잡지 못 하는 경우는 없다고 보아도 좋다.

SE 계열은 한국에 판매하지 않고 있다. 덕분에 LE 계열이 드라이빙 퍼포먼스 비교에 동원되서 쏘나타 스포츠형 모델보다 안 좋다고 억울하게 까이는 중(...). 승차감 좋게 하려고 물렁한 서스펜션 장착한 모델을 코너링 테스트로 비교하는 만행은 뭔가..

5 경쟁차종

  1. 당시에 판매되던 4도어 세단인 카리나의 형제차라고 볼 수도 있다. 셀리카도 어차피 카리나의 플랫폼으로 만든 쿠페형 형제차이기 때문.
  2. 여담이지만 셀리카 캠리를 1세대로 보면 V10 캠리는 2세대 모델이, 셀리카 캠리를 제하고 캠리 독자적인 역사를 따지면 V10이 1세대가 된다.
  3. 참고로 코롤라, 크라운도 왕관이라는 뜻이다.
  4. 당시 태생부터 전륜구동이었던 혼다 어코드/비거를 비롯하여, 후륜구동에서 전륜구동으로 전환된 미쓰비시 갤랑 시그마/에테르나 시그마과 마쓰다 카펠라 그리고 닛산 블루버드 맥시마가 있었다.
  5. 동종이긴한데, 경쟁상대는 캠리가 아니라 형제차였던 비스타로 표적을 삼았다.
  6. 일본 시장에서 자국차가 95%에 달하는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 이같은 일본 고유의 까다로운 자동차 등록 제도 때문이다. 사실상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어서 미국에서의 불만이 많은데, 역으로 이 제도 때문에 2010년대 들어 일본 내수 시장이 경차, 소형차, 미니밴을 제외하고 죄다 침체해 버리는 현상이 벌어지게 된다.
  7. 하지만 아발론과 캠리가 풀체인지가 된 이후부터 삭제되었으며, 현재 토요타 생산차종중 내수시장에 한하여 마크X와 프레미오 그리고 알리온이 2열 등받이 각도조절 가능한 차량으로 남게되었다.
  8. [2]
  9. 후기형은 나스카 출전 중이다.
  10. 2013년에 3.5 모델을 출시하기는 했으나 판매량 저조 및 아발론과의 판매간섭 영항 등으로 페이스리피트때 다시 삭제되었다.
  11. 우리나라 택시들은 별도의 LPG 택시 트림이 있고 이것을 거의 구입한다. 일반차량대비 차량가격도 20%이상 싼편이고 또 택시가 시내주행을 주로하기 때문에 연비가 낮아서 연료가격이 운용비에 상당부분을 차지하기 때문...그래서 하이브리드는 현명한 선택이 될수 있지만 면세혜택도 못받는 휘발유 차량을 일반 택시로 굴리는 것은 굉장한 용자짓중 하나이다. 더욱이 별도로 택시용 트림이 없는 외제차를 택시로 굴리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