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에 대해서는 TOP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금속판이나 쇠줄 표면 등에 삐죽삐죽한 톱니를 만들어 물건을 자르거나 켜는데 사용하는 공구의 총칭.

2 역사

파일:Egyptian Bronze Saw 1350BC-1010x1024.jpg

톱이 등장하는 역사상 최초의 기록은 고대 이집트다. 이르면 BC 32세기 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구리로 만들었고 나무나 돌을 자르는 공구로 썼으며 종종 톱으로 사람을 잘라서 사형한 사례도 있었다. (고대부터 중세까지 내려온 처형법 중의 하나였다.)

Archaeological site of Akrotiri - Museum of prehistoric Thera - Santorini - bronze saw - 01.jpg
유물적으로는 BC 17세기 경의 그리스 아크로티리 유적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톱이 있다. 학자들은 신석기 시대 석기 중에 톱과 같은 역할/혹은 톱의 선조적인 역할을 하는 물건이 있었다고 보고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다이달루스(크레테 미궁을 만든)의 조카 탈로스 또는 페르딕스가 톱을 발명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로마 시대에는 AD 3세기 경부터 이미 본격적이고 전문적인 제재소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도 나무가 아니라 석가공 전문.

중국에서는 유명한 목공 루반(BC 5~6th)이 궁성을 만드는데 쓸 목재가 부족해서 산을 오르다 넘어질뻔 하면서 풀을 잡았는데 풀결의 날 때문에 상처가 난걸 보고 풀의 결을 본따 쇠를 다듬어서 최초의 톱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3 구조

크게 손으로 움직이는 톱과 물론 손톱과는 다르다 기계로 톱날을 움직이는 기계톱으로 구분되며, 그 용도(주로 자르는 물건)에 따라 톱날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손으로 드는 톱은 대부분 나무를 자르는 데에 쓰이며, 톱날의 형태에 따라 쥐꼬리톱, 양날톱, 붕어톱 등으로 구분된다. 특수한 톱으로 쇠줄의 표면을 톱날로 만들어 복잡한 모양을 자르는 데에 쓸 수 있게 만든 줄톱이 있으며, 이는 다양한 공예에서 사용된다.

장미칼의 경우 부엌용 식칼이라고 홍보하고 있으나 날에 톱니가 달려 있는 톱니칼(서레이션 나이프, serration knife)이며 구조상 엄연히 톱이 맞다.

기계화된 톱은 나무 뿐 아니라 금속이나 냉동 육류(정육점) 등을 자르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형태에 따라 원형톱, 띠톱, 체인톱 등이 있다. 과거에는 증기기관을 사용해서 원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바꾸는 레시프로(왕복)톱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소형 엔진을 사용하는 동력톱과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톱이 주류.

톱의 절삭력은 단순히 삐죽삐죽한 이빨 형태의 날 뿐만 아니라, 단면으로 봤을때 톱날 끝부분이 좌우로 벌어진 날어김(Kerf) 구조인 것 또한 중요하다. 절단 부위를 넓게 벌리고 톱밥이 끼지 않게 만들어서 절삭력을 유지시켜 준다.

4 톱의 종류

5 기타용도

5.1 톱형 무기

톱날형 무기도 드물지 않게 있다. 톱니칼처럼 서레이션 효과를 노리고 칼날을 물결치는 형상으로 만든 것인데, 실제 고대 켈트족의 창인 랜시아(Lancea)나 중세의 플랑베르쥬처럼 날이 들쭉날쭉한 무기들은 상처가 복잡해져 회복이 더뎌지는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참고로 톱날 구조의 무기로는 그렇게 깔끔하게 잘리지는 않으며, 베어낸다기 보다는 '찢어버린다'는 표현이 더 적합할 정도이다.

다만 이런 서레이션 날이 실용성이 얼마나 있었는지는 미심쩍다는 말도 있다. 플랑베르쥬 칼날을 가진 레이피어의 경우, 레이피어가 원래 찌르는 무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일부러 플랑베르쥬 칼날을 만드는 것은 무의미하다. 양손검형 플람바드의 경우, 곧은 날의 쯔바이핸더로 한 방 맞으나 양손검 플람바드로 한 방 맞으나 죽는 것은 거기서 거기. 게다가 서레이션 칼날이 제대로 절단력을 발휘하려면 칼날을 대고 밀거나 당기는 자르는 톱질하는 동작이 필요한데, 검술에서 이런 동작을 취할 수 있는 상황은 매우 제한적이다. 상처 조금 더 벌리려고 전투 중에 슬근슬근 톱질할 이유가 없다. 그냥 힘껏 내리쳐서 죽여버리고 말지.
때문에 서레이션 칼날을 지닌 도검류는 화려한 외형을 살린 의장용에 가까운 무기이거나, 혹은 칼날끼리 맞닿은 상태로 패리를 할때 울퉁불퉁한 칼날에 걸려 상대의 칼이 쭉 미끄러져 들어오지 못하게 만드는 방어 기제라는 설도 있다.

창작물에서는 톱이나 톱을 기반으로 한 무기를 주무기로 사용하는 인물들이 상당히 등장하는데, 대부분 이들은 산적이나 용병 등 제도권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편이며 무기를 사용하는 방식도 특이한 무기의 형태를 이용한 변칙적인 용법이 주가 된다. 현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도 가끔 살해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톱으로 경동맥을 날려버린 모 인물.

무기처럼 손에 들 수 있는 동력톱/전기톱은 공포물에서 무기로 자주 사용된다.

5.1.1 톱을 무기로 사용하는 캐릭터

톱날 형태의 무기도 포함한다.

5.2 악기

악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채를 피들스틱으로도 쓰는 첼리스트의 후반 광폭화도 볼거리. 특유의 음색 때문에 사이키델릭한 느낌이 있어 대중음악에도 자주 쓰이는데 머큐리 레브의 Deserter's Song 앨범이 유명하다. 국내에서는 김건모의 '사랑이 떠나가네'의 전주에서도 쓰였다.

6 여담

만능 수리공 매니에서는 이 이 모티브인 캐릭터가 나온다.
  1. 실제로 장미칼은 칼보다는 톱의 형태에 가깝다.
  2. 사용하는 신기가 톱 형태.
  3. 정확히는 사용하는 무기가 칼날이 톱날처럼 되어있는 검인 무한인(불변도)다.
  4. 여러가지 의료도구들을 사용하지만, 개중에서도 의료용 톱의 비중이 높다.
  5. 키구치 잔키가 소유한 완성형 변체도왕도 노코기리의 이름의 유래가 톱이다. 실제로는 멘탈 케어 효능이 있는 목도.
  6. 오히려 톱가오리 쪽이 위력적인 무기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