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병

해군 특전병에 대해서는 UDT/SEAL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틀:군관련



2014. 6. 2 특전사 1호 전투특전병

육군 특전병
200px
特戰兵
Special Warfare Soldier
400px
200px

1 개요

육군특수전사령부에 소속된 병으로 전투지원 및 행정보조 임무를 수행한다. 육군훈련소에서 인원을 차출해오다 2007년부터 모병을 실시하고 훈련소 지원, 차출(화학, 조리, 수송 등 보병특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병사에 한함)도 병행한다. 그리고 키가 큰 경우 공수여단과 사령부 헌병대로 높은 확률로 징☆집 당한다. 지못미
모든 특전병은 명절 등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육군훈련소 또는 후반기 학교과정을 수료한 주 금요일에 사령부 보충대로 전속되고 다음 주 화요일에 최종 부대배치를 받고 직할대 또는 예하 여단으로 전출된다.
특전부사관과 동일한 복장과 베레모를 착용하지만, 2014년부터 베레모에 '특수전 휘장' 대신 '특전병 모장'을 착용한다.
그동안 특전병들은 특수전 훈련 이수와 상관 없이 '특수전 휘장'을 모장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특전병의 경우 특수전 교육을 수료하지 않아 특수전 휘장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특전병만의 가치를 투영하는 새로운 디자인의 '특전병 모장'으로 교체하게 됐다.

2 특징

현재 선임하사주임원사 중에도 특전병으로 특전사 생활을 시작하신 분들도 상당수며, 지금도 특전병에서 특전부사관으로 지원해 계속해서 군생활 하는 경우도 많다. 2000년까지 중대와 지역대에도 특전병이 편성 되어 있어서 해군 특전병처럼 전투보직이 있었고, 지역대 본부에도 지역대장 CP병이 편성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대대본부나 여단·사령부 직할대에만 편성 되어 있고, 지역대 본부병도 소속만 편성 되어 있고(1명 정도) 생활은 대대본부에서 한다.

과거 중대나 지역대에 소속된 특전병은 특전부사관과 똑같이 훈련받고 생활하기 때문에 체력도 초임하사들 보다 좋은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팀에 대략 2~3명 정도 있었다고 하던데, 병장을 달아도 초임하사보다 아래니 군번줄 꼬이면 전역할때까지 막내생활만 하다 갈 수도 있었다.[1] 지금은 그럴 일이 없고, 대게 성향이 맞는 대대 부사관들과 친하게 지낸다. 주말에 영내하사들과 족구나 축구로 PX 내기 하며 놀때도 있다. 대본이 지면 월급이...

특전병에 대한 혜택으로는, 특전병(공수기본, 낙하산포장정비)은 전역후 국가평생교육진흥원과 학점교류 제도가 체결 되어있는 학교에 한하여 교칙에 따라 최대 6학점까지 학점이 인정된다. 자세한 사항은 학점은행제 항목 참조. 홈페이지

또한 공수기본을 수료하게 되면 위험근무수당을 약간 받게 되며, 기구/항공기 강하 시 위험근무수당을 분기 당 20만원 이상을 수령할 수 있어 특전병들의 금전적 부담을 어느 정도 덜어주고 있다.

한편 특전병들은 육군 병사와 다른 외출·외박 제도를 가지고 있었다. 전인범 특전사령관의 적극적 추진으로 2013년 후반기부터 시행되었으며, 육군 병사들은 분기마다 1회 외박 허용 등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특전병들은 공수교육 수료 시 매달 각각 1회 외출 외박이 허용되었다.[2] 특전병 모집 시 이를 어느 정도 강조하여 홍보를 하였으나, 일부 간부들이 병사들이 너무 자주 나간다며, 이 특전병 외출·외박 제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고, 결국은 2016년 3월에 공식 폐지되어 육군 외출·외박 제도를 따르고 있다.

2.1 훈련

과거에는 대대로 편성되면 대대본부 소속이든 지역대본부 소속이든 훈련으로 시작해서 훈련으로 끝났다. 전입 오자마자 바로 훈련을 가고, 전역 한달전에 천리행군뛰고 천리행군 끝나고 바로 말출나갔다가 전역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 당시 큰 훈련은 다 받았다고 하는데, 현재는 대대장에 따라 천차만별이라고 한다. 천리행군의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지역대와 합류해서 받는 경우와 대대행군때만 같이 하는 경우, 아예 차량으로 이동하거나 막사로 복귀시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2009년부터는 특전병 업무가 아무리 전투지원과 행정보조라 하더라도 혹서기(유격)[3]와 혹한기 훈련은 꼭 받는다. 그 외에는 특전병 전입교육(2주), 공수기본(3주) 교육이 있다.

특전병 전입교육은 2016년부터 시행된 교육훈련이다. #16-1기로 시작해서 거의 매달마다 기수를 받고 있다. 현재 2016년부터 전입 오는 특전병은 전입교육 및 공수기본을 의무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2주 간 실시되는 훈련으로, 공수교육 이전에 받는 튜토리얼 정도라고 보면 되겠다. 완전군장을 하고 20km 급속행군을 한다는 소문이 있다.. 16-5기 기준으로는 없었다?

2주 간의 특전병 전입교육이 끝나면, 공수 기본 교육이 시작된다. 공수 기본 교육은 이제 800기를 넘길 정도로 아주 역사가 오래 된 특전사 기본 교육이다. 물론 체력이 뛰어나야하기 때문에, 입교 당일 간부 및 병사 교육생 전원 체력 측정을 실시하는데 여기서 기준점에 미치지 못 하면 퇴교 처리한다. 또한 교육 내용을 따라가지 못 하거나 자격 강하를 수행하지 못 하는 경우에도 퇴교시켜버린다. 이런 식으로 3번 퇴교를 당하면 야전전환 심의를 거쳐 특전사 부대에서 전출되어 일반 보병 부대로 편입당하고 만다. 그리고 몸이 불편해 교육 자체를 수행할 수 없는 몸이면 그대로 미공수 상태로 전역시키는 경우도 꽤 많다.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선임을 공수 교육을 수료한 후임들이 선임 취급하려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존재한다.

소문에 의하면 사령부 출신 병사가 전역을 앞두고, '군생활 중에 유격 한 번 못해봐서 추억거리가 없는 것 같아 아쉽다'라는 내용의 편지를 마음의 소리함에 투척 후 그 바람이 이뤄져 특전사 내에 특전병들을 위한 유격훈련이 생겨났다고 한다.(...) 앙대!

width=100%

직할대 소속인 운전병, 의무병, PX병, 헌병, 조리병, 행정병, 어학병, 군종병, 군악병, 다른 일반 부대에서는 헬기조차도 타지 않고 공수휘장을 달고 다니는 의장병 등은 특수전사령부 소속 보병 병과 특전부사관 및 전투특전병과 같은 훈련을 받는다. 정기 강하때 모두들 사이좋게 모여 낙하산을 타는 재미난 광경을 볼 수 있다. 사실 대테러 특수전 부대와 유격전 전문 공수부대이기에 이 훈련은 전시상황을 대비해 사실상 불가피한 것이다. 게다가 저 중에서 가장 각을 중요시하는 헌병의장병은 안 그래도 옷 각까지 힘들게 한 땀 한 땀 잡아야 하는데 하필 특전사의 얼굴인 베레모 각까지 칼각으로 잡고 총을 돌리고(의장병도 특전사령부 직할대이기에 육군 의장대 특유의 정모를 쓰지 않고 특전병용 베레모를 쓴다.) 행사를 뛰고 탈영병 잡고 근무한다 허리 빠지니 지옥이 따로 없다.

훈련 지원을 주로 한다 해도, 일반 보병 부대에 비해 잦은 야외 훈련은 상당한 부담이 된다. 잦은 야외 훈련과 이에 따르는 부대 정비 등으로 인해 농담삼아 군 생활의 상당부분을 야외에서 자고 먹고 한다고 할 정도가 되며, 폭설이라도 내려서 한달짜리 대규모 대민지원이라도 가게 되면 거의 군 생활의 절반이 야외 활동으로 도배가 된다. 이로 인해 훈련을 직접 하지 않고, 전투지원과 행정보조가 주임무 임에도 일정 수준 이상의 체력 조건을 요구 한다.그럴리가 없잖아 야외 훈련시 인원이 없고 필요할 때가 되면 병사들도 얼마든지 무거운 군장을 메고 빠르게 산을 타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까.그럴수도 있다

2.2 낙하산 포장정비

width=100%

장비정비대 소속 특전병은 낙하산 포장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낙하산 포장의 요령은 실로 세심하고 민감한 요령이 필요하여 단 하나의 낙하산이라도 불량하게 포장될 시 해당 전투원의 목숨과 직결되는 사고로 이어진다. 그럼에도 강하 사고 중 포장불량으로 인한 산개고장이 원인인 사고는 0.01%도 되지 않는다.[4]

공중 강하 훈련에 사용된 낙하산들은 빠짐없이 특전장비정비대로 이동되어 정비 및 포장 작업을 거치게 된다. 생명줄과도 다름없는 낙하산이다 보니 하나부터 열까지 세심하게 살펴보고 확인하여야만 한다. 우선 낙하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과 동시에 파손된 부분을 확인하고 손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곳에서 근무 중인 병사들은 하루 평균 25개의 낙하산을 정비·포장하게 된다. 이는 병사 1명 당 전역 전까지 약 6000개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양이다.

width=100%

가장 힘든 작업으로 불리우는 낙하산 포장은 3인 1개조로 운용된다. 포장은 모두 11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정확한 순서는 ①정확히 펴기 ②포장 전 검사 ③폭 개기 ④기록부 기입 ⑤절단끈 묶기 ⑥길이 개기 ⑦카나피 넣기 및 전개낭 닫기 ⑧낙하산줄 꿰기 ⑨연결고리쇠 묶기 ⑩산낭 닫기 ⑪생명줄 및 하네스 정리이다. 최근에는 RFID를 통해 모든 내용이 전산 입력되어 누가 낙하산을 정비하고 포장하였는지 나아가 누가 메고 뛰었는지 모든 내용이 기록으로 남게 된다. 그만큼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여 더욱 안전한 낙하산으로 재탄생된다.

그 외에도 각 분야에서 특전부사관이 최적의 훈련을 할 수 있도록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는 특전병들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말자. 결국 모두 힘들고 안 힘들고를 떠나서 다들 각자의 위치에서 필요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들로 이는 특전사 뿐만 아니라 모든 대한민국의 군 장병들에게 해당되는 사실이니 출신 성분이나 보직을 평가의 척도로 사용하지 말자. 결국 군생활은 어느 누구에게나 똑같이 힘들다(…).

2.3 전투특전병

특전병에게 소속감과 자부심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전인범 특전사령관의 추진으로 2014년부터 전투특전병제도를 도입해 적용했다. 전투특전병은 부대 내 특전병으로, 기존의 특급전사 자격에 더해 7일 동안 천리행군(400km)을 추가로 이수한 장병들에게 부여한다.

기존의 천리행군은 임무와 전술상황을 고려한 특수작전 종합훈련 개념을 적용하여 8박 9일 동안 여단별 대대 단위 전시임무를 고려 부대훈련 개념의 팀 단위로 행군을 실시했다. 그런데 새롭게 실시한 천리행군은 현 육군의 자격화 훈련 지침에 따라 특교단 특수전 기본 교육과정 중 6박 7일간 25kg군장(전투하중)을 등에 메고 매일 24시간 60~70km의 산악 및 평지를 이동하는 훈련으로 일반 보병들과는 구분되는 1,000리(400km)를 걷는다. 단, 이중 식사시간을 이용하여 정비 및 휴식 6시간(아침, 점심, 저녁 각 2시간) 실시하는 것 이외에 무박으로 실시가 된다. 논 스톱(Non-Stop)으로 완주토록 통제하는 등 기존보다 더욱 강하게 훈련을 시키고 있다.

width=100%
  • 전투특전병 자격
    • 공수기본 수료자 (자격강하 4회 이상)
    • 특공무술 1단 이상 (분기 1회 승단 심사)
    • 태권도 1단 이상 (분기 1회 승단 심사)
    • 주․야간 개인화기 사격 (90% 이상 명중)
    • 육군 체력 검정 특급 (팔굽혀펴기(72), 윗몸일으키기(86), 3km(12'30"))
    • 육군 전투체력 검정 특급 (5km 작전군장(35'30), 10km 완전군장(1H27'30"))
    • 병 특전기본 과목 특급 (경계, 화생방, 구급법, 정신전력 등)
    • 자대행군 이수 (유격, 혹한기 행군)
    • 천리행군 이수 (무박 7일, 400km 완주)

  • 전투특전병 혜택
    • 여단(단)장 상장 및 포상휴가(5일)
    • 특전사 모장, 전투특전병 자격 휘장(금별 추가), 특전복에 전투특전병 패치 부착
    • 매주 외출 또는 외박 시행 (근무 미편성 시)
    • 조기 진급 기회 부여
    • ※ 특전사 1호 전투특전병 인원은 특전사령관 상장(포상휴가 6일)을 수여
  • 2016년 3월 부로 매주 외출, 외박 시행은 폐지되었다.
  • 지원자격
    • 특전병 전원 지원가능

3 지원 및 선발

width=100%
특전병 지원센터
지원자격
연령 지원서 접수년도 기준 18세 이상 28세 이하
학력 중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소지자 또는 교육부장관이 인정하는 동등학력소지자
신체요건 ⊙ 신체등급 1∼2급 현역병 입영대상자
  ※ 단, 징병신체검사 미실시 접수자는 현역병지원 신체검사가 별도 실시되며,
  18세 모집병 신체검사결과는 18세 당해년도에 한하여 적용(단, 5~6급자는 예외)
  (수험표 출력 시 신체검사 일자 및 장소가 표시됨)
 ⊙ 신장 : 168Cm 이상, 체중 : 54Kg 이상, 시력 : 교정시력 0.8 이상
자격요건 중졸 이상 학력이면 누구나 지원 가능
 ⊙ 선발우대항목
  - 워드프로세서, 정보처리, 컴퓨터활용능력 등 전산 관련 자격 소지자
  - 스카이다이빙, 스킨스쿠버, 스키, 수영, 인명구조 관련 자격 소지자
  - 태권도, 특공무술 등 각종 무술 유단자
  - 무도, 사격, 체육대회 입상자
※ 현역병(징집병) 입영기일이 결정된 사람은 그 입영기일 30일전까지 지원한 사람
※ 각 군 현역병 모집에 지원중이거나 지원하여 합격한 사람은 지원을 제한.
  다만, 선발취소 되거나 지원입영 후 귀가한 사람 등 지원에 의한 입영의무가 해소된 사람은 지원 가능
 선발제외대상 ⊙ 집행유예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자
⊙ 청력, 언어, 운동, 디스크관절 이상자/문신/정신질환/고소공포증/액취증/인성검사 부적격자
⊙ 기타 지원자격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자
  • 선발 및 평가 배점
 구분 서류심사(1차)면접/체력(2차) 신체등위 
 무도단증  자격증  입상경력   면접   체력측정 
 배점 151510302010
면접/실기 평가 기준 및 배점표
  
  
  
  
  종목/점수 0점1점2점3점4점5점
윗몸일으키키(2분) 49회 이하 50~57회58~65회66~71회72회~81회82회 이상
팔굽혀펴기(2분) 39회 이하 40~47회48~55회56~63회64회~71회72회 이상
1.5km달리기 7분9초 이상6분49초~7분8초6분29초~6분48초6분9초~6분28초5분49초~6분8초5분48초 이하
※ 1.5km달리기는 구간별 배점 점수에 5점을 더한 값을 적용.(예: 5분48초 이하 - 10점)
  
  
  
  
발표력/표현력/국가관/태도/예절/품성/성장환경/학교생활 등
  A(탁월) B(우수)C(보통)D(저조)E(부적격)-
배점   30 252015불합격-

물론 위의 과정을 제외하고 별도로 상근예비역을 선발한다. 자세한 사항은 추가바람.

4 부사관 전환

2008년부터 전문하사제도가 시행되어 특전병 전역 후 전문하사로 임관하여 연장복무가 가능하다. 전문하사도 지원 및 행정 업무(특전병때 보직을 이어서)를 한다. 대대본부 특전병이 전문하사를 지원하면 직할대로 가지만 특전대대에서 그대로 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고 한다.
현역 군인 중 특전병만 특전부사관으로 지원이 가능했지만[5], 2012년 특부 202기부터 일반 부사관과 일반 병도 특전부사관으로 지원이 가능해 졌다. 특전부사관으로 지원하면 대부분은 특전병때 속한 여단으로 배속되지만, 타 여단으로 배속되는버려지는 소수도 있다.

5 기타

국방tv에서 현역병 10人10色, 군생활 적응기 제2화. "성공하는 군 생활을 하는 방법" 편에서 제7공수특전여단 특전병의 강의가 공개되었다.


원래 특전사 부대에서 근무한 병사 전역자는 육군 디지털 전투복 혹은 개구리복을 입고 전역하도록 되어있었다. 일반 육군과는 다른 임무를 띠는 부대이긴 하지만, 육군이라는 큰 틀 안에 소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4년 1분기부터 새로 취임한 특수전 사령관의 지시에 의해 달라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전역한 병사들은 위에 특전복을 입고 전역하게 되었다. 특전사 부대 소속이었다는 자부심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라는 것이 이유. 예비군 훈련이 전역 후, 7~8개월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2015년 기준으로 아직 예비군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복장.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점차 흔하게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전국특전병연합회가 있고 그 외에 지역별로 연합회가 있다.
  1. 이때는 일반부대 병과 부사관처럼 특전병과 초임하사도 갈등이 있었다고 한다.
  2. 공수교육 미수료 시에는 일반 육군 병사들과 동일하였다.
  3. 2006년에 1여단에 유격을 대신하는 3일짜리 기본훈련이 1년에 2회 추가되었다. 이른바 혹서기 훈련이라는 것으로 혹한기 훈련의 반대되는 개념이다. 2006년도 1여단 출신으로 기억하기에는 유격을 받아보지는 않았지만 미디어에서 나오는 유격의 이미지와 매우 비슷하다. 간단한 무성무기 사용법, 체력훈련, 장애물극복, 행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제는 교관이 특전사에서 산전수전 다 겪은 선임하사급이라 아주 제대로 굴려주신거다. 특히 UDT/SEAL을 전역하고 특전사에 재입대한 xx하사(짬밥으론 선임하사급이다)가 시켰던 훈련이 아직도 기억난다. 군장메고 앉았다 일어나기, 의외로 평범할 수 있지만 100개, 200개가 아닌 교육시간 50분동안 내내 시키게 되면 아무리 강인한 체력을 갖고있더라도 욕이 나올지경이다.
  4. 근데 라이자가 반대로 되있는 경우가 이따금씩 있다. 오른쪽 조종줄을 당기면 낙하산이 오른쪽으로 돌아야 되는데, 라이자가 반대로 되있으면 오른쪽을 당기면 왼쪽으로 도는식이다.
  5. '이원하사'라고 차출되는 부사관도 있었다.